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대만 식품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24-08-08
- 출처 : KOTRA
-
Keyword #대만 식품산업
식품 안전에 예민한 시장… 2024년 초에는 수단색소 파동으로 수입산 고춧가루 검사 강화
한국은 대만의 11위 식품 수입 대상국… 빵류, 기타 조제 식료품 위주로 수입
1. 산업 특성
정책
대만의 식품 정책은 안전에 방점을 찍고 있다. 2016년 6월부터 실시한 ‘식품 안전 다섯 고리(食安五環)' 정책은 전반적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만의 식품 안전 다섯 고리 정책>
①원천 관리 강화
- 독성 화학물질 관리 기구 설치
- 농약·동물용 의약품 관리
- 위험물질 검역 기술 개발 강화
- 부처 간 빅데이터 분석 기반 경보 체계 구축
②생산관리 체계 정비
- 글로벌 GAP(국제인증 우수농산물관리) 제도 도입
- 식물의사제도 도입
- 농산물 원천 표시 시스템 구축
- 식품안전관리 재건
- 식품산업 고도화 및 식품안전보호 지원과 전자화 시스템 구축
- 미등록 식품·사료 공장 관리
③검역 검사 강화
- 어린이 단체급식 식재료 전면 모니터링
- 학교 급식용 반제품·완제품 무작위 표본검사 강화
- 고위험 농·축·수산물 약품 사용 모니터링
- 고위험 제품 검역 검사 강화
- 고위험 제품에 대한 부처 간, 지자체 간 합동 점검
④불량업체 가중 처벌
- 식품 안전 관련 법규 전면 검토
- 검찰·경찰 간 소통·협력 채널 원활화
⑤소비자 감시체계 강화
- 정책 홍보 강화
- 식품 안전 신고 핫라인 서비스 강화
- 협단체·자원봉사 네트워크 적극 활용
- 중앙부처·지자체·학교의 점검 역할 수행
- 학교 식재료 등록 체제 마련
[자료: 대만 행정원 식품안전사무실]
전 정부 때부터 8개년 정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미래기초건설계획(2017.9.~2025.8.)'에서도 식품 안전 분야의 사업이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식품·의약품 안전 부처 건물 신설 ▲세관검사 자동화 정보관리 시스템 업그레이드 ▲지자체 위생과의 자체 검사 역량 강화 ▲고정밀·고유량(high flow) 검사 장비 도입으로 중앙부처의 검사 역량 강화 ▲식품 매개성 질병, 신종 감염증 의약품에 대한 검사 역량 강화를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최신 동향
2014년 불량 식용유 파동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크게 증폭된 지 10년째 되는 2024년 초, 대만에서는 공업용 '수단색소(蘇丹紅)'를 함유한 고춧가루가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돼 큰 논란이 일었다. 수단색소 파동이 확산되자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식약처 격)는 2024년 3월 6일부터 수입산 고춧가루에 대해 엄격한 수입검사를 실시하기 시작했다. 2025년 3월 5일까지 1년 동안은 수입산 고춧가루에 대해 수단색소를 비롯한 잔류농약 함량 모니터링을 원산지 불문 전면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산 고춧가루 선적물이 다수 부적격 판정돼 반송‧폐기 처분을 받았고, 부적격 제품을 수출한 한국업체를 대상으로 한 달 동안 수입검사 신청접수를 중단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잔류농약 함량 초과 문제는 농산물뿐만 아니라 라면 제품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2022~2023년에는 일부 특정 한국 라면 제품에서 함량 기준을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돼 수천 kg에 달하는 선적물이 반송‧폐기된 바 있다. 현지 소비자보호단체에서도 자체적으로 무작위 선별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4년 유아용 쌀과자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에서는 한국 제품의 중금속 성분이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된 바 있다. 라면이나 쌀과자는 한국 제품이 시장 내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기업 현황
대만 주요 식품기업 중 하나인 유니프레지던트(Uni-President)는 한국에서 '퉁이(統一)'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유니프레지던트는 대만 주요 편의점(세븐일레븐 타이완)과 대형마트(까르푸 타이완)도 보유하고 있으며, 2024년 7월에는 대만 공정위로부터 야후 타이완과의 기업결합도 승인받았다. 향후 야후 타이완 브랜드의 전자상거래 사업도 유니프레지던트가 이어받아 운영하게 된다. 유니프레지던트는 지난 2019년 한국 웅진식품도 인수했다. 웅진식품 인수 이후 유니프레지던트가 운영하는 세븐일레븐 편의점에서는 다양한 한국 식품이 유통되고 있다.
육가공 식품 분야에서 인지도가 높은 신동양(Hsin Tung Yang)의 경우, 외식 사업도 운영 중이다. 2022년에는 한국 외식경영 전문가의 한식 프랜차이즈를 대만에 들여와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닭고기 생산유통업체 CP(Charoen Pokphand)는 팬데믹을 계기로 간편식 제품 사업을 본격화했다. 사료 생산부터 사육, 도축, 가공에 이르는 일관생산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간편식 생산능력은 연간 3000톤에 달한다고 한다. CP는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고령자용 식품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분야별 대만 주요 식품 기업>
분야
기업명(2023년 순매출액 순 나열)
통조림/캔류
Hsin Tung Yang, Vedan, Kim Lan Foods, AGV, Taiwan Kagome 등
냉동식품
Charoen Pokphand, Shuh Sen, Lian HWa Foods, Taiwan Farm Industry,
May Lan Lei 등
유제품
Central Union Oil, May Lan Lei, FOPCO, FwuSow Industry, TTET Union 등
동‧식물성 유지
Uni-President, Standard Foods, Wei Chuan Foods, AGV, YunLin Dairy 등
쌀‧밀가루 제품류
Uni-President, TTET Union, Lien Hwa Milling, Top Food Industry, Vedan 등
간편식
Laurel Enterprises, Chi Mei Frozen Food, Okulin Enterprises,
Chen Hsiang Foods, Tai-Yu Foods 등
[자료: 대만 CRIF ‘2024 대만 TOP5000 대형기업랭킹’(2024.6.)]
2. 산업의 수급 현황
생산 동향
대만 경제부 통계처 자료에 따르면, 대만의 식품산업(도축업 제외, 건강기능식품 포함) 생산액은 2014년 4000억 대만달러 대에 진입했고 2019년 5000억 대만달러를 돌파했다. 2022년에 6000억 대만달러를 넘어섰으며 2023년에는 전년 대비 4.6% 성장하며 6651억 대만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1년에 작성‧게시한 자료와는 통계 수치에 차이가 큰 편이다. 식품산업에 포함되는 하위 품목이 새로 편성되면서 통계상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본문의 ‘대만 식품산업 생산액’은 2024년 7월 26일 조회 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대만 식품산업 생산액>
(단위: 억 대만달러, %)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생산액
5,159
5,397
5,867
6,359
6,651
증감률
7.8
4.6
8.7
8.4
4.6
[자료: 대만 경제부 통계처]
업종별로는 육류 가공‧보존업의 생산액이 전체 산업 규모의 11.1% 비중으로 가장 크고, 베이커리 식품류 제조업, 제분업, 간편식 제조업 등이 뒤를 잇는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육류 가공‧보존업 규모가 가장 큰 폭인 280억 대만달러 증가했고, 제분업을 비롯한 동‧식물성 유지류, 간편식, 베이커리 제품류 제조업이 각각 117억~153억 대만달러에 달하는 증가 폭을 보였다.
<업종별 생산액(2023년 기준)>
(단위: 억 대만달러, %)
업종
생산액
비율
업종
생산액
비율
육류 가공‧보존
984
11.1
도정
210
2.4
베이커리 식품류 제조
793
8.9
면류 제조
210
2.4
제분
515
5.8
조미료 제조
201
2.3
간편식 제조
464
5.2
초콜릿/사탕 제조
98
1.1
유제품 제조
424
4.8
설탕 제조
96
1.1
동‧식물성 유지류 제조
407
4.6
차(tea) 제조
89
1.0
건강기능식품류 제조
360
4.1
전분제품 제조
87
1.0
과일‧채소 가공‧보존
329
3.7
기타
1,075
12.1
수산 가공‧보존
308
3.5
합계
6,651
100.0
[자료: 대만 경제부 통계처]
판매 동향
대만의 식품 시장 규모는 2023년에 500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대만 식품 시장 규모는 522억 달러로 전년 대비 4.7% 성장했다. 2027년에는 연간 시장 규모가 6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품목별로는 ‘빵‧시리얼 제품’의 시장 규모가 약 103억 달러로 가장 크고, ‘채소’와 ‘유제품‧달걀’이 각각 약 61억 달러, ‘간편식’ 57억 달러, ‘스프레드‧감미료’ 55억 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다.
<대만의 식품 시장 규모>
(단위: 억 달러)
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시장 규모
412
410
439
479
498
522
546
566
585
604
주: 2024년부터는 전망치
[자료: Statista Market Insights ‘Food-Taiwan’(2024.6.)]
수출입 동향
대만의 식품 수출 규모는 연간 40억 달러 안팎에 달한다. 품목별로는 ▲어패류, ▲기타 조제식료품, ▲빵류의 합산 비중이 전체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23년에는 어패류의 수출이 전년 대비 6.5% 감소했고, 기타 조제 식료품과 빵류는 각각 3%대로 감소했다. 국가‧지역별로는 대 미국, 일본, 홍콩 수출이 각각 10%대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 한국 수출 비중도 5%에 달한다.
수입은 연간 150억 달러 안팎으로 수출보다 3배 가량 많다. 품목별로 ▲식용육, ▲채유용 종자 및 인삼, ▲곡물, ▲어패류가 각각 10% 초·중반대 비율로 나뉘어 있다. 4개 주요 품목 모두 2022년 대비 수입 규모가 감소한 가운데 곡물 수입이 가장 큰 폭(-24.0%)으로 감소했고 육류 수입은 소폭 감소(-2%)에 그쳤다. 국가‧지역별로는 대 미국 수입이 전체의 약 1/4 비중을 차지하며 브라질이 11.7% 비율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대만의 11위 식품 수입대상국으로 전체 대비 2.0% 비중을 차지한다.
<대만의 식품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수출
금액
4,400
3,941
4,400
4,122
3,914
증감률
2.2
-10.4
11.7
-6.3
-5.1
수입
금액
11,206
11,209
13,135
15,550
14,204
증감률
1.8
0.0
17.2
18.4
-8.7
주: HS코드 02~04, 07~13, 15~21류 합산 기준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품목별 수출입 현황(2023년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
수출
수입
품목명(HS코드)
수출액
비중
품목명(HS코드)
수입액
비중
어패류(03)
1,469
37.5
육류(02)
2,102
14.8
기타 조제식료품(21)
923
23.6
채유용 종자 및 인삼(12)
2,061
14.5
빵류(19)
503
12.8
곡물(10)
1,875
13.2
동‧식물성 유지(15)
150
3.8
어패류(03)
1,484
10.4
육‧어류 조제품(16)
141
3.6
기타 조제식료품(21)
1,180
8.3
채소‧과실 조제품(20)
140
3.6
과실‧견과류(08)
934
6.6
커피‧차‧향신료(09)
123
3.1
낙농품‧조란(04)
817
5.8
채소(07)
100
2.6
빵류(19)
618
4.3
설탕과자류(17)
92
2.4
동‧식물성 유지(15)
528
3.7
곡물(10)
89
2.3
채소‧과실 조제품(20)
510
3.6
과실‧견과류(08)
67
1.7
설탕과자류(17)
481
3.4
채유용 종자 및 인삼(12)
49
1.3
커피‧차‧향신료(09)
406
2.9
밀가루‧전분(11)
35
0.9
채소(07)
373
2.6
낙농품‧조란(04)
16
0.4
밀가루‧전분(11)
335
2.4
식물성 추출물(13)
8
0.2
육‧어류 조제품(16)
268
1.9
코코아 제품(18)
7
0.2
코코아 제품(18)
160
1.1
육류(02)
1
0.0
식물성 추출물(13)
74
0.5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국가별 수출입 현황(2023년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
수출
수입
국가명
수출액
비중
국가명
수출액
비중
미국
749
19.1
미국
3,520
24.8
일본
581
14.8
브라질
1,664
11.7
홍콩
460
11.7
뉴질랜드
900
6.3
중국
306
7.8
일본
818
5.8
태국
251
6.4
중국
789
5.6
한국
202
5.2
호주
719
5.1
베트남
137
3.5
태국
650
4.6
호주
129
3.3
베트남
480
3.4
말레이시아
120
3.1
말레이시아
467
3.3
싱가포르
113
2.9
캐나다
300
2.1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대(對)한국 수출입 동향
대만은 한국으로 어패류를 주로 수출하고 빵류와 기타 조제 식료품 위주로 수입하고 있다. 대만의 대 한국 식품 수출에서 어패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5%에 달하며, 수입에서는 빵류와 기타 조제 식료품이 각각 20%대 비중으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최근 5년간 대한국 식품 수입을 살펴보면 빵류 수입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19년 4058만 달러였던 빵류 수입 규모는 2023년 7334만 달러로 약 81% 급증했다. 기타 조제 식료품의 수입은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작은 편이다. 2019년 6359억 달러에서 2023년 6714만 달러로 늘어난 수준이다.
<대 한국 수출입 품목 구조(2023년 기준)>
(단위: 만 달러, %)
수출
수입
품목명(HS코드)
수출액
비중
품목명(HS코드)
수입액
비중
어패류(03)
9,031
44.6
빵류(19)
7,334
25.9
기타 조제식료품(21)
4,227
20.9
기타 조제식료품(21)
6,714
23.7
동‧식물성 유지(15)
3,069
15.2
채유종 종자 및 인삼(12)
3,485
12.3
빵류(19)
2,145
10.6
채소‧과실 조제품(20)
2,794
9.9
과실‧견과류(08)
460
2.3
과실‧견과류(08)
2,709
9.6
커피‧차‧향신료(09)
297
1.5
어패류(03)
1,451
5.1
육‧어류 조제품(16)
292
1.4
채소(07)
1,198
4.2
채소‧과실 조제품(20)
263
1.3
육‧어류 조제품(16)
930
3.3
채소(07)
232
1.1
밀가루‧전분(11)
548
1.9
설탕과자류(17)
109
0.5
설탕과자류(17)
270
1.0
코코아 제품(18)
41
0.2
(18)코코아 제품
225
0.8
채유종 종자 및 인삼(12)
25
0.1
식물성 추출물(13)
203
0.7
육류(02)
20
0.1
커피‧차‧향신료(09)
193
0.7
낙농품‧조란(04)
14
0.1
동‧식물성 유지(15)
122
0.4
밀가루‧전분(11)
4
0.0
낙농품‧조란(04)
100
0.4
곡물(10)
1
0.0
곡물(10)
2
0.0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4. SWOT 분석과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K-콘텐츠, SNS를 통한 K-푸드 저변 확대
- 식품 위생‧안전 관리에 대한 신뢰도 높은 편
- 작은 내수시장 규모
- 현지 시장 내 경쟁 지위가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
Opportunities
Threats
- 인구구조·생활양식 변화에 따른 고품질·건강·소용량·간편 식품 수요 확대
- 동남아 화인 포함 범중화권 시장에 대한 접근성
- 식품 위생 안전 규정 강화 추세
- 마케팅·품질관리 인재 확보에 어려움
진출 전략
대만 소비자들은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고 대만 사회의 인구 고령화도 심화되는 추세라는 점에서 무첨가(또는 저첨가), 최소가공, 영양식·노인식 등과 같은 제품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장인 만큼 식품 안전에 민감하고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경향이 강한 곳이라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생산유통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겠지만, 대만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위생 당국이 요구하는 각종 성분별 허용 기준을 준수하는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대만 시장 내 한식 저변 확대로 한국 식품이 활발하게 유통되는 가운데 식품 안전 관련 불미스러운 사태가 발생하거나 사태 수습이 온당치 않을 경우, 한국 식품에 대한 이미지도 단기간 내에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자료: 대만 경제부 통계처, 대만 재정부 관무서, Statista, CRIF, 현지언론 보도자료(중국시보, 푸드넥스트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대만 식품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필리핀 문화로 자리잡은 밀크티, 성장 비결은?
필리핀 2024-08-08
-
2
영양제 대신 음료수 마신다! 미국, '건강한 소다' 인기
미국 2024-08-06
-
3
몽골 소스 시장 동향
몽골 2020-07-24
-
4
AI4BELGIUM 전략에 따라 발전하고 있는 벨기에 AI 생태계
벨기에 2024-09-04
-
5
2024년 대만 화장품 산업 정보
대만 2024-02-06
-
6
1인 가구 전성시대, 대만 싱글경제 소비 시장
대만 2024-09-25
-
1
2024년 대만 화장품 산업 정보
대만 2024-02-06
-
2
2023년 대만 반도체 산업 정보
대만 2023-04-14
-
3
2022년 대만 문화콘텐츠 산업 정보
대만 2022-04-06
-
4
2022년 대만 풍력발전 산업 정보
대만 2022-03-15
-
5
2022년 대만 화장품 산업 정보
대만 2022-02-09
-
6
2021년 대만 식품 산업 정보
대만 202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