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19-12-19
  • 출처 : KOTRA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동향


  ㅇ 신에너지 자동차 정의 및 정책 동향

    - (신에너지 자동차의 범주)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는 순수전기 자동차(B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수소연료전지 자동차(FCEV), 메탄올 자동차 등 화석연료가 아닌 새로운 연료로 구동하는 자동차를 포괄함. 현재까지는 순수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가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성장을 견인

    - (전기차 보조금 폐지) 항속거리 150km 이상부터 보조금을 지원하던 2018년에 비해 지원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고, '21년부터는 보조금을 완전 폐지할 예정

    - (연료전지 산업 육성) 중앙 및 지방정부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지원 정책을 필두로 전기차 집중 지원 정책에서 에너지원 다양화 전략을 본격 추진

 

2019년도 전기차 보조금 지원 기준 (단위: 만 위안)

구분

항속거리R(km)

2017년

2018

2019

순수전기차

100<R<150

2

-

-

150R<200

3.6

1.5

200R<250

2.4

250R<300

4.4

3.4

1.8

300R<400

4.5

400R

5

2.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R≥50

2.4

2.2

1

자료원: 중국 재정부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중앙 및 지방 정부 지원 정책

시기

지역

문건명

주요 내용

2018

2

전국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

응용 보조금 정책 조정 및 완비에 관한 통지》

- 수소 연료 전지 차량에 대한 구체적인 보조금 기준을

  마련하였음.  

- 승용차는 최고 20만 위안, 소형 여객차 및 화물차는 최고

  30만 위안, 대형 여객차 및중대형 물류차량은 최고 50

  위안 보조금 지원.

2019

1

선전시

《2018년 선전시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 응용 재정 지원 정책》  

- ’18.6.12.~’18.12.31. 기간에 출시된 연료 전지 차량에

   대해 승용차는 한 대당 20만 위안, 소형 여객차 및

   화물차는 한 대당 30만 위안, 대형 여객차 및 중대형

   화물차는 한 대당 50만 위안의 보조금 지원.  

2019

3

전국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

응용 재정보조금 정책

완비에 관한 통지》

- 신에너지 차량 구입 보조금을 철폐하고, 충전(수소 포함)

  인프라 시설 건설 및 사용자 서비스 지원 보조금으로 전환.

2019

4

전국

《산업 구조조정 지도 목록》

- 수소 및 기타 연료 전지 산업이 발전 격려 산업 목록에

  추가됨.  

2019

4

산시성

(山西省)

《2019년 산시성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행동 규획》

-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 보조금 지원이 삭감될 경우, 중앙

  재정부 보조금 대비 1:1의 비율로 성급 재정부 보조금 지원.

- 또한 수소 연료 및 충전소에 적정 수준의 보조금을 지원함.

2019

5

허난성

《허난성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 응용 가속화 정책에

관한 통지》

- 성급 재정부는 주요 설비 투자 총액의 30%에 준하여

  연료 전지 충전소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함.  

- 또한 연료 전지 충전소 관련 시설 건설용지를 보장하도록  

  조치를 발표함.  

2019

6

청두시

《청두시 신에너지자동차

시 보조금 실시 세칙》

- 중앙 재정부 보조금의 한 대당 보조금 50%에 해당하는

  시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함.  

2019

6

베이징시

《<베이징시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 응용 관리 방안 추진> 내용 조정에 관한

통지

- 연료 전지 자동차에 대해 중앙 대비 지방 1:0.5 비율로 시급

  재정부 보조금을 지원.

- 중앙 정책 변화 시, 시 관련 정책은 중앙 정책에 준하여

  별도로 제정.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ㅇ 전기자동차 시장 동향

    - 중국 완성차 소비량은 2018년도 4분기 758.9만 대, 2019년도 1분기 636.9만 대로 각각 전년도 동기 대비 -12%, -11% 하락하는 등 전반적인 자동차 시장 둔화

    -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전기자동차 소비량도 보조금 축소 및 시장 경색의 영향으로 2019 7월과 8월 각각 전년도 동기 대비 -4.7%, -15.8% 하락한 8만 대와 8.5만 대를 기록함.

    - 딜로이트 전략 및 운영부문 모우지아원(牟嘉文) 부총감은 보조금 삭감으로 해외 기업의 완성차 및 배터리 시장 진입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상함. 이에 따라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던 전통 기업과 외자 및 합자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고 산업체인이나 제조 핵심 기술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의 도태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또한 2019년 출시 전기차는 모두 400km 이상 연속 주행 가능한 차량으로 이제 스마트화, 사물 인터넷, 커스터마이징 등을 통한 차별화가 전기자동차 시장 경쟁의 관건이라고 봄.


2017~2019년 중국 완성차 소비량 추이 / (단위: 만 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7년

252

193.9

254.3

208.4

209.6

217.2

197.1

218.6

270.9

270.4

295.8

306

'18년

280.9

171.8

265.6

231.9

228.8

227.4

188.9

210.3

239.4

238

254.8

266.1

'19년

236.7

252

198










자료원: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


2018년 8-2019 6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 및 소비량 / (단위: 만 대)


*: 해당 시기 기타 연료원을 사용한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 및 소비량은 미미한 수준으로, 자료의 신에너지 자동차전기자동차를 지칭함.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ㅇ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시장 동향

    - 2019 1월부터 4월까지 수소연료전지 차량 판매량은 230대로 전년 동기대비 289.8% 성장하였고, 중대형 여객차량, 버스, 물류차량과 같은 상용차량 위주로 시장 확대가 시작되고 있음.

    - 2019 3월 기준 중국 내 수소충전소는 25곳이며, 17곳을 추가로 건설 중에 있어 수소연료전지 산업 기반 시설도 확충하고 있음.

    - 중국 정부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대하여 보조금 정책을 별도로 발표하고 있으며 현재 승용차 기준 최대 20만위안 (3,4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음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수소 생산국으로 ‘30년까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200만대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그러나 약 2,000만 위안에 달하는 충전소 초기 건설 비용 및 차량용 고순도 수소 원천의 한계로 승용차 보급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 동향


  ㅇ 중국 주요 도시 별 자동차 판매 현황

    - 2018년 상위 10개 시가 신에너지 자동차 전국 소비 중 54.7%를 차지함.

    - 상위 4개 도시를 살펴보면 선전시, 상하이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판매율이 비교적 높고 광저우시, 베이징시는 순수전기차의 판매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남.

 

2018년 전국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 상위 10개 도시 현황

(단위: 만 대, %)

지역

판매량

순수전기차 비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비율

선전시

8.42

47.5%

52.5%

상하이시

8.05

24.5%

75.5%

광저우시

6.27

58.2%

41.8%

베이징시

6.25

95.8%

4.2%

항저우시

5.64

64.8%

35.2%

허페이시

5.25

98.9%

1.1%

정저우시

3.78

93.0%

7.0%

톈진시

3.35

73.7%

26.3%

리우저우시

2.56

99.5%

0.5%

난창시

2.53

98.5%

1.5%

자료원: 승용차연합회(乘用车联合会)



자료원: KOTRA 항저우무역관 자체 정리


  ㅇ 중국 성시 별 주요 자동차 브랜드 현황

 

상하이자동차 (SAIC)

- 기업 소재지: 상하이

- 생산기지: 상하이, 난징, 정저우, 닝보, 옌타이, 우한 등.

- 폭스바겐, 볼보, 캐딜락, 롱웨이(荣威) 등의 주요 브랜드를 자회사 및 

  합자기업 형태로 갖고 있음.  

- 중국 시장 점유율 24.1%로 중국 최대 자동차 회사.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6.8만대, 전년 동기 대비 58.5% 증가.

- 2019년 중국 500대 기업 중 9.

- 다임러 AG 지분 5% 인수하며 3대주주.

- 홈페이지: http://www.saicmotor.com/  

지리자동차  (GEELY)

 

- 기업 소재지: 항저우

- 생산기지: 저장성 닝보시, 타이저우시 등.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5.7만대, 전년 동기 대비301%증가.

- LG화학과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 다임러 주식 9.69% 인수하며 현재 최대 주주.

- 홈페이지: https://www.geely.com/ 

창안자동차 (CHANGAN)

- 기업 소재지: 충칭

- 생산기지: 충칭, 베이징, 난징, 허페이 등.

- 충칭 자동차 생산의 절반은 창안자동차가 담당.

- 1959년부터 차를 만들어온 국유기업.

- 포드, 푸조, 스즈키와 협력하고 있고 한 해 생산량 300만대.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2.8만대.

- 홈페이지: http://www.changan.com.cn/

베이징자동차 (BAIC)

- 기업 소재지: 베이징

- 생산기지: 장쑤성 창저우시, 산둥성 칭다오시 등.

- 2019년도 EV트렌드 코리아에서 전기승용차량을 한국에 처음 공개.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6.5만대, 전년 동기 대비 21.57% 증가.

- 홈페이지: http://www.baicmotor.com/

광저우자동차 (GAC)

   

- 기업 소재지: 광저우

- 생산기지: 광둥성 광저우시, 저장성 항저우시 등.

- 2018년 미국에서 열린 북미모터쇼에서 SUV 컨셉트카 공개.

- 2019년부터 본격적인 미국 시장에서의 차량 판매 계획 중.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8천대, 전년 동기 대비 72.06% 증가.

- 홈페이지: https://www.gacmotor.com/

둥펑자동차 (DFAC)

- 기업 소재지: 우한

- 생산기지: 후베이성 스옌시, 우한시 등.

- 중국 5대 자동차 제조 기업.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3만대.

- 홈페이지: https://www.dfmc.com.cn/

비야디자동차 (BYD)

- 기업 소재지: 선전

- 생산기지: 저장성 항저우시, 후난성 창사시 등.

- 2019년 상반기 신에너지차 판매량 14.5만대, 전년 동기 대비  94.5% 증가,

  총 판매량의 64% 차지.

- 선전시의 시내버스, 택시 등 교통수단에 전기차 공급.

- 홈페이지: https://www.bydauto.com.cn/

장화이자동차  (JAC)

- 기업 소재지: 허페이

- 생산기지: 안후이성 허페이시, 후베이성 우한시 등.

- 2019년 신에너지차 판매율 3.9만대.

- 홈페이지https://www.dfmc.com.cn/

자료원: 각 기업 홈페이지


  ㅇ 신성장 동력을 위한 업계 투자 활발, 지역별 군소 신에너지차 생산 기업 등장

    - 신에너지 자동차 지원 정책 및 산업 성장 기조를 적극 활용, 지역별 군소기업들은 주로 투자 유치 및 연구 개발 과정을 거쳐 중국 내 상하이, 광저우 등지의 모터쇼에서 신차를 발표함.


중국 성시 별 신생 신에너지 자동차 브랜드 현황

HOZON (众汽车)

- 2014년 설립되어 2018년 완성차 시장 판매를 시작함.

- 상하이에 연구개발센터, 베이징에 설계 센터 소재

- 저장성 통샹시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음.

- 전기차 전문 설계, 생산, 판매 업체이며 NETA N01, HOZON U 두가지 SUV

  차량 모델 시판 중임.  

- 홈페이지: https://www.hozonauto.com/

GUOTANG AUTO

(国唐汽车)

- 2011년에 설립되어 장수성 젠후현(建湖县)에 생산 기지를 갖추고 있으며

  연간 생산량 5,000대 이상.  

- 여객 운수 차량, 순수전기버스, 물류차 등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함.    

- 홈페이지: http://www.guotangauto.com/

KINWIN(恒天领锐)

 

- 2017년 난징에 설립되었으며 연간 약 5만대 생산이 가능한 설비를 갖추고 있음.  

- 여객 운수 차량, 버스 등을 주로 생산 및 판매하며 순수전기차, 수소연료차,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신에너지 차량을 생산함.  

- 홈페이지: https://www.kinwinauto.com/index.aspx

Xpeng(鹏汽车

- 2014년 설립되어 2018년 첫 예약 판매 4000건을 달성함.

- 광저우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상하이, 베이징에도 본부를 두고있음.

- 테슬라, BMW, 알리바바 등 주요 기업 출신 직원들로 구성되어 있고 연구 개발 직원

  위주로 구성하여 스마트 전기자동차 연구 및 생산.

- SUV 모델 G3를 시판 중이며 승용차 P7을 예약 판매 중에 있음.

- 홈페이지: https://www.xiaopeng.com/

NIO(

- 2014년 설립되어 2017년 상하이 모터쇼에서 첫 예약 판매를 시작함.

- 상하이에 본부를 두고 있고 베이징을 비롯한 중국 내 45개 지역 사무실을 두고 있음.

- SUV 모델 ES6, ES8 1대의 자율주행 스포츠카 EP9를 출시하였음.

- 속항 거리를 늘린 스마트 전기자동차 시장 판매를 중점으로 새로운 모델 출시를

  이어가고 있음.

- 홈페이지: https://www.nio.cn/

ENOVATE (天际汽车)

- 2018 25억 투자를 유치했고 같은 해 9 SUV 모델인 ME7 출시.

- 푸젠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창사에 생산기지를 두고 연간 6만대 가량의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  

- BOSCH와 전략협력 관계를 맺고 있음

- 홈페이지: https://www.enovatemotors.com/

ZEDRIV(国机智骏)

- 2017년 장시성 신에너지 생산 기지를 정식으로 완공하였고 2019년 첫 번째 SUV

  모델 GX5 생산을 시작함.

- 전기자동차 연구 및 생산 기업으로 SUV, 경차 등 다양한 종류를 출시하였으며

  총 GX5, GC1, GC2, GT3 네 가지 모델 판매 예정.  

- 홈페이지: http://www.zhijunauto.com/

ALWAYS (爱驰汽车)

- 2016년 설립되어 SIEMENS와 전략협력 관계를 맺고 있음.

- 장시성 상라오(上饶)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음.

- 2018년 스마트 전기 SUV 차량인 U5를 출시하고 예약 판매 중.

- 홈페이지: https://www.ai-ways.com/index.html

LEAPMOTOR (零跑汽车)

- 저장성 진화시(金华)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음.

- 스마트 ID와 자동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순수전기 승용차 모델 S01을 출시하고

  예약 판매 중임.  

- 홈페이지: https://www.leapmotor.com/

자료원: 각 기업 홈페이지


    - 보조금 수혜를 목적으로 차량 생산 자격 신청을 낸 군소업체가 난립하기도 하며 이 가운데 실질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지 못해 생산 자격이 취소된 사례도 발생함.

    - 정부 당국도 이에 대한 단속 및 조치를 취하며 중소생산기업의 성장과 도태가 반복되는 등 지역별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은 산업 성숙기를 거치고 있음.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기업 특별 공시》와 대조한 리스트 공시에 관한 통지

关于对拟上报《特别公示新能源汽车生产企业(第1批)》企业清单进行公示的通知

 

  - 2018년 11 7, 중국 공업 및 정보화부서 공업발전센터에서는 신에너지자동차 생산기업 및 상품 관리 규정

   (新能源汽车生产企业及产品准入管理规定)에 의거, 12개월 이상 신에너지 자동차 상품을 생산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

    특별 공시를 발표하였음.

  - 화천자동차(华晨汽车), 하페이자동차(飞汽车), 무단자동차(牡丹汽)를 비롯한 총 30개 기업의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자격이 취소될 예정이라고 발표함.  

  - 또한 통지에서는 다시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자격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관련 부서의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명시함.  

  - 해당 공시는 경고의 성격을 띄는 공시로서, 명단에 오른 부실기업들의 자격을 박탈하고 심사 대기 명단으로 처리하여 재심사를

    거치게 한 것.

  - 중국 정부에서 생산 자격을 신청했으나 실질적인 R&D 및 생산 투자 성과를 내지 않는 기업들을 단속함으로써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를 재정비했던 사례임.  

자료원: 중국 공업 및 정보화부서 공업발전센터


산업 수급 현황

  ㅇ 내수시장동향

    - 2018년 기준 중국 도시별 신에너지 자동차 등록대수는 약 77만대로 이 중 약 일반 승용차 등록건이 약 60만대로 80%이상 차지함. 이밖에 대형 버스 및 특수 목적 신에너지 차량 등록건도 약 17만대로 매년 꾸준한 신규 등록 추이를 보이고 있음.

- 중국 정부는 주요 8개 도시에 매년 증가하는 자동차 증가량을 억제하고 차량 번호판 발급을 제한하는 자동차 구매 제한 정책을 실시하여 내연기관 자동차 신규 등록을 통제하고 있음.

 ※ 중국 자동차 구매 제한 도시 : 상하이, 베이징, 구이양, 광저우, 스자좡, 톈진, 항저우, 선전

- 2015년부터 자동차 구매 비제한 도시의 신에너지차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2018년에는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비제한 도시의 수요가 신에너지차 전체 내수 시장 성장을 견인함.


자료원: 재신전매(财新传媒), TURBO INSIGHT


중국 자동차 구매 제한 도시 신에너지 자동차 등록 수량 (2016-2018년도)

 

2016

2017년

2018년

승용차

15만대

25.2만대

30만대

버스

7.9만대

7.8만대

4.5만대

전용차(물류차, 도로청소차 등)

1.7만대

4만대

2.3만대


중국 자동차 구매 비제한 도시 신에너지 자동차 등록 수량 (2016-2018년도)

 

2016

2017년

2018년

승용차

19만대

34만대

30만대

버스

3만대

5.4만대

5.8만대

전용차(물류차, 도로청소차 등)

0.7만대

3.9만대

4.4만대

자료원: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수출입 동향 (HS code : 870380 기준)


  20197월 기준, 중국의 전동 자동차의 수입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8.7% 증가하였으며, 동일 품목의 대외 수출 규모는 114.9% 급증 하는 등 수출입 무역거래가 확대되고 있음.

  •     - 최근 중국 로컬자동차 브랜드의 신에너지 자동차 (특히 전기자동차) 시장에서의 약진이 두드러지며, 테슬라 등 글로벌 신에너지 자동차 브랜드의 중국 생산 공장 설립 등으로 인해 대외 수출 물량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     - 그러나, 여전히 수출입 통계에 있어 대외 수입액이 수출액의 10배 이상 큰 규모로 매년 연평균 무역수지는 약 10억 달러 규모로 적자를 보이고 있음.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수출입 규모 및 무역수지

 (단위: 천 달러, %)

연도별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9 (~7)

117,433

114.9

1,292,355

48.7

-1,174,922

2018

129,686

17.9

1,198,509

-18.4

-1,068,823

2017

109,970

0

1,469,160

0

-1,359,190

자료원: KITA


  ㅇ 2019년 기준,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최대 수출국은 방글라데시. 인도, 태국 등 주변 개도국을 중심으로 수출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4.9% 수출이 늘어나고 있음.

  ㅇ 대외 수입의 경우 미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 주요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체의 95%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48.7% 증가하였음.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주요 대외 수출 통계 /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9 (7)

2018

2017양식의

수출액

수출증감률

수출액

수출증감률

수출액

수출증감률

총계

117,433

114.9

129,686

17.9

109,970

0

1

방글라데시

52,968

82.6

72,657

14.4

63,493

0

2

인도(인디아)

17,998

641

13,182

72.6

4,639

0

3

태국

7,434

73.1

4,594

505

759

0

4

독일

4,755

144.9

5,012

366.4

1,075

0

5

브라질

3,207

5,786

261

-85.5

1,804

0

6

한국

3,187

-25

6,043

128.8

2,641

0

7

영국

2,635

11,782.8

650

620

90

0

8

일본

2,347

358.9

1,002

-82

5,569

0

9

싱가포르

1,663

2,016.5

88

-98.3

5,189

0

10

베트남

1,527

3,340.7

129

-30.3

186

0

자료원: KITA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주요 대외 수입 통계 /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9 (7)

2018

2017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1,292,355

48.7

1,198,509

-18.4

1,469,160

0

1

미국

1,230,272

48.7

1,099,114

-21.7

1,403,364

0

2

독일

38,818

-2.3

62,527

-4.2

65,235

0

3

오스트리아

19,660

0

34,959

0

0

0

4

일본

1,450

443

443

-17

534

0

5

프랑스

1,038

18.9

927

3,352.3

27

0

6

스페인

556

653.1

74

0

0

0

7

스웨덴

265

0

0

0

0

0

8

벨기에

90

0

0

0

0

0

9

영국

81

-45.5

149

0

0

0

10

한국

60

0

0

0

0

0

자료원: KITA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1. 발달된 전기/전자 IT 산업 기술 기반

2. 자동차 업계 인력의 높은 숙련도 교육 인프라

3. 삼성/LG 대기업 주도의 배터리 핵심 기술

 역량 보유

1. 대기업 위주의 R&D 인한 중소/중견기업의 열악한

    R&D 투자 규모 (연구인력, 투자액).  

 전장 관련 기술 인력 숙련 기능인 부족

2. 중소/중견 부품업체의 독자적인 개발 역량 (자금 역량)   

    부족 글로벌 벨류체인 진입을 위한 브랜드 신뢰성

    확보 어려움

Opportunities

Threats

1. 글로벌 기술 표준 독점적 시장 선점 주체

 부재로 인해 시장 공략 가능성 상존

2. IT 전기 전자 기술 경쟁 우위로 스마트카

    등 연관 산업과 융복합하여 발전 가능  

1.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존재, 특허 선점 부분에 있어

    기술 열위 (중국 로컬자동차와 협력 수요에서 후순위)  

2.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관련 정부 지원책 대비

 열악한 R&D 자금 지원으로 기술 추격 위협 심화

 

  ㅇ 유망분야 (신에너지 자동차 배터리 산업)

    - '18년 12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4개 부처 신에너지차 충전 보장능력 개선 행동계획발표, 향후 3년에 걸쳐 신에너지차 충전 기술 및 관련 배터리 품질을 대폭 향상 시킴과 동시에 표준 체계를 정립 목표

    -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 및 관련 업계에서는 자동차 배터리 기술, 충전 인프라 등 질적 성장 제고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갈 것으로 전망

        

  ㅇ 한국 기업 진출 동향 및 전망

  •     - 신에너지차량 생산비용의 약 40% 이상이 배터리 생산단가로 가성비 높은 배터리의 생산 개발이 관련 업계에의 공통적인 숙제임.

  •     - 삼성 SDI, LG 화학 등 국내 유수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대기업의 경우 우수한 배터리 기술을 기반으로 중국 시장에 독자/합자 법인을 설립하여 진출해 있음.

  •     - 전기자동차의 경우 중국 공신부의 “형식 승인을 받지 못하여 구매 보조금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되는 등 시장 진출에 진입장벽이 높았으나, 2021년 전기차 보조금 제도 폐지로 보조금 미적용으로 인한 가격 열위 요소는 점차 희미해질 전망임

  •     - 중국 재정부는 201911일부터 신에너지차용 리튬 이온 배터리의 잠정 수입세율을 없애고 최혜국 세율을 적용한다고 발표함. 향후 중국 배터리 시장 경쟁에 있어 가격은 하향 평준화 추세가 지속될 예정이며, 오히려 가격 경쟁력보다는 안정적인 물량 공급과 타업체 대비 확실한 기술 우위 수준이 업계 판도를 가를 것으로 예상됨.

  •  

  • 에너지 자동차 배터리 산업 한국 기업 진출 동향


    - 기업명 : 삼성 (중국 시안) 동력 전지 유한공사

    - 진출년도 : 2015

    - 진출지역: 중국 시안

    - 투자금: 6억 달러

    - 주요 성과 : 세계 버스시장 1위 업체인 위통(宇通), 중국 내 트럭 1위 업체인

      포톤(福田) 등 중국 로컬 상용차 및 승용차 10개사에 제품 공급


    - 기업명 : LG화학 (중국 남경) 신에너지 전지 유한 공사

    - 진출년도 : 2015

    - 진출지역: 중국 난징

    - 투자금: 5억 달러

    - 주요 성과 : 중국 완성차그룹 상하이(上汽), 둥펑(东风), 디이(第一)자동차

      등을 고객사로 확보.  

     자료원: 기업 공개 자료 및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원: 중국 재정부, KITA, 승용차연합회(乘用车联合会), 중국 공업 및 정보화부서 공업발전센터, 재신전매(财新传媒), TURBO INSIGHT,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