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동향
- 상품DB
- 영국
- 런던무역관 남현경
- 2024-10-14
- 출처 : KOTRA
-
높은 강도와 내열성, 절연성, 단열성을 두루 갖춘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성장세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 경쟁력 상승
상품 개요
HS Code: 390740
상품명: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개요
우리나라에서는 렉산(Lexan)*으로도 자주 불리는 폴리카보네이트는 높은 강도와 내열성, 절연성, 단열성을 두루 갖춘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을 지닐 뿐만 아니라, 투명한 소재의 미감 덕분에 폴리카보네이트는 건축, 전자제품,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 두루 사용된다.
*주1) GE 사에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이름. 대일사에서 제조한 대일밴드가 밴드를 통칭하는 이름이 된 것과 유사.
게다가 폴리카보네이트는 재활용이 가능한데, 이 덕분에 친환경 제품은 아니지만,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건축 자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활용성을 지닌 폴리카보네이트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수요를 자랑한다.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현재 전 세계 기준 206억 달러(한화 약 28조2500억원) 규모를 자랑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은 2029년 288억 달러(한화 약 39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전 세계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성장 전망>
(단위: US$ 십억)
[자료: Statista]
세계 트랜드와 발맞춰 영국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지난 7월 총선으로 집권당이 된 노동당은 향후 5년간 주택 150만 채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본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동향 GTA
<영국 폴리카보네이트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량
비중
23년 증감률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 세계
184,821
171,290
161,527
100.00
100.00
100.00
-5.70
1
독일
91,596
53,184
38,884
49.56
31.05
24.07
-26.89
2
벨기에
26,134
43,134
27,087
14.14
25.18
16.77
-37.20
3
스페인
23,527
12,531
22,332
12.73
7.32
13.83
78.22
4
대한민국
7,538
16,965
22,130
4.08
9.90
13.70
30.44
5
네덜란드
12,559
17,076
15,671
6.80
9.97
9.70
-8.23
6
이탈리아
2,887
7,442
9,656
1.56
4.35
5.98
29.74
7
폴란드
12,244
8,344
7,698
6.63
4.87
4.77
-7.74
8
일본
696
1,256
4,275
0.38
0.73
2.65
240.33
9
중국
417
575
4,004
0.23
0.34
2.48
596.22
10
대만
1,921
3,061
3,227
1.04
1.79
2.00
5.41
[자료: Global Trade Atlas(2024.7.29.)]
영국의 폴리카보네이트(HS Code 3907.40) 공급선은 대체로 고르게 분포돼 있으며, 주요 수입국으로 독일(24.1%), 벨기에(16.8%), 스페인(13.8%), 한국(13.7%) 등이 있다. 특히, 한국산 제품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 면에서 강점을 보여 2022년 대비 2023년 약 30%가량 수입량이 증가했다. 다만,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경쟁 심화로 지속적인 품질 관리와 가격 경쟁력 확보가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경쟁동향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은 주로 Covestro(독일), SABIC(사우디아라비아), Teijin(일본), 롯데(한국), LG케미칼(한국)과 같이 대형 글로벌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해당 글로벌 기업들의 점유율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영국의 자국 제조회사로 Polymer Compounders Limited, MHP Industries 등이 있으나, 대형 글로벌 공급사와 비교했을 때 타깃 시장이 좁고, 규모 면에서도 영세한 편에 속한다.
관세 정보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 관세율이 6.5%지만, 한-영 FTA 관세율 혜택을 받으면 무관세로 수출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관세율을 적용할 경우 5%의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관세율>
HS 코드
품목
일반 관세율
한-영 FTA 관세율
3907.40
폴리카보네이트
6.5 %
0%
[자료: 한국 무역협회]
수입 규제
영국 내로 화학물질을 수입하거나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화학물 안전규정(UK REACH)을 준수해야 한다. UK REACH는 영국에 수출하는 제품이 인체 및 환경에 안전한지 확인하는 기준으로, 기업은 제품 제조에 사용된 화학물질을 등록하고, 당국에서 위험하다고 규정한 화학물질이 포함돼 있으면 안전 관련 입증자료 등을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UK REACH는 브렉시트 이후 영국이 자체적으로 만든 화학물 안전규정이나, EU REACH와 내용 면에서 대부분 유사하다.
추가로, 폴리카보네이트 자체는 수출을 위해 필요한 인증은 없으나, 폴리카보네이트를 가공해 만든 상품을 수출하는 경우 UKCA 인증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상품 수출 전 인증 필요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참고) https://www.gov.uk/guidance/using-the-ukca-marking
유통구조
폴리카보네이트는 중간재이기 때문에 팰럿, 시트, 필름 형태로 수출된다. 그 때문에 최종재로 소비되지 않고, 중간 유통업체를 통해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영국의 주요 유통업체로는 Plastribution, Varico LTD(건축용 폴리카보네이트 공급사) 등이 있다. 글로벌 공급사의 경우 자동차, 건축자재, 전자제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직접 납품하는 경우도 있다.
시사점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점을 줄 수 있는 혁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영국은 탄소중립 달성에 있어 적극적인 횡보를 보여,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다. 더불어 영국 내 환경 관련 규제 또한 강화되고 있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를 개발하고, 가격경쟁력을 갖춰 영국 시장에 진출한다면 영국 내 점유율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자료: Statista, GOV.UK, GTA, KOTRA 런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영국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ABS수지 시장동향
중국 2024-10-14
-
2
친환경부터 AI까지, 콜롬비아의 똑똑한 가전제품 시장
콜롬비아 2024-10-14
-
3
일본 식품 포장용 플라스틱 용기 시장동향
일본 2024-09-27
-
4
2024년 그리스 조선산업 정보
그리스 2024-10-14
-
5
독일 핵심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와 우리 기업의 기회
독일 2024-10-11
-
6
EU 수소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불가리아의 역할, 그리고 협력기회
불가리아 2024-10-14
-
1
2024년 영국 자동차산업 정보
영국 2024-08-02
-
2
2024 영국 금융 산업 동향
영국 2024-07-12
-
3
2021년 영국 농식품 산업 정보
영국 2021-09-30
-
4
2021년 영국 항공우주-방위 산업 정보
영국 2021-09-23
-
5
2021년 영국 IT산업 정보
영국 2021-09-23
-
6
2021년 영국 해양산업 정보
영국 2021-08-0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