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비타민과 영양보충제 시장 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이승환
- 2024-11-25
- 출처 : KOTRA
-
코로나 이후 멀티비타민과 복합 보충제에 대한 관심 더욱 높아져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건강기능식품 시장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일반적으로 비타민과 영양보충제는 HS Code 293690에 속해있다.
상품명
HS Code
프로비타민과 비타민
293690
비타민을 포함한 기능성 식품
210690
시장 동향 및 개요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싱가포르의 소비자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COVID-19의 위협이 감소하면서 성장세가 안정화됐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비타민과 영양 보충제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추세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성장률 4%를 유지해왔으나, 2020년 코로나가 터졌을 때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성장률이 현저히 감소했다. 이후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비타민 및 영양 보충제, 체중 관리 및 스포츠 영양 제품에 대한 수요 덕분에 다시 회복세에 접어들며 시장이 급격히 성장했다. 코로나 이후 싱가포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건강 예방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코로나 이전보다 멀티비타민과 복합 보충제를 더 자주 섭취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 제품 판매 성장률>
(단위: %)
[자료: Euromonitor]
2023년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14억2100만 싱가포르 달러에 도달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다. 앞으로도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8년에는 20억 싱가포르 달러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 식품 매출>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또한, 카테고리별 판매 순위를 확인해 보면 비타민 및 영양 보충제가 7억5380만 싱가포르 달러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면역력 강화와 건강 유지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OTC(비처방 의약품)는 4억4500만 싱가포르 달러로 두 번째로 큰 카테고리며, 이어서 허브 및 전통 제품도 천연 성분에 대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스포츠 영양 제품과 체중 관리 및 웰빙 카테고리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 식품 카테고리별 매출>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수입 규모 및 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싱가포르의 프로비타민 및 비타민의 총수입액은 2151만5000달러에 달한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3675만3000달러, 4306만9000달러 그리고 4251만8000달러로 2021년에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더 많은 건강기능식품을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인 주요 수입국이던 프랑스, 미국, 스위스에서의 수입이 줄어든 반면, 호주, 홍콩 그리고 일본에서의 수입이 증가했다. 한국은 1%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지속적으로 4~5위를 유지하며 주목받고 있다.
<싱가포르 프로비타민과 비타민 수입 동향 (HS코드 29369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년
2022년
2023년
성장률
1
프랑스
16,388
23,661
7,214
-69.5
2
미국
14,343
8,026
5,843
-27.2
3
스위스
3,665
4,273
2,076
-51.4
4
대한민국
1,022
995
1,005
1.0
5
말레이시아
943
1,108
886
-20.0
6
호주
511
468
694
48.3
7
인도
820
637
607
-4.7
8
홍콩
406
211
411
94.8
9
일본
120
117
408
248.7
10
영국
332
254
343
35.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11.)]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기능성 보충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Euromonitor의 2023년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예방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타민 및 영양 보충제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다. 2023년 기준, GSK Consumer Healthcare가 10.1%의 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 외 주요 경쟁 기업으로는 ONI Global Pte Ltd(5.0%), Nu Skin Enterprises(4.5%), Cerebos Pacific Ltd(4.1%) 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비타민, 스포츠 영양, OTC(비처방 의약품) 시장에서 활동하며 특히 Reckitt Benckiser와 Glanbia Performance Nutrition은 스포츠 영양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싱가포르 기업 소비자 건강기능식품 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 Euromonitor]
<2023년 기준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 브랜드별 점유율 및 대표 제품>
순위
브랜드
점유율
대표 제품
브랜드 소개
1
GNC
5.00%
글로벌 헬스케어 비타민 및 영양 보충제 브랜드 (미국)
2
Pharmanex
4.40%
Nu Skin 항산화제와 멀티비타민 보충제 브랜드 (미국)
3
Brand's
2.80%
체력 회복 및 집중력 보충제 브랜드 (태국 기업이지만 본사는 싱가포르)
4
USANA
2.60%
면역력 강화 및 세포 건강 보충제 브랜드 (미국)
[자료: Euromonitor, GNC 홈페이지, Pharmanex 홈페이지, Brand's 홈페이지, USANA 홈페이지]
유통망 및 판매 구조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 시장의 유통 채널은 여전히 오프라인이 91.9%로 주를 이루며, 전자상거래가 8.1%로 빠르게 성장하며 디지털 채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오프라인 채널 내에서는 건강·미용 전문점과 슈퍼마켓이 주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건강·미용 전문점(59%)은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주요 구매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편의점과 일부 전통적인 소매 채널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 소비자 건강 제품 유통망 구조>
[자료: Euromonitor]
관세율·수입규제·인증
관세율
싱가포르는 자유 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주류, 담배, 자동차, 석유 제품 등 4개 품목 외 전면 무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2024년 기준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모든 품목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 성격의 GST(Goods and Services)가 9% 부과된다.
수입규제·인증
1.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HSA) 규제: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경우
A. 제품 등록: 싱가포르에서 판매될 모든 의약품은 HSA에 등록해야 하며, 이는 제품의 안전성, 유효성, 품질 평가를 포함한다. 수출자는 제품 제조 공정, 임상 데이터, 품질 관리 자료를 준비해야 하며, 제출된 정보는 HSA의 검토를 거친다.
B. 수입 허가: 의약품 수입 라이선스(Import License for Medicinal Products)를 취득해야만 싱가포르로 수출 가능하다. 라이선스를 신청하려면 수출자의 사업자 등록증, 제품 명세서, 물류 경로와 같은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추가 검사를 요구받을 수 있다.
C. 유통 관리: 싱가포르 내 유통은 HSA의 '의약품 우수 유통 관리 기준(GDP)'을 따라야 한다. 수출자는 유통업체와 협력해 제품 보관, 운송, 배송 상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2. 싱가포르 식품청 (SFA) 규제: 식품으로 분류되는 경우
A. 수입 허가: 싱가포르로 식품을 수출하려면, 수입업체가 SFA에 등록되고 '식품 수입자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식품 수입 라이선스를 취득하기 위해 제품의 성분표, 제조 공정, 원산지 정보를 제출해야 하며, 추가로 SFA의 검역 검사를 통과해야 한다.
B. 제품 라벨링: 싱가포르에서 유통되는 모든 식품은 SFA의 라벨링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라벨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돼야 한다:
i. 제품명과 설명
ii. 제조 성분 및 성분 함량
iii. 제조 일자 및 유통기한
iv. 원산지와 수입 업체 정보
C. 식품 안전 기준: 수입되는 식품은 SFA의 식품 안전 기준에 부합해야 하며, 랜덤 샘플 검사에서 불합격 시 반송 또는 폐기될 수 있다. 추가로 제품이 특정 영양성분이나 효능을 광고하려는 경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가 뒷받침돼야 한다.
3. 수출자를 위한 주요 고려 사항
A. 제품 분류 확인: 비타민 제품이 식품인지 의약품인지 결정하는 것은 수출 절차의 첫 단계이므로 제품의 성분, 용도, 효능에 따라 달라진다. 잘못된 분류는 허가 거부나 판매 금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수출 전에 제품의 분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B. 현지 파트너와 협력: 싱가포르 내 신뢰할 수 있는 수입업체나 유통업체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수입자들은 SFA 또는 HSA 요구사항에 익숙하며, 현지 유통망을 통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부탁할 수 있다.
C.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한국과 싱가포르는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어, 적격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원산지 증명서 등 관련 문서를 준비해 FTA 혜택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시사점
코로나19 이후 싱가포르에서 면역력 강화와 건강 예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비타민 및 영양 보충제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브랜드는 현재 4위의 인지도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 중인 온라인 유통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K-헬스 브랜드의 이미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 사이에서 간편하게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멀티비타민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간편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싱가포르 소비자들의 선호를 잘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더불어 한류 열풍과 함께 K-콘텐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확산되면서, 한국 홍삼 제품 역시 면역력 강화와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 도움을 주는 인기 건강식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마케팅과 SNS를 통한 K-헬스 스토리텔링, 현지 소비자 취향에 맞춘 라벨링 및 패키징 전략, 차별화된 제품 개발 등을 통해 싱가포르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한다면, 한국 기업들은 싱가포르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GNC 홈페이지, Pharmanex 홈페이지, Brand's 홈페이지, USANA 홈페이지,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비타민과 영양보충제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베트남 건강보조식품 시장동향
베트남 2024-09-25
-
2
말레이시아 홍삼음료 시장동향
말레이시아 2024-08-05
-
3
영국 라면 시장동향
영국 2024-11-14
-
4
욜로는 그만, 중국에서 유행하는 ‘빈털터리(穷鬼) 정식’ 챌린지
중국 2024-11-25
-
5
인도네시아 헤어케어 제품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2024-09-23
-
6
캄보디아 조제분유 시장동향
캄보디아 2024-10-08
-
1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2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3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4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5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물류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