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농업
  • 국별 주요산업
  • 미얀마
  • 양곤무역관 Thu Thu Aung
  • 2019-12-02
  • 출처 : KOTRA

가.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ㅇ 미얀마 국가수출전략(NES) 2020-2025

    - 미얀마 정부는 수출주도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중기 국가수출전략(NES; National Export Strategy) 2015-2019을 수립하였으며, 이후 NES 2020-2025를 작성 중
    - 미얀마 정부는 수출주도 산업으로 농식품 가공업, 임업, 섬유봉제업, 수산업, 관광업, 고무, 쌀, 과일 및 야채, 보석, 수공예품, 가공식품, 디지털 부문을 지정‧육성


  ㅇ미얀마 농업개발전략(ADS) 2018-2023
    -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Irrigation)는 2018-2023년까지 5개년 미얀마 농업개발전략(ADS; Agriculture Development Strategy)을 발표한 바 있음.
    - ADS의 목표는 농업분야의 부가가치를 30%에서 80%로 확대하는 동시에 미얀마의 농산물 수출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리는 것임.
    - ADS는 농산물 수출액을 2016/17 회계연도 20억 달러에서 2020년까지 28억 달러로 40%가량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5개년 농업발전전략(2018-2023년)

자료 :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


최신 기술 동향

 

  ㅇ 태양열 건조 공장(Natural Farm Fresh)

    - 2016년 베트남, 태국 및 미얀마 3개국 기업 합작으로 태양열을 활용한 건조 공장(Solar Dryer) 4개를 설립

    - 건조 공장을 이용하는 주요 고객은 고추(Chilly) 및 찻잎(Tea) 재배자임.

     - 또한 Mr. Spicy 브랜드를 만들어 다양한 고추 가루, 울금 가루, 생강가루를 생산 후 현지에서 유통 중

 

Natural Farm Fresh 태양열 건조 공장 현황



 소형 (m)

8 x 6.2

중형 (m)

8 x 12

규격 (kg)

200-300

규격 (kg)

400-600

비고

전력망 미사용

비고

전력망 미사용



대형 (m)

8 x 20

특대 (m)

8 x 27

규격 (kg)

1,000

규격 (kg)

1,500

비고

전력망 미사용

비고

전력망 사용

자료 : Natural Farm Fresh 홈페이지

 

  ㅇ 농업용 드론 사용 현황

    - 2017.6월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와 미얀마 항공대학교(Myanmar Aerospace Engineering Universtiy)는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지원으로 농업용 드론을 사용하여 농민들과 같이 시범 운행 중

    - 2017년 미얀마 농업 분야 진출 대기업인 Myanmar Awba사는 미얀마 항공대학교와 농업용 드론 설치에 대한 MOU를 체결

    - 미얀마 미곡협회(MRF; Myanmar Rice Fedetation)는 향후 농업용 드론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힘.

 

  ㅇ 농업 애플리케이션

    - 2017.12Village Link사가 개발한 “Htwet Toe” 모바일 앱 출시

     * 해당 기업은 Myanmar Awba Group, Miaki Myanmar Ltd, Post Mandalay Myanmar Information Technology가 설립한 기업

    - 현재 미얀마 인구의 대부분이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 농업 종사 인구는 3,200만 명

    - 휴대전화 사용률이 급증하면서 모바일 앱을 통해 농민과 농업 전문가간의 농업 관련 자료를 공유하고 네트워킹 플랫폼을 개발하여 농민의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

    - 또한 농민들이 유통사 및 바이어들과 직접 연결됨으로써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모바일 앱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네덜란드 Geodata for Agriculture and Water (G4AW)에서 앱 개발을 지원할 예정


주요 이슈

 

  ㅇ 농업 분야 외국인 제한 완화

    - 201511월 미얀마 정부는 외국기업에 대해 3개 분야(농업, 의료기기, 건설자재)의 무역업을 허가함.

    - 당시 해외의 발전된 농업 제품과 기술을 받아들일 목적으로 비료, 농약, 종자 등의 무역업을 외국인에 개방함.

    - 미얀마 투자위원회(MIC, Myanmar Investment Commission)는 농업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외국인 투자 제한 규제 및 토지 관련 법률을 정비하고 있음.

 

  ㅇ 외국인 합작기업 수출 허가품목 공지

    -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Notification 24/2019를 통해 외국인 합작기업에게 일부 품목의 수출을 허가

    - 해당 품목에는 고기, 생선 등 육어류, 가공된 농작물, 제지 및 제지용 펄프, 종자, 가공금속, 가공·완제품 과일, 목재가구 등이 포함.

      - 미얀마 수출품 품질 향상 및 국내 생산 원료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함.

 

주요기업 현황

 

  ㅇ Myanma Awba Group (www.awba-group.com)

    - 1995년에 설립하였으며 미얀마 최대의 농업 기술 개발 업체이자 유통업체로 농작물 보호, 영양 및 양질의 씨앗을 중점적으로 생산

    - 주요 활동 분야는 비료, 종자, 기술, 농화학 등이며 15개의 계열사에서 1,500명이상의 농학자를 고용

    - 20188월 양곤주 모비 지역에서 3,500만 달러 규모의 미얀마 최초 농약단지(HAIC; Hmawbi Agricultural Input Complex)를 구축

    - 향후 4년 내 330~1,030만 리터의 살충제, 살진균제, 제초제를 생산할 목표를 갖고 있으며 분말 형태로 170~500만 킬로를 생산할 예정

 

  ㅇ Myanmar Agribusiness Public Corporation Limited (www.mapco.com.mm)



- 20128월에 설립된 100% 민간 투자기업임.

- 농업 투자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쌀 산업 개선을 위해 쌀 수출은 물론 농화학 제품을 해외에서 수입하여 시장

내 유통

- 201810MAPCO(40%)는 띨라와 경제특구에서 일본(Mitsui, 30%) 및 말레이시아(Meyer, 30%)와 합작으로 총 1,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비료공장을 설립했으며 연 10만 톤의 비료를 생산할 예정 

 

농업 분야 유관 기관

 

주요 농업 분야 유관 기관 연락처

기관명

홈페이지

Myanmar Rice Federation

https://myanmarricefederation.org/

Myanmar Edible Oil Dealers Association

https://www.meoma.org/

Myanmar Pulses, Beans & Sesame Seeds Merchants Association

http://www.mpbsma.org/

Myanmar Fruit, Flower and Vegetable Producer and Export Association

https://mfvp.org/

자료 : KOTRA 양곤무역관 자체조사


. 수급 현황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구 분

2014/2015

2015/2016

2016/2017

2017/2018

2018

4-9

2018.10

-2019.9

교통/통신

1,679.3

1,930.9

3,081.1

901.6

314.1

1,538.4

제조업

1,502.0

1,064.9

1,179.5

1,769.1

706.6

1,347.8

기타

357.3

235.9

231.3

1,005.2

277.1

650.7

부동산개발

780.8

728.6

747.6

1,261.9

280.3

210.9

어업/축산

26.9

8.2

96.6

27.6

32.9

156.8

전력

40.1

360.1

909.8

405.7

92.6

93.3

호텔/관광

358

288.3

403.6

176.7

9.5

82.6

산업단지

-

10.0

-

34.0

34.4

48.5

농업

39.7

7.1

-

134.4

10.6

19.1

석유/가스

3,220.3

4,817.7

-

-

-

10.2

광업

6.3

28.9

-

1.3

6.0

-

합계

8,010.5

9,481.2

6,649.8

5,718.0

1,764.7

4,158.4

자료 : 미얀마 투자위원회(201910월 발표기준)

: 순위는 2018-2019회계연도 기준, 미얀마 회계연도는 41일부터 이듬해 331일까지였으나 2018-2019회계연도부터 기간 변경(2018.10.1.~2019.9.30.)

 

  ㅇ 농업 분야 현황

    - 2017-2018회계연도 미얀마 농업, 임업 및 어업 분야는 국내총생산(GDP)에서 26.18%를 차지하고 있음.

    - 농업 수출액은 2017-2018 회계연도에는 28억 달러로 2016-2017 회계연도 대비 6.5% 증가

    - 농업의 GDP 비중은 15.4%로서 제조업(23.9%), 도소매업(20.8%)에 이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노동인구의 70%차지하는 기간산업

    - 다양한 기후 및 토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60개 이상의 품종을 재배하고 있으며 농지는 미얀마 전체 국토의 19%를 차지

    - 낙후된 농기계·생산기술로 인해 생산성은 낮은 편


농수산물 품목별 수출동향


자료 : Eurocham Myanmar


 ㅇ 미얀마 농민 1인당 수익은 하루 2.5달러에 불과
  - 농작물 생산량은 농업 생산량의 72%를 차지하며 주요 농작물은 쌀, 콩, 깨 등임.
  - 쌀은 여전히 미얀마의 주요 농작물로 수확 면적의 45.7%를 차지
  - 농민의 약 80%는 평균 10에이커 미만의 논을 보유하고 있음.
  - 우기에 농민 1인당 수익은 하루에 1.8달러에서 2.5달러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필리핀 및 태국의 경우 각 7.8달러, 10달러

~16.50달러의 수익을 보이고 있음.


미얀마 주요 농작물

곡물(Cereals)

(Paddy-rice), (Wheat), 옥수수(Maize), 수수(Sorghum)

유지작물(Oilseeds)

땅콩(Groundnut), 참깨(Seasame), 해바라기(Sunflower), 니거(Niger)

콩류(Pulses)

흑녹두(Black gram), 녹두(Green gram), 비둘기 콩(Pigeon pea), 대두(Soya Bean), 콩류(Pelun), 덩굴강낭콩(Kidney bean), 흰 강낭콩(Butter bean), 병아리콩(Chick pea), 완두(Garden pea), 콩류 (Sultapya) 19종의 콩

텃밭용 직물(Kitchen Crops)

고추(Chilli), 양파(Onion), 마늘(Garlic), 생강(Ginger), 터메릭(Turmeric), 감자(Potato)

채소과일(Fruits and Vegetables)

망고(Mango), 바나나(Banana), 감귤류 과일(Citrus), (Pears), 두리안(Durian), 망고스틴(Mangosteen), 파인애플(Pineapple), 람부탄(Ranbutan), 기타 열대나물 및 채소

특용작물(Industrial Crops)

(Cotton), 사탕수수(Sugarcane), 고무(Rubber)

자료 :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

 

  ㅇ 미얀마 농업에 대해 외국인투자 현황

    - 농업 분야에 대해 외국인투자는 전체 외국인직접투자액의 0.5%에 불과하며 아직도 많은 투자기회가 있음.

    -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는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농업기반 산업, 농기계 및 소규모 농지 개발, 농업용 기계 및 자재 생산 등 분야

에서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해 규제 완화를 시도하고 있음.


한국의 對미얀마 업종별 투자통계(누계)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20193월말 발표 기준

: 기타 업종에는 도매 및 소매업, 정보통신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이 포함

 

.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 풍부한 토지 자원, 수자원 및 노동자원

- 농업은 미얀마의 기간산업으로 국가적 관심이 높음.

- 현지 생산성 및 기술이 떨어져 기계, 비료 등을 해외 수입에 의존

- 숙련된 노동인력의 부족

- 현지 기술과 정보의 부실함으로 농업 생산성 낮음.

Opportunities (기회)

Threats (위기)

- 농업 분야 매년 3.2% 성장 전망

- 최근 정부의 농업에 대해 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

- 유럽, 아프리카의 쌀 수요 증가

- 환율상승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 우려

- 태국, 베트남 등 경쟁국가와의 농업기술 격차 증가


시사점 및 유망분야

 

  ◦ Dagon Group of Companies, 대표 Mr. Win Aung와 인터뷰

    - 미얀마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초 단계로서 농민들에 대한 농업기술 교육이 가장 필요함.

    - 현지 농민들은 종자 선태의 중요성, 적절한 비료의 사용, 신기술과 농업기술의 도입 등에 대해 교육 외에 생산량을 조절해야

하는 현지 소비시장의 역동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 현지 기업들은 자본투자가 부족하여 생산성이 낮으며, 해외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가공 시설에 대한 기계화 투자가

필요

 

  ◦ 유망분야

    - 아프리카, 유럽으로의 쌀 수출이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으로 깨, 인도로 콩을 수출하고 있음.

    - 모바일 인터넷 사용 증가에 따른 생산부터 판매까지 디지털화된 농업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

    - 미얀마는 2018년 휴대전화 보급률이 110%를 돌파하였으며, 모바일 기술을 농업 분야에 활용한 스마트 팜이 지속 증가할

전망

    - 유망한 스마트 팜 분야로는 모바일용 농업 정보 앱, 농업용 드론 시장이 있음.

 

 

자료 : Eurocham, Oxford Business Group,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 미얀마 통계청 및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농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