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동향
  • 상품DB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조지훈
  • 2024-11-11
  • 출처 : KOTRA

2024년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규모는 약 3억 달러 소폭 성장 예상

고성능 제품과 가성비 제품에 대한 양극화된 수요가 뚜렷

리퍼폰 및 중고 스마트폰 시장의 활성화

스마트폰 관련 주변 산업 진출 가능성 존재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은 스마트폰이며 HS Code는 851713이다.  


시장 동향


2024년 기준 카타르는 중동 지역에서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 모바일 보급률이 132%에 이르고 있다. 이는 인구 1인당 1.32개의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음을 뜻하며, 스마트폰이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인터넷 사용률은 99.6%에 달해 거의 모든 국민이 온라인 접근이 가능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시장 조사 기업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약 3억 달러를 기록하며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고됐다. 또한, 판매량은 약 2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성장률은 다소 정체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이 2021년 정점을 찍은 이후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는 전 세계적인 스마트폰 판매 감소 추세와 유사하다.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또 다른 특징은 중고 스마트폰 시장의 활성화다. 스마트폰 신제품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많은 소비자가 신규 구매 대신 중고폰을 선택하는 경향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카타르 내 중고폰 수리 및 재판매 업체들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최근 3년 카타르 스마트폰 수입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구분

수입액

비중

2022

2023

2024

(8월 누계)

2022

2023

2024

총계

69.793

637.11

418.20

100

100

100

1

중국

55.72

528.71

338.29

79.83

82.99

82.99

2

베트남

3.541

56.055

64.05

5.07

8.80

8.80

3

인도

10.458

50.677

15.07

14.98

7.95

7.95

4

한국

-

0.798

0.37

-

0.13

0.09

5

미국

0.76

0.342

0.16

0.11

0.07

0.04

6

독일

-

0.308

0.110

-

0.05

0.0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11.)]


카타르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의 대부분은 수입 제품으로, 주요 수입국이 다양하게 분포돼 있다. 특히 중국이 카타르 스마트폰 수입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4년 8월까지 누적된 통계에 따르면 전체 수입량의 약 83.0%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베트남과 인도 역시 주요 수입국으로서 각각 8.8%와 8.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다소 낮은 비율을 보이며, 2024년에는 0.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과 애플 제품이 카타르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중국과 베트남에서 생산된 후 수입되고 있다. 삼성 스마트폰의 경우, 베트남에 위치한 대규모 생산 공장에서 제조돼 카타르로 유입되고 있으며, 애플 제품 역시 주로 중국에서 제조돼 수입된다. 반면 한국과 같은 다른 국가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0.1% 미만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경쟁 동향 및 주요 기업


<카타르 주요 유통 브랜드>

기업명

제품 로고

제조국

1

애플

THE NEW APPLE LOGO BLACK PNG 2024 - eDigital Agency

미국

2

삼성

File:Samsung Logo.svg - Wikipedia

한국

3

샤오미

Xiaomi Logo Design: History & Evolution

중국

4

화웨이

Huawei Logo, symbol, meaning, history, PNG, brand

중국

5

오포

OPPO Newsroom | OPPO Global

중국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종합]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은 소비층의 경제적 상황과 선호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와 모델이 자리 잡고 있다. 1인당 GDP가 8만 달러를 넘는 카타르 자국민들은 고성능과 브랜드 가치를 중시해 애플과 삼성과 같은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특히, 애플의 아이폰은 고소득층과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자국민 사이에서는 스마트폰을 1대 이상 소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고가 모델이 주요 선택지로 자리 잡으면서 애플과 삼성은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카타르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인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출신의 단순 노동자들은 경제적 여건상 중국 브랜드의 저가 스마트폰을 선호한다. 이들은 대부분 월 600달러 이하의 급여로 생활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찾는 경우가 많아, 샤오미와 화웨이 같은 브랜드가 인기다. 삼성도 갤럭시 A 시리즈와 M 시리즈 같은 중저가 라인업을 통해 가성비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외국인 노동자층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결과적으로,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은 고소득층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와 외국인 노동자층의 저가 스마트폰 수요가 공존하며, 소비층의 경제적 배경에 따라 각기 다른 선택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유통 구조


<카타르 스마트폰 주요 유통 기업>

회사명

웹사이트

Ooredoo Logos | Ooredoo corporate

Ooredoo

카타르의 대표적인 통신사로, 다양한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판매

www.ooredoo.qa

File:Vodafone 2017 logo.svg - Wikipedia

Vodafone

또 다른 주요 통신사로, 다양한 스마트폰 모델을 제공하며, 통신 서비스와 함께 패키지로 판매

www.vodafone.qa

Jumbo Electronics - Top Tech Store in City Center Doha

Jumbo Electronics

카타르에서 전자제품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대형 리테일러로, 다양한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취급

www.jumbosouq.com

Ali Bin Ali – The partner of choice

Ali Bin Ali

애플 공식 리셀러로 iSpot과 매장 운영 중 

www.alibinali.com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종합]


관세율


관세율은 5%다. 또한 아랍FTA(Grater Arab Free Trade Area), 걸프 FTA (GCC Agreement)의 회원국으로 아랍 FTA, 걸프 FTA 회원국에서 수입하는 경우 관세는 면제된다. 현지 관세 정보는 카타르 관세청(https://www.ecustoms.gov.qa/qccswui/#/home/inquirie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입 규제 


카타르에서 스마트폰을 수입하려면 통신 규제청(CRA, 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에서 요구하는 특정 규제와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특히, 유무선 통신 장비와 전자기기에 대해 선적 전 검사 인증 제도(PVOC)를 통해 무분별한 수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관련 문서를 정확히 제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통신 장비의 수입 시 전체 장비 사양서(Full Equipment Specification), 사양 인증서(Specification Certificate), CRA에서 발행한 주파수 라이선스 또는 무선 장비 등록을 사전에 완료해야 수입 시 통관이 가능하다. 


시사점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은 고성능 제품과 가성비 제품에 대한 양극화된 수요가 뚜렷하며, 중산층 이상 소비자들은 애플과 삼성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에 높은 충성도를 보이는 반면, 외국인 노동자층은 샤오미와 같은 가성비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 가격 상승에 따라 중고폰 및 리퍼폰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 행태는 핸드폰 액세서리 시장과 같은 스마트폰 관련 주변 산업에 대한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을 시사하며, 다양한 가격대와 소비층을 겨냥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자료: Counter Point Research, Planning Statistics Authority, Global Trade Atlas, Qatar National Vision 2030, 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 Al Nadeeb (관세청),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스마트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