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폴란드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신일숙
  • 2019-08-26
  • 출처 : KOTRA

- 산업구조 선진국형으로 전환 중, 서비스 산업 비중 2018년 56.6% –

- 책임경제발전,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10개년 경제개발정책 추진 중 -

 

 

 

산업 구조

 

  ㅇ 폴란드는 과거 전통적 농업국가였으나 공산 정권하에서 철강 산업을 비롯한 특정 제조업에 집중된 특징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소비재 중심의 산업은 발달하지 못했음. 또한 당시 폴란드는 석탄, 구리, 유황 등의 광산물 생산지로 유명했음.

 

  ㅇ 1989년 경제개방과 2004년 EU가입을 통해 제조업 발달과 동시에 서비스업도 적극 육성하여 2014년에는 들어서는 폴란드 총 산업 중 서비스업이 56.6%를 차지하는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띄기 시작했음.

 

  ㅇ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IT, 전기전자, 항공, 기계 등의 산업부문이 중점 육성산업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화학, 항공, 기계, 농업 분야의 R&D에도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고 있음.

    - 최근에는 독일에서 시작된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이어받고자 정책적으로 전기자동차 개발계획, 무인항공기 프로젝트, Cyberpark Enigma R&D 센터 설립 등 다양한 시도들을 계획하고 있음.

 

  ㅇ 2004년 EU 가입 이후 시장개방과 외국인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조업, 건설업, 숙박요식업 및 금융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해옴. 이는 투자환경 호전과 경기침체에서도 꾸준한 성장을 구가하는 탄탄한 경제 기반이 되는 3,800만 명에 달하는 EU 6번째 거대 내수시장, 낮은 법인세율, 수출 증가 등의 요인으로 외국인 투자가들을 폴란드로 이끌며 유럽의 생산 기지로서 주목을 받았기 때문임.

 

  ㅇEU 기금을 적극 활용해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및 환경산업 등을 개발하는 데에도 주력해옴. 특히, EU 가입으로 수출 여건이 개선되고 경제가 전반적으로 활성화하면서 기계, 설비 등 자본재 산업의 생산증가율이 현저하게 성장. 이 밖의 건설업, 숙박요식업 및 금융업 등도 EU 가입이후 급성장한 대표적인 산업임.

 

  ㅇ 2018년 GDP기준 폴란드의 산업 구조를 살펴보면, 공업이 22.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역 및 상업 15.5%, 건설업 7%, 운송 및 보관업 6.3%, 전문과학기술업 7.4%, 공공행정업, 교육 등 서비스가 12.2%, 부동산업 4.3% 등으로 구성됨.

 

GDP기준 폴란드 산업구조

산업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국내총생산(GDP)

100

100

100

100

100

농림수산업

2.6

2.2

2.4

2.8

2.5

공업

22.5

23.2

23.4

22.3

22.4

- 광업

1.6

1.6

1.5

1.6

1.6

- 제조업

16.8

17.6

18.1

16.9

17

-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

2.8

2.7

2.5

2.6

- 수도사업, 하수폐기물처리 및 환경복원업

1.1

1.2

1.2

1.2

1.2

건설업

7.0

7.1

6.2

6.2

7.0

도소매·무역업, 자동자정비업

15.8

15.6

15.4

15.4

15.5

운송 및 보관업

5.5

5.8

5.7

6.0

6.3

숙박 및 음식점업

1.0

1.0

1.0

1.1

1.1

정보통신업

3.5

3.6

3.6

3.6

3.4

금융 및 보험업

4.0

3.6

3.9

3.9

3.5

부동산업

4.7

4.4

4.6

4.3

4.3

전문과학기술업

6.6

7.2

7.0

7.5

7.4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3.3

13.1

13.1

12.8

12.2

예술, 예능, 레크레이션 및 기타 서비스

2.1

2.0

2.1

1.9

1.9

자료: 폴란드 통계청(GUS)

 

□ 산업 정책

 

  ㅇ 책임개발전략(Strategy for Responsible Development)

    - 책임개발전략은 국가 전반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경제 발전을 이어나가기 위한 폴란드 신 국가 발전 전략으로서 재산업화, 혁신기업 개발, 개발자본 형성, 해외 확장, 지역사회 발전 등 5가지 세부 계획을 통해 강한 경제를 이룩하는 것을 목표로 함.


ž . 재산업화: 폴란드의 기존 경제 지원, 새로운 경쟁 우위 확보 및 산업 전문화 지원

ž . 혁신기업 개발: 친 기업 환경 및 혁신 지원 시스템 구축

ž . 개발자본 형성: 투자 증진 및 폴란드인의 저축 장려

ž . 해외 확장: 폴란드 기업의 수출 및 외국 투자 지원, 경제 외교 개혁, 폴란드 브랜드 홍보 지원

ž . 지역사회발전: 예를 들어, 직업 교육 개혁, 농촌 및 소도시를 개발 과정에 포함.

    - 폴란드 정부는 동 전략으로 2020년까지 투자규모를 GDP의 25% 이상으로 확대, R&D 분야 지출을 GDP의 2%로 확대, 대기업 및 중견기업 22,000개 이상으로 육성,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1인당 GDP를 EU 평균의 79% 수준으로 확대 등을 목표

 

<폴란드 책임개발전략 세부 계획>

자료: 폴란드 투자개발부

 

  ㅇ 국가 지역개발 전략(National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 폴란드는 국가 지역개발 기본 전략으로 2010~2020년까지 도시 및 농촌 지역 개발을 위한 ‘국가 지역개발 전략 2010-2020’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2018년 12월부터는 다음단계의 전략을 위한 기본 정책으로 ‘국가 지역개발 전략 2030’을 수립 중에 있음.

    - 이는 국가 개발 정책 분야의 전략 및 프로그램으로서, 지역 균등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더 많은 투자와 지원을 하여 국가 전체적으로 규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ㅇ 투자지원 정책

    - 폴란드는 2018년부터 새로운 투자 지원 법안(New Investment Support Act)을 도입, 사업에 대한 기대치를 보다 잘 충족 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임.

    - 이 새로운 규정에 의해, 폴란드 전역에 거친 단일 투자 지역이 조성되어, 해당 지역에서의 사업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법인세 혹은 개인 소득세를 투자규모나 고용창출 규모에 따라 10년, 12년, 15년 동안 면제 받을 수 있게 됨.

 

폴란드 경제특구지역

 

자료: PAIH

 

 

자료: 폴란드통계청(GUS), 폴란드 투자.무역청(PAIH), 폴란드투자개발부,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자체조사 및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