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자흐스탄 산업개관
  • 국별 주요산업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이평화
  • 2020-10-08
  • 출처 : KOTRA

석유가스 연관산업이 전체 GDP21% 차지 -

- 기타산업 기반 미약으로 소비재·자본재 수입 의존 -

- 자원중심 산업구조 개편 위해 신산업 육성정책 추진 중 -

 

 

 

산업 구조 및 동향

 

ㅇ 석유가스를 포함한 자원 분야는 카자흐스탄 산업의 주축 형성

  - 90년대 초까지 농업 기반의 산업구조를 유지하였으나, ’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경제 개혁·개방과 동시에 석유·천연가스 부문에 대한 외국인투자자금이 대규모 유입, CIS 내 러시아 다음의 주요 석유생산국으로 부상

  - 석유가스 및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독립 후 빠른 경제성장 달성

    * 독립 이후 GDP 규모는 2000183억 달러에서 20191,800억 달러로 약 10배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외환보유액(연말 기준)20억 달러에서 289억 달러로 확대

 

카자흐스탄 광물자원 매장량

자원

확인매장량

세계순위

원유(억 배럴)

300

12

가스(m3)

1.1

25

우라늄(천 톤)

842

2

크롬(천 톤)

230

1

철광석(백만 톤)

340

11

(백만 톤)

2

2

아연(백만 톤)

13

6

: 원유, 가스 17년 기준, 기타 자원 18년 기준

자료 : 한국 외교부

 

  - ’19년 기준, 전체 GDP15%는 자원부문이 차지하며, 석유가스에서 파생된 모든 연관 산업(원유채굴, 인프라 건설, 석유 제품 생산, 기타 서비스 등)GDP 비율은 21%

  - 원유 매장량 세계 12위국으로 ’201분기 원유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63.4% 차지

  - 이로 인해 국제 유가에 따라 경제상황 좌우, 유가 변동성에 취약

 

ㅇ 자원 중심의 산업구조로 기타 산업 육성 미약, 소비재, 자본재 등은 수입 의존

  - ’19년 기준, 카자흐스탄 외국인 직접 투자는 자원관련 분야에 50% 이상 집중

 

최근 5년간 자원 및 제조업 분야 외국인 직접 투자액 비교

(단위 : $)

분야

2015

2016

2017

2018

2019

자원

3,455(22%)

7,208(34%)

10,208(49%)

13,566(56%)

13,586(56%)

제조업

2,588(17%)

4,082(19%)

5,130(24%)

3,419(14%)

3,458(14%)

전체 투자액

15,368(100%)

21,367(100%)

20,960(100%)

24,263(100%)

24,114(100%)

자료 :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 자원산업 대비 제조업 등 기타 분야에 대한 투자 저조, 국가경제의 자원의존도 심화

  - 자동차, 가전제품, 건설자재·장비 등 생산기반이 취약한 각종 소비재, 자본재 등은 대부분 수입

 

2019년 카자흐스탄 수입구조(HS코드 2단위 기준)

(단위 : $, %)

HS코드(2단위)

제품군

수입액($)

비율(%)

01-24

살아있는 동물과 동물성 생산품

식물성 생산품

동식물성 유지 및 분해생산물

조제식품, 음료, 알코올, 식초 및 담배

3,967,633.7

10.0

25-27

광산품

3,113,096.7

7.8

28-40

화학공업 또는 관련 생산품

플라스틱제품 및 고무제품

5,464,990.9

13.8

41-43

원피, 가죽, 모피 및 그 제품

84,020.8

0.2

44-49

목재 및 그 제품

펄프 및 종이관련 제품

954,186.8

2.4

50-63

방직용 섬유와 그 제품

1,271,206.9

3.2

64-67

신발, 모자, 우산 등

461,158.1

1.2

68-69

, 플라스터, 시멘트 등의 제품

도자제품

538,068.2

1.4

72-83

비금속 및 그 제품

4,629,771.5

11.7

84-92

기계류, 전기전자기기 및 부분품

차량, 항공기, 선박 및 수송기기 관련품

광학, 의료기기, 시계, 악기

17,159,333.6

43.2

70-71,

93-97,99

유리와 유리제품

보석, 귀금속류

무기, 총포탄 및 그 부분품

가구, 완구 및 기타제품

예술품, 수집품, 골동품

미분류

2,065,838.7

5.1

자료 : 카자흐스탄 통계청

 

  -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석유가스, 광물 등의 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고부가가치 제조업 육성 및 산업구조 다각화를 통한 경제 펀더멘털 강화 필요

 

ㅇ 카자흐스탄 정부, 산업 다각화 노력

  - 카 정부는 자원 산업의 개발을 유지함과 동시에 국제유가 리스크 축소 및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비자원 산업 육성 노력 중

  - 산업 성장을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제조업, 농업 및 IT 산업 육성 프로그램 추진

    * 누를리 졸 2020-2025 : ’25년까지 경제발전을 위한 교통·물류 인프라 건설

       산업혁신 발전 2020-2025 : 제조업 기술 개발, 생산품목 확대, 디지털화 등 제조업 역량 강화

       디지털 카자흐스탄 2018-2022 : ICT 산업발전 및 ICT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국가 디지털화 추진

  - 신산업 개발을 통한 경제다각화로 자원의존적 경제구조의 질적 개선 도모

 

산업 관련 주요 정책

 

ㅇ 제조업 육성을 위한 2차례의 산업혁신 발전’ 5개년 계획

  - 2010년부터 높은 생산성을 갖춘 수출 지향적 제조업 육성을 위한 2차례의 산업혁신 발전’ 5개년 계획 추진

 

산업혁신 발전 5개년 계획 개요

1차 산업혁신 발전 5개년계획(2010-2014)

2차 산업혁신 발전 5개년계획(2015-2019)

제조업을 포함한 전체 산업, 농업, 서비스업 등 모든 주요 경제 영역을 망라하는 산업화 정책

산업 인프라 구축, 고용 확대, 투자 환경 조성, 중소기업 개발 등 국가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적 시스템 개발에 집중

4,000km의 도로 및 1,700km의 철도 건설 및 재건

13개의 특별 경제 구역 및 23개의 산업지대 조성

총 투자 금액 3조 텡게(187억 달러)

2015년에 시작된 두 번째 5개년 계획은 첫 번째 5개년 계획의 연장

외부 충격을 흡수할 완충제로서 제조업에 초점, 지원역량 집중

4가지 주요 목표 설정 : 제조업 제품 수출액 확대, 노동 생산성 향상, 제조업 고정 투자 확대, 에너지 사용량 감축

제조업 부흥을 위한 500개 이상의 신규 프로젝트 추진

총 투자 금액 4.5조 텡게(145억 달러)

자료 : primeminister.kz

 

  - 2차례의 산업혁신 발전 기간 동안 70여개의 신규 제조업 수출품이 개발되었으며, 승용차, 버스, 변압기, 의약품 등 생산제품 품목 확대

 

ㅇ 국가 프로그램 농업 개발 2017-2021’ 추진

  - 농업의 GDP 비중은 석유가스 등 천연자원 대비 지속 감소하고 있으나, 국민소득 및 고용에 있어 여전히 중요한 산업으로 기능

     * ’19년 기준, 경제활동 인구 수입의 25% 이상이 농업부문에서 창출

  - 카 정부는 1차 산업위주의 농업을 가공업, 유통업 형식의 2-3차 산업으로 구성된 농공업(agro-industry)’으로 개발 추진 중

  - 2017,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국산 농산물의 시장 공급, 수출 경쟁력 강화, 수자원 사용의 효율화, 물류 인프라 확충 등을 목표로 국가 프로그램 농업 개발 2017-2021’ 채택

  - 총 투입 예산 : 23,742억 텡게(’17년 환율 기준 약 72$)

  - 세부 추진과제

     1) 2015년 대비 농업부문 노동 생산성 38% 확대

     2) 2015년 대비 농업 총생산 30% 확대

     3) 식료품 수출액 6억 달러 증가

     4) 식료품 수입액 4억 달러 감축

     5) 2015년 대비 식료품 도매 거래량 29% 확대

     6) 2015년 대비 관개농지 1ha당 관개용수 사용량을 20% 감축 (20159,180㎥ → 7,348)

     7) 2015년 대비 하천·강 등 지표 수자원 31.9km 확대


ㅇ 산업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 누를리 졸 2020-2025’

  -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나, 내륙지역인 관계로 물류비용 부담이 높고, 광활한 영토 대비 열악한 운송 인프라로 물류·유통 산업 성장 저해

  - 이에 따라 운송 인프라 구축·개선* 및 이를 통한 효율적 수출 정책 실현을 목표로 인프라 개발 국가 프로그램 누를리 졸 2020-2025’ 추진

    * 주요 고속도로 건설 및 수리, 화물철도 속도 개선 등

  - 총 투입 예산 : 프로그램 재원은 중앙 및 지방정부 예산, 국제 금융기관, 민관합작투자사업(PPP), 민간 투자 통해 조달 계획 중이며 총 규모는 약 132억 달러(1$=420KZT)

  - 세부 추진과제 :

    1) 2025년까지 2019년도 대비 운송 및 창고업 부문 총 부가가치 21.9% 확대

    2) 2025년까지 2016년도 대비 운송 및 창고업 부문 노동생산성 39.9% 확대

    3) 2025년까지 2016년도 대비 운송 및 창고업 부문 고정 투자 308% 확대

    4) 2020~2025년 동안 운송업 분야 55만개 신규 일자리 창출

       * 고정직 : 4.9만개, 임시직 : 50만개

 

시사점

 

ㅇ 물류·유통 거점으로서의 카자흐스탄 진출

  - 카자흐스탄은 중국과 유럽을 잇는 통로로서 정부의 산업 다각화정책과 함께 도로·운송 인프라 투자 지속 중

  - 카자흐스탄 진출 시 주변국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물류·유통의 거점으로서 활용 가능

    * 풍부한 천연자원 및 저렴한 노동력을 갖추고 있어, 제조업 생산기지로서의 역할도 수행 가능

  - 또한 계속적인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의 진행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시장 공략 필요

 

ㅇ 차량 및 부품, 기계류, 전자제품 등 주요 소비재·자본재 수출 지속 전망

  - 카 정부는 수입품의 국산품 대체를 위해 제조업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소비재·자본재 등은 여전히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임

  -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의 카자흐스탄 차량 및 주요 부품, 기계류, 전자기기, 의료용품 등의 수출은 지속할 전망

  - , 카자흐스탄이 자원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산업육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및 ICT, 보건의료분야 등 새로운 산업으로의 진출 확대 필요

 

 

자료 : 한국외교부, stat.gov.kz, priminister.kz, dbpia.co.kr, informburo.kz, tengrinews.kz, kapital.kz, nationalbank.kz, zakon.kz, ic24.kz, sputnik.kz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산업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뉴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