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몽골의 광업
  • 국별 주요산업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21-04-28
  • 출처 : KOTRA

 

. 산업 특성

 

광업 관련 주요 기관


몽골의 광업 관련 주요 기관은 광업중공업부이며, 주요 기능은 광업 및 중공업을 발전시킴으로써 광물자원 확보량 확대, 경제적으로 균형 있는 다각적인 경제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광업중공업부의 업무 범위는 지질학, 광업, 중공업, 석유산업에 관한 정책 수립 및 법규 환경 개선, 해당 분야 제도 확립, 경제적 효율성 제고, 민·관 협력을 통한 갱쟁력 향상 등을 시행함으로써 투명하고 책임 있는 광업중공업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몽골 광업중공업부 관장 업무

주요 업무

세부 내용

과제1

지질학적 정책 수립 및 법규 환경 개선, 지질학 및 광물탐사 실시

과제2

광산업의 정책 수립 및 법규 환경 개선, 각종 광물 개발, 제련, 판매, 수출에 관한 정책적 지도

과제3

중공업 분야 정책 수립 및 법규 환경 개선, 선진 혁신 기술의 도입, 정착화, 개혁을 통한 산업기술파크 조성

과제4

연료 및 석유 관련 정책 수립 및 법규 환경 개선, 석유 및 비전통 석유(석탄액화연로, 오일셰일, 오일샌드) 탐사 및 개발 사업 강화, 채굴 및 판매의 점진적인 증대, 석유제품의 수요와 공급 안정화 및 품질 개선, 대기오염의 저감

과제5

관할 분야에 대한 경제적 효율성의 제고 및 투자유치, 선진 및 친환경 기술의 도입, 민·관 협력을 통한 경쟁력 향상, 산업안전성의 확보

과제6

민간 참여를 통한 투명하고, 책임 있는 광산업으로 발전

자료: 몽골 광업중공업부

 

몽골의 광업중공업부는 하위 기관인 1)광물석유청(Mineral Resources and Petroleum Authority, MRPAM) 2)국가지질과(National Geology Service)를 두고 있다. 광물석유청은 몽골 정부  지질학·광물·석유 관련 정책 수립에 전문성 및 전문지식 지원, 정부가 수립한 정책 시행을 통해 국가 경제에 광물 및 석유 산업에 기여도 향상, 투자자 및 기업체에 대한 광물·석유 탐사허가, 광물·석유 채굴허가를 발급하는 업무 전반을 수행한다. 몽골 정부가 2020년도에 재개편한 국가지질과는 몽골 영토에서 지질학, 지구물리학, 지구화학, 수리지질학, 지질생태학적 조사 실시, 광상분포도의 원리  조사를 통한 광물자원 가치전망치 평가실시, 국가 지질학 및 광물자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국가기밀이 아닌 이상 관심자에 정보제공하는 업무 전반을 수행하고 있다.  

 

몽골 광업중공업부 조직도

자료: 몽골 광업중공업부 자료 재구성

 

 

광업 정책 및 규제

 

몽골 정부는 2006년 기존의 광물법을 개정하면서 광산을 전략광산, 일반광산, 기타 광산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생산규모가 GDP5%를 넘고, 국가안보 및 경제·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15개 광산을 전략광산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전략광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채굴권의 승인, 투자보장계약 심의, 정부 지분율 결정 등에는 국회의 승인이 필요한데, 광산 개발 방식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정부가 전략광산에 반드시 지분을 보유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몽골 전략광산에는 구리, , 석탄을 비롯하여 철, 우라늄, 몰리브덴, , 아연 등 주요 광물이 포함되어 있다.


몽골의 15개 전략광산 지도

자료: 외교부, 몽골 개관.

 

몽골 전략 광상 현황

광상명

위치(아이막)

광종

현황

가채광량

Tavan Tolgoi

Umnu-govi

석탄(C)

개발/생산(`66)

7,400백만톤

Oyu Tolgoi

Umnu-govi

(Cu), (Au)

개발/생산(`13)

Cu 4.6백만톤

Au 335

Baganuur

Tuv

석탄(C)

생산(`78)

600백만톤

Shivee Ovoo

Dund-govi

석탄(C)

생산(`92)

600백만톤

Nariin Sukhait

Umnu-govi

석탄(C)

생산(`03)

390백만톤

Tumurtei

Selenge

(Fe)

생산(`07)

121백만톤

Burenkhaan

Khuvsgul

(P)

개발

40백만톤

Tumurtein Ovoo

Sukhbaatar

아연(Zn)

생산(`05)

1백만톤

Tsagaan Suvarga

Dorno-govi

(Cu), 몰리(Mo)

개발(`15)

Cu1.3백만톤

Mo43천톤

Erdenet

Orkhon

(Cu), 몰리(Mo)

생산(`78)

Cu4.0백만톤

Mo100천톤

Dornod

Dornod

우라늄(U)

F/S

24천톤

Gurvabulag

Dornod

우라늄(U)

F/S

8천톤

Mardai

Dornod

우라늄(U)

탐사

1천톤

Asgat

Bayan-ulgii

(Ag)

F/S

2천톤

Boroo

Tuv

(Au)

생산(`04)

39

자료: 몽골 투자실무 가이드(KORES)

 

몽골 정부의 광물자원 개발 정책의 방향은 정부의 영향력을 유지하면서, 외국자본을 유치하여, 광업부분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2014년에 광산 개발에 관한 정책을 확정했으며, 동 정책은 안정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해 자연환경에 악영향이 적은 신기술 및 혁신기술 장려를 통해 광물 탐사, 채굴, 가공 산업의 품질 향상, 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을 통해 국제적으로 국가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광물자원 확보 매장량 확대를 위해 지질학적 조사 및 탐사를 지속 추진할 것이며, 광물 채굴산업에 있어서 국가 장기발전 방향과 연관하여 1)안정적인 경제성장 시현, 2)수출 광물개발에 집중 3)산업안전 및 산업위생이 확보된 환경친화 광업의 발전  4)투명하고, 책임있는 광물 채굴 및 광물 가공 산업을 발전시키는 방침을 견지하고 있다.

 

몽골 정부 광물개발 산업 정책 방향

1.

전략광산에 대한 국가 관리감독과 책임을 강화함으로써 해당 광산의 경영, 경제적 유익성을 향상

2.

인체, 자연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적은 기술 및 기계장비를 활용하는 책임 있는 광업 기업체에 대해 정책적 지원

3.

광물 채굴량 및 수출량을 국가 경제상황, 산업화 수준, 국내외 시장 전망과 연관하여 계획적으로 추진

4.

광산업에 대해 정부 및 지자체 감독, 각종 로열티 및 패널티 부과 업무를 지체없이 신속하게 처리

5.

광물성 수입제품을 대체하는 광물 개발 및 생산을 정책적으로 지원

6.

광물개발 산업의 생산성 증대를 위해 광물 채굴업에 과학기술적 발견을 도입하여, 경쟁력을 향상

 

 

몽골 정부가 광업 관련 정책 방향과 연계하여 경제적 가치 및 중요도가 큰 금, 구리, 석탄, 석유, 철 관련 중공업 개발 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경제침체 타개를 위한 광물 개발 촉진화 및 수입대체, 광물가공산업의 발전을 독려하는 사업이다.

  

몽골 정부 추진 광업 관련 주요 사업

금 관련

주요 사업

-(1992-2000) 프로그램 실시 결과 전체 수출 중 금 비중이 9.1%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2016년 경제침체로 금-Ⅱ 프로그램을 시행하기로 결정. 2016~2025년까지 3단계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금 개발량을 연간 2~3톤 증산하여, 최대 25톤으로 늘리는 것으로 목표로 함. 스위스 등 해외국가에서 금을 정제하고 있는 몽골이 자체 금 정제 공장을 설치하기로 계획중이며, 2019년 몽골-카자흐스탄 비즈니스 포럼에서 카자흐스탄으로부터 정제기술을 무상지원받기로 상호 동의함.

구리 관련 주요 사업

최대 수출광물인 구리 개발량의 확대 및 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주요 사업으로는 오유톨고이(OT) 광산 부근 항복드 지역에 구리 제련소를 설치하기로 계획중.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완료된 상황이며, 연간 100만톤 구리정광을 가공하여, 전기동 25.7만톤, 6톤 은 60톤을 생산 가능한 규모의 제련소를 설치하기 위해 투자자 선정 과정에 있음.

석탄 관련 주요 사업

최대 보유 광물자원으로써, 석탄 개발에 있어서 연간 석탄 수출량을 3천만 톤에서 4천만 톤으로 늘리고, 석탄으로 부터 대체천연가스(SNG)를 생산하는 공장을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중임. 바가노르 석탄광산 부근에 102ha 부지에 SNG 7.2 m³, CNG 또는 LPG 5만 톤, 휘발유 32만톤, 전기 1.8kWt/h 생산 가능한 공장 설치하기로 계획. 필요 투자자금은 25억 달러며 투자원금 회수기간 8~10년으로 예상

석유 관련 주요 사업

석유매장량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탐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연간 석유 개발량은 약 1백만 톤이며, 1.9백만 톤의 석유 제품을 러시아, 중국, 한국 등 국가에서 수입하고 있음. 2018석유개발정책을 확정하였으며, 동 정책에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석유 정제공장을 설치하기로 계획되어 있음. 2017년 인도 수출입은행(EXIM BANK OF INDIA)에서 정유공장 설립을 위한 자금의 차관약정 체결하였으며, 동년 4월 몽골 정부 석유 정제 공사국영기업 개설. 총 투자자금 12억 달러며, `2010월 몽골 석유 정제공사와 인도 기업 ‘JMC PROJECTS INDIA’ EPC 계약 체결하였음. 현지 석유제품 수요의 55%를 충당하는 정유공장이 2024년도 완공 예정임.

중공업 관련 주요 사업

2018년도에 중공업개발 계획 프로그램을 수립했으며, 동 계획의 주요 내용은 몽골이 원자재 수출국에서 광물 가공 및 화학산업이 발전한 국가로 전환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1)유색금속가공업(구리용해 및 금 정제공장) 2) 철금속 가공업 3)석유가공업에 국내외 투자유치 및 해당 산업의 정책적 육성임. 따라서 기존 다르항시 위치 철금속공장을 확대하여, ‘TUMURTEI’ 청광석 광산에서 원료 공급하여, 다르항-셀렝게 철금속 가공산업단지를 계획하고 있음. 

 

 

주요 이슈


몽골이 석유정제 공장 설치 가속화를 위한 석유정제공장 지원법을 제정하여, 2021 1 29일 국회 통과하였다. 동 법의 주 목적은 도르노고비 아이막, 알탕시레 솜 위치 국영 정유공장 설립 및 송유관 설치에 대한 정부지원과 관련된 관계를 조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인 지원 사항은 몽골 정부가 확정하는 정유공장에 대한 정부지원 규정으로 정하며, 주요 지원사항은 정유공장 건설공사 프로젝트에 해외에서 인력 채용, 건설 장비, 기자재 수입과 운송, 용수 사용 등과 관련된 지원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주요 기업 현황


광물석유청에 의하면 20211분기 기준 몽골 정부가 발급한 광업권수는 총 2,610개(614 ha)이, 이 중 1,698개가 채굴권, 912개가 탐사권이다. 광업권의 소유는 현지 기업 2,075, 외국인투자 기업 394, 합작기업 141개를 각각 소유하고 있다.  

 

20211분기 기준 광업권 소유 기업 현황

구분

소유자()

광업권수()

면적(ha)

전체

1,692

2,610

6,141,665 (100%)

현지 기업

1,356

2,075

4,619,675 (75.2%)

외국인 투자기업

241

394

1,214,719 (19.8%)

합작 기업

95

141

307,270 (5%)

자료원: 몽골 광물석유청

 

몽골에서 광업권을 소유하는 외국 기업이 전체 241개사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 중국 기업이 128개사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은 버진아일랜드 30개사, 홍콩 14개사, 싱가포르 14개사, 캐나다 12개사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 기업은 10개사가 12개 광업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전체 10,489ha 면적에 광물 채굴 및 탐사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몽골 광업권 소유 외국 기업 현황

국가명

소유자()

광업권수()

면적(ha)

전체

241

394

1,214,719 (100%)

중국

128

160

292,645 (24%)

버진아일랜드

30

56

107,954 (8.8%)

홍콩

14

28

73,213 (6%)

싱가포프

14

557

327,548 (27%)

캐나다

12

23

220,308 (18%)

한국

10

12

10,489 (0.8%)

러시아

4

5

2,490 (0.2%)

호주

4

4

22,097 (1.8%)

영국

3

4

6,038 (0.5%)

네덜란드

3

15

106,872 (8.8%)

자료: 몽골 광물석유청

 

몽골 광산업에 진출한 기업들 중에서 국제증권 시장 상장 기업체는 20여개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몽골 대규모 전략광산을 개발 중인 상위 10개 기업이 다음과 같다. 이중 몽골의 최대 광산인 오유톨고이 및 타반톨고이를 개발중인 Rio Tinto, Turquoise Hill Resources, Mongolia Mining Corporation 등도 있다.

 

국제증권 시장 상장사 현황

회사명

거래소명

거래소 심볼

단위

월간 주가 평균치

현재 시장가치

업종

2021.1

2021.2

Turguoise Hill Resources Ltd

NYQ

TRQ

USD

12.15

14.82

3.136B

 오유톨고이 구리광

Peabody Energy Corporation

NYQ

BTU

USD

3.67

4.17

400.836M

타반톨고이 석탄공 (West tshankhi)

Rio Tinto plc

LSE

RIO.L

GBp

5,958.5

6,148.0

101.995B

오유톨고이 구리광

Mongolia Energy Corporation Limited

HKG

0276.HK

HKD

1.13

1.24

225.751M

석탄광, 철광

(Khushuut, Olon Bulag)

Mongolia Mining Corporation

HKG

0975.HK

HKD

32.15

2.9

2.779B

타반톨고이 석탄광

(Ukhaa khudag)

South Gobi Resources Ltd

HKG

1878.HK

HKD

-

-

-

석탄광

(Ovoot Tolgoi Coal Mine)

Centera Gold Inc

TOR

CG.TO

CAD

14.36

13.73

3.565B

금광(Boroo, Gatsuurt)

Erdene Resource Development Corporation

TOR

ETG.TO

CAD

0.44

0.43

113.702M

금광, 구리광(Bayan Khundii, Altan Nar, Dark horse, Ulaan, Zuun Mod, Khuvyn Khar )

Entree Resources Ltd

TOR

ETG.TO

CAD

0.53

0.625

124.568M

오유톨고이 구리광 (Heruga Deposit)

Silver Elephant Mining Corp

TOR

ELEF.TO

CAD

0.44

0.45

86.243M

석탄광 

(Ulaan Ovoo Coal Mine)

자료: 몽골 광물석유청

 

 

주요 광업 프로젝트 현황

 


타반 톨고이(TAVAN TOLGOI)


우문고비 아이막의 울란누르지역에 위치한 685km²  면적의 광상으로서 현재 일부 생산 및 개발중이다. 노천채탄 방식으로 개발되며, 개발이후 420km의 신규철도 건설 및 극동항 이용시 5,400km를 운송해야 필요가 발생하는 등 운송인프라가 미비한 실정이다. 타반톨고이 석탄광 광구면적이 전체 8 ha, 5개 광구(Tsankhi, Borteeg, Onch Kharaat, Oortsog, Bortolgoi, Ukhaa Khudag)로 구성된다.

`67년 부터 몽골 정부가 소규모 석탄 개발을 시작으로 `94년 민영화에 따라 국영기업 TAVANTOLGOI사에 광업권을 넘겼다. `04년 몽골 현지 기업인 MCS, PETROVIS, SKHUNKHLAI, MONNIS, ALTAI TRADE, MINE INFO 등의 14개 기업 컨소시옴이 ENERGY RESOURCE란 법인을 설립하여, 우하호닥(Ukhaa khudag) 광구를 개발하기 위한 탐사권 및 채굴권을 취득하였다.

현재 타반톨고이 광상에 석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은 중앙정부 소유 ‘ERDENES TAVAN TOLGOI’사와, 지방정부 소유 ‘TAVANTOLGOI’, 몽골 현지 기업체 컨소시옴 ‘ENERGY RESOURCE’사 등이다. 타반톨고이 광상 7개 광업권 중 5개는 ERDENES MONGOL사가 소유하고, 나머지 2개는 TAVANTOLGOI사와 ENERGEY RESOURCE사가 각 각 소유하고 개발중이다. 현재 타반톨고이 광상에 석탄 개발중인 유일한 민간기업 ENERGY RESOURCE사가 2010년에 홍콩 증권시장에 MONGOLIAN MINING CORPORATION사로 주식상장, 조달 자금을 이용하여 도로, 발전소, 송전선로, 석탄세척공장 등의 인프라시설을 구축하여, 생산한 석탄을 중국에 수출하고 있다.

 


오유 톨고이(OYU TOLGOI)



우문고비 아이막 항복드 솜에 위치한 8 ha 면적의 세계 3대 구리광산 중 하나이다. 구리, 금 등이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캐나다계 IVANHOE MINES사에 의해 탐사되어, 광업메이저사인 TURQUOISE HILL RESOURCES 66%, 몽골 정부 34%의 지분을 소유하는 형태로 2009년에 투자계약이 체결되었다. TURQUOISE HILL RESOURCES사는 다국적 광업기업인 RIO TINTO 50.8% 소유함으로 RIO TINTO가 운영권을 가지고 있다.

확정, 추정 및 예상 매장량을 모두 합산해 31.1억톤의 매장량이 보고되고 있으며, 품위는 Cu 0.98%, Au 0.299g/t이다. 노천광과 지하광구로 구분되며, 현재 노천광 채굴만 이뤄지고 있다. 지하광구 리프트 건설공사가 진행중이며, 2025년부터 지항광구 본격 생산에 들어가면 연간 순 구리 55만톤, 45만 톤으로 세계 3위 구리광산이다. 2020년 기준 한해 동광석 100만톤을 채굴하여, 69만톤 동정광을 수출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광업 수급 현황

 

광물 수출 동향


광업은 몽골 GDP24%, 산업생산의 72%, 수출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경제에서 비중이 큰 산업으로 산업 및 경제적 중요성이 큰 분야이다. 몽골의 광물채굴업은 생산 품목에 따라 크게 석탄 산업, 석유 산업, 금속광물 산업, 기타 광물 산업으로 분류된다. 광업은 산업경제의 주축인 만큼 국가 예산수입의 상당 부분을 충당하며, 2020년 기준 전체 예산수입 11.6조 투그릭 중 27.4%에 해당되는 3.1조 투그릭을 광업에서 세수를 확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몽골이 최근 3년간 약 50~60억 달러의 광물성 제품(Mineral Products)을 수출한 것으로 보이며, 광물 자원 수익을 창출하는 4대 광물은 석탄, 구리, , 철광석 등이다. 2020년도 몽골 정부가 석탄 4200만톤, 구리 122만톤, 19톤을 각각 수출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코로나로 인해 계획치를 달성하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석탄의 경우 전년도 3,646만톤에도 못미치는 2,867만톤을 수출하였다. 구리 정광은 전년도 보다 소폭 감소한 139만톤을 수출하였다면, 철광석은 820만톤을 각각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광물 중 전년대비 수출량이 증가한 광물은 몰리브덴 및 금이며, 몰리브덴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6,400톤을 수출하였다면, 금은 전년 대비 236% 증가한 30,500kg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금 수출량 급증이 몽골 정부의 경제침체 타개를 위한 금 개발 장려 정책에서 비롯된 결과이며, 주요 수출대상국가는 영국, 스위스, 싱가포르 등이다.

 

최근 3년간 광물 수출 동향

(단위:백만 달러)

구분

2018

2019

2020

수출량

금액

수출량

금액

수출량

금액

석탄(천 톤)

35,758.1

2,786

36,466.7

3,074

28,677.1

2,126.6

동정광(천 톤)

1,436.7

2,012

1,403.6

1,795

1,395.1

1,778.0

철광석(천 톤)

7,449.0

342

8,448.8

576

8,202.3

639.6

석유(천 배럴)

6,189.8

392

6,545.2

366

4,070.5

150.8

형석 정광,광석(천 톤)

555.2

189

700.1

205

678.9

156.3

아연 정광,광석(천 톤)

123.9

197

134.7

189

134.1

167.6

몰리브덴 정광,광석(천 톤)

5.9

49

5.6

49

6.4

40.7

(kg)

3,431.9

42.1

9,069.5

46.1

30,500

1,787.6

전체 광물성 제품 수출액

6,070.3

6,377.5

5,255.7

자료: 몽골 통계청, 광업중공업부.

 

광물성 제품 수입 동향


몽골이 최근 3년간 평균치로 약 10~13억 달러에 해당하는 광물성 제품을 수입하였으며 이는 몽골 전체 수입 중 15%의 비중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광물성 제품 중 주요 제품은 HS코드 2710류 석유제품, 2711류 석유가스, 2716류의 전력 에너지 등이다.

석유제품의 경우 생산기반이 없어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므로,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도 기준 8.1억 달러의 석유제품을 수입하였으며, 주요 수입 대상국가는 러시아(88%), 중국(5.9%), 한국(1.7%) 등이다. 석유가스 수입량은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3년 동안 연간 약 1,500~2,500만 달러에 해당하는 제품을 러시아(80%), 한국(19%) 등 국가에서 수입한 것으로 확인된다. 전력 에너지의 경우 전체 소비량의 80% 자체 생산하고 부족한 부분 20%를 러시아 및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광산개발 및 신도건설 등의 사업 추진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전력 수입량 또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간 약 1.4~1.6억 달러의 전력이 수입되고 있다.  

 

최근 3년간 광물성 제품 수입 동향

(단위: 금액 백만 달러)

구분

HS코드

2018

2019

2020

수입량

금액

수입량

금액

수입량

금액

석유 제품(천 톤)

2710

1,576.0

1,112.3

1,844.5

1,165.7

1,862.6

816.8

석유 가스( m³)

2711

110.8

25.3

62.7

17.4

63.5

15.9

전력 에너지(kWt/h)

2716

1,665.5

142.5

1,722.6

144.4

1,684.8

141.6

광물성 제품 수입액

25,26,27

1,325.7

1,372.2

1,007.2

자료: 몽골 관세청

 

오유톨고이, 타반톨고이 및 기타 대규모 전략광산 개발 착수에 따라 광산중장비 수요가 2010년 이후 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5년간 지속 증가세를 유지하다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5년간 수입통계를 살펴보면, 최소 300대에서 최대 1,300대의 광산 중장비를 수입하였으며, 수입금액은 1,880~18,610만 달러 수준이다. 최대 수입대상국가 중국이며, 그 다음은 일본, 한국, 독일, 미국의 순이다. 몽골의 대한국 수입은 2016년 부터 증가세를 보여 2018년도에 최고치(308)를 기록했으나, 그후로 감소세를 보여, 2020년도에 전체 1,170 달러에 해당하는 244대가 수입되었다.   

 

최근 3년간 광산중장비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국가명

2016

2017

2018

2019

2020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중국

216

7.5

446

23.7

746

54.7

869

58.1

731

32.9

일본

38

12.2

63

27.3

93

30.5

61

48.8

52

35.7

독일

-

-

4

3.7

6

7.4

18

24.3

4

0.7

한국

79

3.7

216

17.1

308

25.9

267

16.7

244

11.7

미국

13

3.1

37

4.0

29

5.8

38

10.7

39

19.7

벨기에

-

-

4

1.6

25

2.3

2

0.3

3

0.7

태국

-

-

-

-

5

1.5

6

3.0

6

3.1

프랑스

-

-

2

0.03

2

1.1

4

4.6

2

1.2

러시아

1

0.07

7

0.2

4

0.2

2

9.6

2

9.6

전체

329

18.8

816

87.2

1,234

133.1

1,303

186.1

1,140

125.9

자료: 몽골 관세청


.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 구리, 석탄, 형석, , 은 등 80여종 광물이 풍부한 세계 10대 자원 부국

- 세계 최대 자원 수요국이자 거대 시장 중국과 러시아에 인접한 위치

- 열악한 인프라 문제 해소를 위해 도로, 철도, 전력 등의 주변 인프라 구축과 연계 개발 정책 추진

- 세계 최하위권 운송인프라 미흡 국가로 막대한 초기 개발 비용 필요

- 내륙국가란 지정학적 딜레마로 제3국에 수출하는데 운송비 면에서 경제성이 약함

- 인구 3백만명의 협소한 내수시장이자 산업기반이 없는 한계점

Opportunities

Threats

 - 내륙국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3이웃 정책 전개로 한국 등 국가와 적극적인 협력 도모

- 전 국민 중 1% 이상이 우리나라에 정주하는 등 양국간 민간교류 활성화

- 경제구조상 한국과 몽골이 상호보완적 관계로 기업체 차원 협력의지가 강함

-과도한 광업의존 경제구조로 국가이익을 최대화하려는 잦은 정책 변경

-유목전통 문화가 뿌리 깊어 자국 영토를 보호하기 위한 자원민족주의 대두

-만연한 부정부패로 불투명한 행정절차

 

유망 분야


한반도의 약 8배에 달하는 광활한 영토를 소유한 몽골에는 아직도 제대로 탐사가 이뤄지지 않은 곳이 많다. 향후 지속적인 지질 탐사가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나 몽골 정부가 독자적으로 진행하기는 막대한 자금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해외 민간기업체의 지질탐사 분야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래산업에 필요한 구리,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전기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코발트, 망간 등의 희귀 광물에 대한 지질조사 등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몽골 현정부의 대규모 전략광산 개발 의지에 따라, 광산중장비 시장 또한 지속적인 활성화가 예상된다. 몽골의 광산중장비 3대 수입대상국가 중 하나가 한국이며, 우리나라 기업체 중 ‘H’사의 ‘E’브랜드가 몽골에 진출한 상황이다. 중국 제품 보다는 품질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미국이나 유럽 브랜드 보다 운송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다. 그러나 대규모 국영기업이나 다국적 해외광산기업이 아닌 이상 현지 소규모 광산기업들은 신제품 수입할 자금력이 약하므로 장비 임차를 하거나 외상거래를 선호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광산중장비 및 자동차용 윤활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연간 윤활유 수입이 약 5천만 달러 수준이다. 주요 수입대상국가는 한국, 싱가포르, 러시아, 독일, 중국 순이며, 한국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30% 수준이므로 지속적인 시장점유율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타 국가 제품 보다 우리 나라 윤활유 제품이 호평을 받는 편이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만 갖춘다면, 시장 진출에 있어서 성공 가능성과 전망이 밝다.

 

몽골 시장의 현황 파악 및 주요 기업체와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장터는 바로 현지 개최 대규모 광업 전시회이며, 연간 1회 개최되는 광업 전문 전시회는 현지 기업 마이넥스 몽골리아사가 주관하는 ‘MINING MONGOLIA’전시회이다. 2021년도에 5월 중순에 개최될 예정이며, ‘Mining Mongolia’ 외에도 ‘Expo Mongolia’전시회에서도 광산 분야에서 전시회 참가 및 참관이 가능하다.

 

몽골 현지 개최 광업 관련 주요 전시회 일정

전시회명

전시 분야

개최기간

주관기관

장소

MINING MONGOLIA

(International Mining&Oil)

www.mongolia-mining.com

광업기술, 광산 중장비, 광산 관련 기자재, 오일 기타

2021.5.12~14

Minex Mongolia

Buyant Ukhaa Sports Palace

BULD MONGOLIA EXPO

(Building&Energy&Mining)

www.buildmongolia.com

 

건축, 에너지, 광업, 광산 중장비

2021.10.07~09

Expo Mongolia

Misheel Expo Center

자료: 각 기관 웹사이트

 

 

자료: 몽골 광업중공업부, 투자실무 가이드(KORES), 외교부, 관세청, 통계청, 광물석유청, 각 언론 기사, KOTRA울란바토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몽골의 광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