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세르비아 식품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세르비아
  • 베오그라드무역관 장영진
  • 2019-08-27
  • 출처 : KOTRA

가. 산업 특성

 

 □ 세르비아 식품산업 개관

 

  ㅇ '식품산업'은 국가분류 시스템 상의 정의에 따라 식품 생산 및 음료 생산을 포함.

    - 농산물, 임업 및 어업 가공품도 포함되며, 그 형태로는 인간 및 동물에게 제공되는 음식이나 중간 생산 제품도 포함하고 있음.

    - 음료의 경우 알코올성 및 비 알코올성 음료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음료 생산을 포함.

 

  ㅇ 2017년 세르비아의 식품제조업은 전체 GDP의 3.4% (약 1,566만 달러)를 차지함.

 

  ㅇ 특히 큰 잠재력을 갖고있다고 평가되는 농업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세르비아의 농업은 경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산업임.

    - 2017년 기준 세르비아 농가구 수가 60만 가구 이상 보고되었고, 식품산업에서는 3,268개 제조회사에서 7만 1000명을 넘게 고용하고 있음.

 

  ㅇ 식품 가공업 분야 외국인 투자유치 활발

    - 새로운 투자자들에게 투자와 인센티브 상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정부의 노력으로 세르비아는 2007년 이래로 310억 명이 넘는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했음.

   - 펩시, Molson Coors, 코카콜라, Austrian Rauch, 네슬레(스위스), 칼스버그(덴마크) 등과 같은 대형 외국 기업들이 세르비아에 투자를 하고 있고, 이러한 투자 추세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정부 정책

 

  ㅇ 2014년 8월 세르비아 정부는 2014- 2024 농업농촌 개발 10개년 계획을 발표.

    - 본 계획을 통해 설정한 목표 :

    1) 2024년까지 세르비아의 농업기술 및 표준을 현대식으로 교체하는 것.

    2) 이를 통해 까다로운 외국 시장에 혁신적인 세르비아 제품을 공급하는 것.

    3) 농업 생산자들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수입을 창출하게 하는 것.

    - 본 계획에서는 농업 및 식품산업 기술 개발 가속화를 계획하고 있음.

    1) 식품 유통방식의 효율성 증대 및 농식품 부문의 대외 경쟁력 강화.

    2) 안정적인 농업환경 조성을 통한 WTO와 EU의 요구에 대한 효과적 대응.

    - 5가지 우선순위

    1) 생산 증대와 그에 따른 생산자의 소득 안정성을 확보.

    2) 국내외 시장의 현대적 니즈와 농업 기술 진보에 발 맞추는 동시에 경쟁력을 제고.

    3)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 및 환경 보호

    4) 농촌 지역 삶의 질 향상과 빈곤 감소

    5) 효과적 공공 정책 관리 및 농업, 농촌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 강화

 

   세르비아 경제부는 2017년에 채택한 "Strategic Framework with an Action Plan in the Food Industry"에서 2가지 식품산업정책을 명시함.

   1) EU제도에 부합하기 위한 입법적/ 제도적 기틀을 마련할 것.

    - 식품 산업에 관련된 입법체계를 EU와 발 맞추어 발전 시키려는 목적.

    - EU 기준에 맞는 식품 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

    - 이를 통해 세르비아 식품산업의 기준을 높여 보다 현대화 시킬 수 있음.

   2) 식품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행계획을 세울 것.

    - 생산량 증대 및 제품 완성도 향상을 통한 전반적인 품질 향상.

    - 식품 산업의 혁신을 장려할만한 기술 마련 및 현대적 니즈에 맞춘 기술 향상.

    - 식품 산업 종사자의 지식 및 기술 수준을 높이고 생산에 필요한 양질의 원료를 지속적으로 공급.

 

 □ 규제


  ㅇ 세르비아 정부의 식품산업에 대한 규제는 주로 식품 품질 및 안정성에 관한 것임.

    - 세르비아 국내적으로는 국가 표준 연구소(National Referent Laboratories)와 식품 안전 위험 평가위원회(Food Safety Risk Assessment)의 감시를 받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SAA 세르비아'의 내용을 따르고 있음.

   - EU와 서명한 SAA 세르비아(Stabilisation and Association Agreement) 중 제 11장은 특히 공동시장의 설립을 규제하고, 제 12장은 식품 안전 및 식물 위생 정책 준수의 기준으로 삼고있음.

 

 □ 주요 이슈

 

  ㅇ 세르비아는 농식품 산업의 발전과 생산 및 수출을 위한 자연적 이점과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으나, 아직 충분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헤쳐나가야 할 장애물들이 있음.

    - 생산성이 낮고 생산 공정 기술이 낙후되어 있으며, 기술 혁신에 대한 민간 부문의 투자가 적은 상태라서 세르비아 기업이 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움.

    - 운송 인프라가 열악하고 시장의 현대적인 요구 사항에 대한 반응도 느림.

    - 가공품을 포함한 모든 육류 제품과 밀을 사용하는 제빵 산업의 가장 큰 문제는 현대식 설비가 거의 보급되지 않아 식품 저장과 가공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점임.

    - 이러한 장애물들은 특히 EU국가에 대한 수출 허가를 취득하는데 걸림돌이 되고있음.

 

  ㅇ 세르비아의 식품 기술 보유 수준은 낮고, 신 기술에 대한 투자도 열악한 상황임.

    - 종업원 수 10명 미만의 소규모 국내(세르비아) 기업들은 신 기술에 투자할 여력이 되지 않고, 식품 생산 및 유통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회사는 대부분이 세르비아가 아닌 외국법인의 소유임.

    - 2017년 경제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세르비아의 농업 기술은 기상 조건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인데 그 이유는 현대적 기술 중 하나인 ICT 기술이 충분히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임.

 

  ㅇ 식품 산업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체계적인 전략 도입은 기술력 개발에 목마른 세르비아 식품 산업의 궁극적 목표에 직접적인 솔루션이 될 것임.

    - 식품 산업 기술 개발은 생산 공정의 수용력 확대 및 유연성 증대를 가져와 더 안전한 식품 품질 관리를 통한 국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이끌어 낼 수 있음.

 

 □ 주요 기업 현황

 

2017년 연 매출 기준 Top 5 기업

                                                                                                                                   (단위 : 천 달러)

기업 

 매출

 이익

종업원 

판매액 순위

Coca-Cola HBC - Srbija

411,215.66

33,064.47

855

14

Imlek

249,689.71

38,494.83

1,061

34

Industrija mesa Matijevic

186,080.08

9,539.77

1,739

52

Sunoko

175,636.12

38,548.79

524

55

Sojaprotein

163,058.39

- 61,957.39

379

59

Dijamant

138,856.37

-2,184.81

672

71

Frikom

118,573.55

2,153.64

910

82

Marbo

110,047.02

4,670.86

933

88

Nestle

109,669.01

3,115.18

551

89

Stark

108,747.77

10,758.68

1,028

92

자료원 : 세르비아 기업체 등록원

 

 

  ㅇ 코카콜라 브랜드의 보틀링(bottling) 회사인 코카콜라 HBC Srbija가 2017년 기준 연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음.

    - 이 회사는 코카콜라 외에도 인기 품목인 '넥타(Nectar)', '넥스트(Next)', '수(Su)' 주스와 물 브랜드 '로사(Rosa)'도 생산 및 유통하고 있음.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좌 : 베오그라드 대형마트 계산대 앞마다 진열되어 있는 로사와 코카콜라)

(우 : 유제품 진열대의 대부분을 채운 임렉 사의 제품들)

(자료원 : 무역관 직접촬영)


  ㅇ 2위는 세르비아의 주요 유제품 생산기업인 '임렉(Imlek)'이 차지했고, 육류 생산기업 '마티예비치(Matijevic)', 설탕 제조업체 '수노코(Sunoko)'가 뒤를 이었음.

 

  ㅇ 그 외 2017년 연 매출 기준으로 통계에 등록된 1만 개가 넘는 세르비아 기업 중 상위 100등 안에 드는 기업들 :

    - Dijamant : 세르비아의 가장 큰 식용유 생산기업으로, 마가린, 식물성 지방, 마요네즈 및 마요네즈 기반 디저트류 생산 기업.

    - Frikom : 세르비아의 아이스크림 및 전반적인 냉동 식품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

    - Marbo : 스낵류 생산업체로, Pepsi Co.의 자회사.

 

나. 식품산업 수급현황

 

 □ 세르비아 식품시장의 규모


external_image

자료원 : 세르비아 통계청


  ㅇ 2017년 기준 식음료 생산량은 약 1,560만 달러 규모(세르비아 전체품목 생산량의 22.9%)로 생산 부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GDP의 3.4%를 차지함.

 

  ㅇ 식품 산업과 그 성장은 주로 가계 소비에 의해 주도됨. 6,403 가구 (전체 가구 수의 72%)를 대상으로 실시한 세르비아 통계청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7년 한 달 평균 가계지출은 593달러 였으며, 그 중 약 39%(232달러)는 식음료 지출에 사용되었음.

 

  ㅇ 2017년 세르비아 식음료 판매는 5.2%만큼 증가했고, 2018년에는 5.5%만큼 성장한 것으로 보고됨. 2019년에도 가계의 구매력 상승으로 인한 긍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됨.

 

  ㅇ 식음료는 소매업 뿐 아니라 도매업에서도 가장 많이 거래되는 품목임.

    - 2017년 기준, 총 도매의 약 18%, 총 소매의 약 32%를 식음료가 차지함.

 

 □ 식품산업의 수출입 현황

 

  ㅇ 식음료는 국제 무역 상에서도 흑자를 내며 긍정적인 성과를 내었음.

    - 2017년 기준 수출액 : 19억 7200만 달러, 같은 제품 수입액 : 10억 870만 달러.

 

  ㅇ 2015년부터 2017년 까지 세르비아의 전체 품목 수출액이 12.8%에서 11.6%로 감소한 반면, 식음료 수출은 14.55% 증가함.

 

식품 산업 지표

(단위 : 백 만 달러)

지표

2015

2016

2017

총 가치

%[1]

총 가치

%

총 가치

%

생산 장비 투자

181.47

6.64

206.41

7.25

228.54

7.32

국내 생산

1,508.19

3.6

1,563.92

3.6

1,566.01

3.4

수출 (재수출 포함)

1,722.00

12.8

1,844.50

12.4

1,972.50

11.6

수입

932.00

5.2

917.40

4.8

1,087.50

4.9

자료원 : 세르비아 통계청

 

 □ 세르비아 식품시장 투자 및 인센티브

 

 ㅇ 식품 산업에 대한 주요 인센티브는 경제부가 담당하는 직접 투자에 대한 것임.

   - 투자법에 따른 규정에서 인센티브를 유형 및 무형 자산의 조달과, 2년 간의 신입 사원의 임금에 대한 것으로 그 형태를 정의하고 있음.

   - 세르비아에 자금을 투자하여 직접 공장을 지어 가동하거나, 공장을 빌려 가동하거나, 농업/ 임업/ 어업등을 하며 생산을 하는 직접 투자 방식도 포함 (브라운필드/그린필드 투자 등).

   - 투자 회사의 규모에 따라 50%에서 최대 100%까지 필요한 인센티브를 지급.

   - 식품 생산 부문의 투자 프로젝트를 실현시킬 수 있게하는 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음.

 

  ㅇ 우유, 육류, 과일, 채소, 와인, 맥주 및 주류에 대해 그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농업 투자 관련 프로그램에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 규정에 따라, 실현 가능한 투자 가치의 50%, 근로 여건이 열악한 농업 지역에 대해 지급되고 있는 펀드의 65% 수준의 인센티브가 지급됨.

    - 인센티브 수혜자는 한 해에 최대 50만 디나르 (약 4만7천 달러)까지 받을 수 있음.

 

  ㅇ 이 외에도 세금 상 인센티브도 제공됨.

    - 6개월 이상 전국 고용 서비스(National Employment Service)에 등록된 사람을 고용한 고용주는 임금지불 상의 세금을 경감받을 수 있음.

    - 전국 고용 서비스(National Employment Service) : 실업자들과 노동자들에게 취업 정보 및 노동시장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제공 해주는 공공 서비스.

 

  ㅇ 실제로 네팔 제조업체인 'CG Foods Europe LLC'는 세르비아 농업 시장의 잠재력과 인센티브를 활용한 직접 투자를 통해 세르비아에서 직접 생산을 하고 있음.

    - 2017년부터 가동하고 있는 WAIWAI 브랜드의 라면공장은 2018년에 340만 달러의 이익을 내는 등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음.

    - 현재는  약 94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고 1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임.


external_image


다. 진출전략

 

  ㅇ SWO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      세르비아 식품시장은 서부 발칸에서 가장 큰 규모이고, 우리나라 기업이 유럽으로 진출하기 용이한 위치에 있음.

·      한국 기업이 세르비아에 직접투자를 통한 진출을 한다면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음.

·      현대적 니즈에 적합한 장비가 부족하여,     

       한국기업 진출 시 고정비용이 많이 들 수 있음.

·      대부분의 기업들이 시장전략으로 낮은가격을 

      설정하여 경쟁하고 있어, 경쟁력있는 가격정책이 필요함.

·      세르비아는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로, 관세가 부가됨.

기회 (Opportunities)

위협 (Threats)

·      혁신적인 제품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      규제와 정책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받기 시작한 농업   및 식품 시장.

·      WTO 회원자격과 중부 유럽 FTA 미래 무역 관계를

      개선할것이라는 예측.

·      2017 전체 국내 소비의 25.3% 식품이 차지함.

·      한국 기업도 세르비아 식품시장에 진보된 기술력을 가지고 진출한다면,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음.

·     세르비아 내 아시아 식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

·      20% 이르는 VAT.

·      EU국의 높은 보조금(subsidy) 지급률로 인한 

       세르비아 생산자의 경쟁력 저하.

·      표준 관세  비관세 장벽이 존재하여 

       제품 수출이 제한되는상황.

·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가 미흡해 날씨가 원료  

       원자재 이용에 제한요인으로 작용.

·      코소보와의 해결되지 않은 분쟁은 잠재적인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음..

자료원 : 세르비아 경제부

 

  ㅇ 유망 분야

    - 최근 세르비아에서는 아시아 요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다양한 요리가 인기를 얻고 있음. 때문에, 세르비아에 더 많은 아시아 식료품점과 음식점이 개업을 하게된다면, 향신료나 해조류 및 쌀과 같은 아시아풍 요리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외국기업의 세르비아 시장 진출이 더 활발해 질 것이라고 예측됨.

    - 이 외에도, 국수나 스낵류 같은 간편한 아시아 식품들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 속에 투자환경도 유리한 편이라 세르비아에 대한 제조 관련 투자 기회가 형성되어 있음.

    - 세르비아의 농업(1차 산업) 및 식품산업의 입지와 그 성장세로 비추어 보았을 때, 이 산업에 대한 신기술이나 이미 존재하는 최신 기술력을 수출할 좋은 비즈니스 기회가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 비단 농업 뿐 아니라 전반적인 식품 산업의 주요 골칫거리는 구식 장비와 구식 기술 및 스마트 솔루션의 부재이고,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전략적 접근

    - 전반적인 공정과정에 기술적 진보가 필요하고 신식 장비가 보급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세르비아 정부의 전략에 발 맞추어 스마트 팜(smart farm) 기술을 식품산업 현대화 관련 세르비아 정부프로젝트 또는 식품 제조업체 조달한다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어 훌륭한 비즈니스 기회가 될 것임.

    - (직접 투자) 직접 공장을 짓거나 이미 존재하는 공장을 이용하여 생산을 하더라도 세르비아에서는 수입/ 유통업체(Distributors)를 거쳐야 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기 때문에, 세르비아 식품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KOTRA를 통해 해당 식품을 유통시킬 적합한 기업을 소개받는 것이 필수적임.

    - Maxi, Merkator, IDEA, Shop & Go 등으로 대표되는 소매점들에 입점하는 것 외에도 HoReCa(Hotel/Restaurant/Café의 줄임말) 부문으로 진출할 경우에도 유통업체를 거쳐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구조임.


external_image


  ㅇ 세르비아 내 아시아 식품 현황

    - 세르비아 시장은 이미 세르비아 전통 음식들이 지배적이고, 세르비아에서 생산하지 않는 종류의 식품들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아직 아시아 식품들은 소개되기 시작한 단계임.

    - 최근에 들어서야 중국과 일본 음식점들이 하나 둘 들어서면서 인지도를 쌓아가며 조금씩 관심과 인기를 끌고있는 상황이지만, 한국 음식점은 하나도 없음.

    - 세르비아인들은 일본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김치와 같은 일부 한국 요리를 접하면서 한국요리에도 익숙해 지고 있는 중임.

    - 아직 세르비아 전통음식에서 벗어나기엔 시간이 필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한국의 양념이나 반찬을 세르비아식으로 접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시장에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음.

    - 공급망은 HoReCa 부문의 업체들 뿐만 아니라 소매점에서도 인기가 높은 세계 식품 유통업체인 "Spices of the World D.O.O."를 통하는 것이 유리함.



 


자료원 : 세르비아 통계청, 세르비아 경제부, 세르비아 기업 등록청, KOTRA 베오그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세르비아 식품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