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 카타르 농수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양소망
  • 2021-12-02
  • 출처 : KOTRA

산업 개요


카타르 농수산업 GDP 규모는 2020년 기준 49천만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1%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단교 사태 이후 식량안보 확보 중요성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난 5년간 연평균 15% 성장을 기록하였다.

 

카타르 농수산업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GDP 규모

279

346

400

459

489

증감률

7

24

16

15

7

자료: QCB(Qatar Central Bank)

 

주요 생산품목은 청예사료, 대추야자 및 과일류, 육류, 유제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물류(보리, 밀가루 등)도 생산이 있으나, 대부분 해외에서 원료를 수입해 현지에서 가공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농수산 분야 주요 품목 생산 동향(2020)

(단위: )

구분

생산량

청예사료(Green Fodder)

650,993

야채

103,695

낙농품

우유·치즈·요거트 등

206,683

계란

9,358

대추야자 및 과일류

26,914

육류

가금류(Poultry Meat)

35,267

육류 전반(Red Meat)

10,857

수산물

생선

15,087

곡물류

1,503

합계

783,105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카타르는 지리환경적으로 연 평균 70mm 이하의 낮은 강수량(주로 겨울철에 집중), 고온다습한 여름(최고기온 50이상) 그리고 해발 최고 높이 120m로 대부분의 지형이 평지인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환경 여건으로 인해 농수산 산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아 농지면적은 약 65,000 헥타르로 전 국토(116만 헥타르)5% 수준에 불과한 수준이다.

 

주요 정책


카타르국가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국가발전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2018-2022)  주요 목표 중 하나로 농업 분야 생산량 증대 및 식량안보 확보가 명시되어있다. 이를 위해 카타르 정부는 향후 5년간 매년 7,000만 리얄(1,900만 달러)을 농업분야에 투자해 현지 기업육성 및 자급률 확대 추진하고 있다.


먼저 20193월 자치환경부에서 발표한 농장 시설 확충 프로젝트에 따라, 에어컨을 설치한 비닐하우스 시설 1,600, 일반 비닐하우스 1,700, 수경재배 시설 100개 등 약 3,400여 개의 농장 시설이 순차적으로 건립 중이다국산 농산물 판매 지원을 위해 현지 프리미엄 농산물에 ‘Premium Qatari Vegetables’ 마크를 부착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또한  카타르 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들을 중간상 없이 대형 유통망에 직접 진열해 수입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Qatar Farms Program을 추진 중에 있다.

 

Premium Qatari Vegetables 마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38c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8pixel, 세로 539pixel

자료: Peninsula

 

주요 이슈


20176월 사우디아라비아의 주도하에 아랍에미레이트, 예멘, 바레인, 이집트, 리비아 등 아랍권 6개국이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하면서 2016년 기준 카타르 식품시장 점유율의 30%를 차지하던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레이트으로부터의 수입이 중단되었다.이로 인해 국민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이 발생하였고식량 자급률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단교사태 경험 이후 식품 분야를 시작으로 빠르게 자급률을 높여가고 있으며, 정부 및 민간 주도의 제조업 산업 육성을 통해 대외 의존도를 낮춰가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20194월 식량안보 전담부서인 Food Security Department 신설하여 식량안보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관련 신규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농수산식품 분야 생산성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주요기업 현황


기업명

사업분야 및 생산품목

홈페이지

Baladna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등), 주스 등

www.baladna.com

Ghadeer Dairy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등), 주스 등

www.ghadeerdairy.com

Agrico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agrico.qa

Arab Qatari Agricultural Production Company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www.qt-fa.com

Al Qamra Holding

가축농장(, 낙타)  양어장(농어, 적도미, 하무르)

www.al-qamra.com

   자료각 사 홈페이지

 

수입 동향


2020년 기준 HS Code 01~22에 해당하는 농수산식품 수입금액은 299억 달러로 전년대비 지난 5년간 1% 감소하였다.

 

농수산식품 수입 동향(HS Code 0122)

(단위: US$ 백만, %)

2016

2017

 2018

2019

 2020

연평균

성장률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3,117

3

3,246

4

3,321

2

3,072

7

2,987

3

1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농수산식품 주요 수입국은 인근국인 인도, 레바논, 터키, 이란 등의 국가들과 호주, 미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타르 단교사태의 영향으로 20161, 2위 수입국을 차지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로부터의 수입은 단교 이전 30%였던 반면 2020년 기준으로 전혀 수입되고 있지 않다. 단교국 국경봉쇄 및 식량안보 강화 움직임에 따라 상위 10위 수입국 전반적으로 반사이익을 얻었으며, 특히 인접국인 이란(1,363%), 터키(225%), 오만(139%), 레바논(108%) 등에서 상당한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농수산식품 주요 수입국(HS Code 0122)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

(’16년 수입액 대비)

1

인도

390

13

36

2

호주

282

9

20

3

미국

183

6

49

4

터키

161

5

225

5

브라질

154

5

2

6

네덜란드

140

5

36

7

이란

110

4

1,363

8

오만

101

3

139

9

프랑스

100

3

7

10

레바논

87

3

108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진출 전략 및 유망 분야


Strength

Weakness

· 천연가스·석유 수출로 축적한 정부 및 국영기업의 탄탄한 자본력

· 정부주도의 경제 다각화 추진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환경

· 수도·전기·연료 등 저렴한 유틸리티 비용

·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고급 전문직)

· 토지 및 기후 등 척박한 경작 환경

· 현지생산 제품의 다양성 부족 및 충분한 물량확보 애로

· 높은 해외 수입 의존도

Opportunities

Threats

· 식량 자급률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농업 분야 지원

· 외국인투자법 개정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에 따른 100% 외국인 

  투자 허용 추진

·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은 Made in Qatar 제품

 

카타르의 농수산 식품의 대외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편으로, 인근국(이란, 터키, 인도 등) 수입제품 대비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다.

관심기업은 카타르에서 매년 개최되는 농식품 전시회 AgriteQ에 전시부스 운영 혹은 참관객으로 참여하여 잠재 파트너 발굴 및 초기 연락채널 구축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 한국산 제품의 경우 운송비가 높아 시장 경쟁력이 낮은 편으로, 단가가 저렴하면서 보관기간이 길어 해상운송이 가능한 제품의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유망 분야로는 국토의 5%에 불과한 제한적인 경작지 내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수직농장 및 스마트 팜 기술이 꼽힌다. 일부 현지 기업의 경우 농장 설립이 가능한 토지는 보유하고 있으나, 사업계획을 실현할 기술 및 운영 노하우가 부족함에 따라 유사한 경작환경에서의 사업경험이 풍부한 해외기업과의 R&D 협력 수요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발굴해보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CB(Qatar Central Bank), 주요 일간지(Peninsula),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 카타르 농수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