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치약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4-12-10
  • 출처 : KOTRA

미백·한방 성분을 함유한 고급 치약 선호

한국 치약 중에는 '죽염'이 인기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치약

330610

 

 

시장 동향

 

중국 소비자들의 구강 위생에 대한 관심이 늘고 구강 건강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중국 치약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구강청결제품산업협회에 따르면, 중국 치약 시장은 2018년에 약 220억 위안에서 2021년의 약 280억 위안으로 약 27% 성장했다. 2022년에는 성장세가 잠시 둔화됐지만 2023년에는 시장 규모가 280억 위안으로 회복됐고, 향후 연평균 5%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18~2023년 중국 치약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첸잔(前瞻)연구원]

 

중국 치약 산업 주요 기업들은 주로 광둥, 저장, 상하이, 톈진, 장쑤 등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으며, 그 외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기업 수가 적은 편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광둥의 DARLIE(好来), 저장의 나아이스(纳爱斯), 상하이의 중화(中华), 톈진의 류비즈(六必治), 장쑤의 룽리치(隆力奇) 등이 있다.

 

한편, 중국 보고서 발표 플랫폼인 ‘중국보고대청(中国报告大厅)’이 발표한 ‘2024 치약 산업 발전 트렌드’에 따르면, 치약을 선택할 때 브랜드 인지도뿐만 아니라 제품의 효능과 기능적 특성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특히 제품 효능 측면에선 미백 치약과 한방·식물 성분 치약이 최근 중국 소비자들의 주요 선호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2023년 중국 치약 시장에서 미백 치약의 시장 점유율은 28%에 달했으며, 한방· 식물 성분 치약은 25%, 민감성 완화 치약은 10%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2023년 중국 치약 시장 기능별 제품 판매 비중>

(단위: %)

 

[자료: 중국보고대청(中国报告大厅)]

 

<식물성분 치약 홍보 이미지>

[자료: 티몰]

 

수입 동향

 

중국의 치약 품목 상위 10개국/지역 수입 동향은 다음과 같다. 최근 3년간 대일본 수입액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은 2023년 기준 수입 순위 5위를 차지했다. 한국산 치약 수입이 중국의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 약 9.6%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 (HS Code: 330610 기준) 주요 수입국/지역 현황>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지역명

2021년

2022년

2023년

증감률('23/'22)

-

총액

225

198

197

-0.4

1

일본

67

52

54

3

2

태국

23

21

28

35.2

3

폴란드

10

20

22

12.6

4

이탈리아

23

26

21

-18.7

5

한국

32

23

19

-15.3

6

미국

18

13

8

-37.2

7

스위스

2

3

7

113.7

8

독일

7

6

6

-1.3

9

러시아

1

2

6

258.7

10

프랑스

6

5

5

-7.6

[자료: KITA]

 

대한국 수입액 추이는 다음과 같다.

 

<중국 (HS Code: 330610 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US$ 백만,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입액

30

35

32

23

19

증감률(%)

16.7

15

-7.1

-29.7

-15.3

[자료: KITA]

 


경쟁 동향

 

중국구강청결제품산업협회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온라인 소매 판매량 기준으로 치약 산업 상위 5개 브랜드는 윈난 바이야오(云南白药), DARLIE(好来), CREST(佳洁士), Colgate(高露洁), Saky(舒客)이었으며, 5개 브랜드의 온라인 판매액 비중은 모두 합해 전체의 34.8%에 달했다.

 

또한, 현재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치약 브랜드로는 '죽염', '무궁화', '메디안' 등이 있다. 특히 '죽염' 치약은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100만 개가 넘는 리뷰를 받을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죽염' 치약은 죽염 성분이 충치 예방에 효과가 좋다는 인식이 형성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메디안' 치석케어 치약은 치석 제거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인식돼 소비자들의 구매가 증가하고 있으며, '무궁화' 치약은 독특한 크랜베리 맛으로 인해 여성 소비자들의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시장 주요 치약 브랜드 및 제품>

순위

제품명

브랜드

제품 이미지

가격

1

잇몸 케어 치약

윈난 바이야오

(云南白药)

24.5위안/개(150g)

2

녹차 치약

DARLIE

(好来)

16.5위안/개(190g)

3

얼룩 제거 치약

CREST

(佳洁士)

21.9위안/2개(85g*2)

4

충치 방지 치약

Colgate

(高露洁)

14.1위안/개(250g)

5

잇몸 케어 치약

Saky

(舒客)

15.7 위안/개(120g)

6

민감성 완화 치약

렁쏸링

(冷酸灵)

14.9위안/개(110g)

7

얼룩 제거 치약

Zhong Hua

(中华)

6.6위안/개(200g)

8

민감성 완화 치약

SENSODYNE

(舒适达)

39위안/개(100g)

9

미백 치약

Lion

(狮王)

14.9위안/개(150g)

10

잇몸 케어 치약

량몐전

(两面针)

23.2위안/개(170g)

11

잇몸 케어 치약

죽염

25.9위안/285g

12

미백 치약

무궁화

39.8위안/110g

13

치석 케어 치약

메디안

45위안/120g*3

[자료: 징동(京东)]

 


유통구조

 

치약의 주요 유통채널은 주로 슈퍼마켓, 편의점, 생활용품 매장, 화장품 종합 매장 및 온라인 플랫폼이다.

 

최근 몇 년간 중국 구강용품의 온라인 채널 판매 비중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Smart Path 컨설팅에 따르면, 2023년 중국 구강용품의 온라인 채널 판매 규모는 전체의 39.4%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7%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3년 중국 구강 제품 판매 채널별 시장 규모 비중>

[자료: Smart Path 컨설팅]

 


관세율 

 

HS CODE: 33061010

 

<한중FTA 적용세율>

관세(한중FTA)

0

증치세

13%

 

<MFN 적용세율>

관세(MFN)

3%

증치세

13%

[자료: 중국해관]

 


인증 

 

치약 품목을 중국에 수출하고 싶은 기업은 미리 중국 약품감독관리국에서 상품의 화장품 등록(备案)을 해야 한다.

화장품 등록 신청 시 필요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화장품 등록 및 기록 정보 리스트>> 및 관련 자료

2. 제품 이름 명명 기준

3. 제품 성분

4. 제품 실행 기준

5. 제품 라벨 샘플

6. 제품 검역 보고서

7. 제품 안전성 평가 자료

8. 위탁 생산의 경우, 위탁 생산 업체에서 제출하는 위탁 관계 증명 서류를 제출.

9. 생산국(지역) 정부 주관 부서 또는 산업 협회 등 기관에서 발행한 시장 판매 증명 서류를 제출

10. 유효성 주장에 대한 평가 자료

11. 시판 중인 제품 샘플

 

또한, 상기 등록을 중국에서 대리회사를 통해 진행할 땐 대리회사에서 요구하는 생산회사 정보 관련 자료도 준비해야 한다.

 


시사점

 

친환경 포장 개발: 현재 중국 소비자들은 환경 보호 의식이 강화되면서 치약 포장의 지속 가능성과 환경친화성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생분해성 소재 사용, 플라스틱 포장 감소 등 방법을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중화(中华) 브랜드 치약은 친화적인 경량 포장을 출시해 제품 외부 종이 포장을 생략하면서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중화 치약(中华) 친환경 포장 홍보>

[자료: 중화 치약(中华)]

 

독특한 효능과 성분을 갖춘 치약 출시: 중국 소비자들은 치약의 효능을 더욱 중시하고 있으며, 천연 성분과 더 좋은 효과가 있는 성분을 원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구강 내 유해균 억제 및 구강 미생물 군집의 균형 조절과 같은 문제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현재 일부 치약 제조업체들은 나노 기술, 생물학적 기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제품의 효능과 품질을 향상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업체들은 치약에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C 등 성분을 추가해 구강 건강 보호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는 관련 기업들은 다양한 소비층의 수요에 맞춰 특수 효능과 성분을 갖춘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자료: 중국 구강 청결 제품 산업협회, 첸잔(前瞻)연구원, Smart Path 컨설팅, 중국보고대청(中国报告大厅), 중옌왕(中研网), KITA, 티몰, 징동, 중국해관, 중화 치약, KOTRA 칭다오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치약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