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김태민
  • 2021-08-11
  • 출처 : KOTRA

1. 산업 구조

 

대표적인 석유 의존형 산업구조로, 산업 다각화 추진

사우디는 전 세계 석유의 약 16%가 매장되어 있는 대표적인 산유국으로 베네수엘라에 이어 세계 원유 매장량이 2위일 뿐만 아니라 OPEC+를 통해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높다. 국제적인 영향력 외에 국가적으로도 오일, 가스 등 광물자원 관련 산업이 전체 GDP40%, 수출의 9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원유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원유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 특성 상 국제유가 등락에 따라 국가 경제지표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

 

실제로 2018년 국제유가 회복이라는 호재로 GDP가 전년대비 114% 증가하였고, 2019년 비석유부문의 성장이 이어지면서 7,929억 달러까지 증가했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제위기로 국제유가가 대폭 하락하면서 6,629억 달러까지 급감하였다. 2015~2020GDP 성장률은 2019년 비석유부문의 성장이 눈에 띄게 두드러진 시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석유부문의 성장률과 비례하여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2015-2020년 사우디 석유/비석유/전체 GDP 등락

(단위 :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50c539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4pixel, 세로 281pixel

자료 : 사우디 통계청(GASTAT)

 

ㅇ 사우디아라비아는 정부주도의 탑다운’ + 국제유가에 좌우되는 롤러코스터혼합된 경제

앞선 통계와 같이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산업 경제가 활성화되면 국가 경제도 호황이나, 글로벌 경제위기 등으로 저유가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국가 경제도 함께 불황을 맞이하는 등 변수로 크게 작용한다. 국가 주도산업인 석유산업의 불황은 건설업, 제조업, 부품업 등 타 산업으로의 영향을 시작으로 소비심리와 내수시장 위축 등 경제 전반에의 악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을 야기한다. 또한 아래 표와 같이, 사우디 경제는 정부주도 활동의 기여도가 2019-2020년 모두 약 20%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가 특성 상 의사결정과 시행이 공공기관과 공기업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활동범위가 넓은 데 기인한다. 다만 긍정적인 것은 2016년 발표한 SAUDI VISION 2020 이후 지속적으로 제조업 기반 육성에 노력을 기울인 덕분에 2020년 기준 제조업의 GDP 기여율이 9.9%까지 성장하였다.

 

2019-2020 산업별 GDP 기여율

(단위 :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50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4pixel, 세로 397pixel

자료 : 사우디 통계청(GASTAT)

 

ㅇ 사우디의 주요 제조/가공산업은 석유화학 관련 제조업이 주축

VISION 2030을 중심으로 한 탈석유화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단순히 제조업 육성 외에도 기존의 원유수출에서 부가가치를 더한 석유화학제품을 직접 생산 및 판매하는 것이다. 2020년 기준 플라스틱, 고무,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은 전체에서 약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물성연료를 제외한 타 품목 수출비중이 3%인 것을 감안하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석유화학산업의 고도화를 위해서 사우디 국영기업인 아람코(ARAMCO)SABIC을 인수하여 기존 업스트림(Up-stream) 위주의 사업을 다운스트림(Down-stream)으로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으며, 현재 사우디 내 생산되는 석유화학제품들을 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진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ㅇ 중동 내 대표적인 소비재 수입시장

사우디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족한 제조업 기반으로 인해 소비재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수입시장으로, 90% 이상의 소비재가 해외에서 들어오고 있다. 품목군별로는 인프라 및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기계류, 전기기기의 수입이 2020년 기준 21.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송장비 및 부품, 석유화학제품, 금속제품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의 경우 사우디 내 많은 석유화학기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제기술이 부족하여 고부가가치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50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5pixel, 세로 436pixel

 

2. 산업 정책

 

ㅇ SAUDI VISION 2030

사우디아라비아는 2014년 중반부터 시작된 저유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국가 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하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국가경제 개조 계획인 ‘SAUDI VISION 2030’을 발표했다. 핵심 내용은 제도 개혁과 경제전략 수립과 함꼐 석유 의존도 감소를 위한 산업정책 로드맵을 작성하고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하는 것

 

o Regional Head Quarter

2021127,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는 미래 투자이니셔티브 포럼(FII)’에서 본 정책을 공식 발표했는데 이는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제조업 인프라구축과 신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에 기인한다. 핵심 내용은 사우디 내 중동지역 본부를 설립하지 않은 법인 혹은 기관은 2024년부터 정부 발주 프로젝트 참여가 불가하다는 내용이며, 본부 설립을 희망하는 기업에게 경제특구 입주 시 법인세 50년 면제, 현지인 의무고용 비율 10년 간 완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미 24개 글로벌 기업이 지역본부 이전에 대한 MOU를 체결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으나, 본 정책에 대한 세부 시행령이 발표되지 않아 다수 기업들은 추후 발표되는 내용에 맞춰 대응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다. 다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현지에서 추진중인 현지화(인력 뿐만 아니라 부품, 자재 등) 정책 충족을 위해서는 지역본부 설립과 더불어 현지 생산까지 검토하겠다는 진출기업들의 의견이 많다.

 

3. 규제/인증정책

 

ㅇ 사우디 표준화기구(SASO)의 인증시스템 SABER 플랫폼

SASO(Saudi Standards, Metrology and Quality Organization)201911일부터 SALEEM(Saudi Product Safety Program) 구현을 위해 온라인 인증 플랫폼인 SABER를 도입하였다. 등록 대상으로는 사우디 식약청(SFDA) 등록 대상인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을 제외한 전 제품이 해당되며 현지 제조 또는 수입 여부와 상관없이 사우디 시장 내 유통을 위해서는 제품 적합성 증명서(PCoC) 및 제품의 출하 적합성 판단을 위한 선적 인증서(SCoC)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두 가지의 증명서 모두 SABER 플랫폼을 통해 발급이 가능하나, SABER 전자등록 의무는 수입업자가 지게 되어있다. 이에 수출업자는 실질적으로는 현지 바이어 혹은 에이전트와의 협력을 통해 관련 서류만 준비하면 된다.

 

SABER 플랫폼으로 변경 후 등록비용, 등록시간 등이 단축되고 정보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시장 내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하는 등 시스템 전반에 대한 효율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된다.

 

ㅇ 사우디 식약청(SFDA) 등록

20081227일 도입된 인증제도로 의약품, 의료기기, 식품, 화장품의 사우디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SFDA 사전 등록이 필수이다. 특히 식품을 제외한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의 경우에는 현지 등록대리인(Authorized Representative)와의 계약을 통한 대리등록이 필수적이다. 각 품목별 등록절차와 소요시간 등은 상이하며, 현지 등록대리인을 통해서만 등록이 가능한 품목의 경우에는 바이어 혹은 에이전트 통한 등록가능하고 믿을 수 있는 AR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 출처 : GASTAT, SFDA, SASO, 현지언론(Saudi Gazettee, Arab News )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