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석유화학 시장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4-10-11
- 출처 : KOTRA
-
자체 정유 능력을 갖춘 태국, 원유(Crude oil)를 중동에서 수입해 국내 정유 공장에서 가공
2024년 상반기 태국의 석유 제품 수입 규모 전년 대비 9.3% 증가
석유화학 시장동향
태국은 석유 산유국이긴 하지만 대규모 산유국은 아니다. 태국은 자체 정유 능력을 갖추고 있어 일반적으로 원유(Crude oil)를 중동에서 수입하여 국내 정유 공장에서 이를 정제해 가공한다. 태국에서 석유 제품은 상업용 1차 소비의 주요 에너지 유형 중 하나로, 태국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이다. 조사 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태국은 장기적으로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자급자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석유 탐사 및 제품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23년 태국의 석유 제품 생산량은 전년 대비 3.6% 증가해 약 643억3000만 ℓ를 기록했다. 태국의 석유 제품에는 액화 석유 가스, 가솔린, 제트 연료, 등유, 디젤, 윤활유 등이 있다.
<2019~2023년 태국, 석유 제품 공급 및 소비 현향>
(단위: 십억 ℓ)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생산
64.4
60.2
59.0
61.2
63.4
판매
57.7
50.7
48.8
55.3
55.7
수입
6.0
2.6
2.0
4.5
4.1
[자료: 태국 에너지정책기획실(EPPO)]
<태국 석유화학 산업 관련 주요 생산자(PTT, SCG) 기업 현황>
[자료: Krungsri Research]
태국 석유 제품 수입동향
태국은 자체 정유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국내 수요가 증가하거나 특정 유형의 석유 제품이 부족할 경우 외국에서 석유 제품을 수입해 공급을 보충한다. 또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태국은 여러 국가로부터 석유 제품을 수입해 공급망을 다각화하고 있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큰 정유 국가 중 하나로 한국의 석유 제품은 품질이 높고 특정 사양의 제품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어, 태국은 이러한 고급 제품을 수입해 국내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시장 조사 기관인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기준 태국의 석유 제품(HS Code 271019)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9.3% 증가하여 10억2608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말레이시아(2024년 상반기 기준)로 전년 대비 81.5% 증가해 3억5966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경우, 2024년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19.5% 감소한 1억42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태국의 3위 석유 제품 수입국이다. 한편, 2023년의 경우 태국은 한국으로부터 3억4299만 달러 규모의 석유 제품을 수입하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국가별 태국의 석유 제품(HS Code 271019) 수입 동향(2020~2024)>
(단위: US$ 천)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상반기
증가율('24/'23)
전체
847,864.0
1,215,862.0
2,254,686.0
1,599,325.0
1,026,080.0
9.3
말레이시아
123,601.0
113,021.0
379,272.0
354,929.0
359,656.0
81.5
중국
111,914.0
217,073.0
584,360.0
45,032.0
172,800.0
317.9
한국
162,250.0
298,781.0
380,942.0
342,990.0
142,005.0
-19.5
싱가포르
254,572.0
319,176.0
548,757.0
579,707.0
128,289.0
-67.2
UAE
1,178.0
1,743.0
30,985.0
2,773.0
51,817.0
4221.8
튀니지
-
-
-
30,902.0
30,763.0
0.0
일본
89,648.0
94,274.0
125,707.0
69,951.0
30,742.0
-22.8
뉴질랜드
2.0
3.0
5.0
319.0
27,130.0
4878683.0
미국
27,905.0
36,254.0
50,044.0
37,244.0
20,493.0
-3.3
카타르
11,200.0
19,159.0
26,982.0
26,606.0
14,990.0
18.7
[자료: Global Trade Atlas(24.10.04)]
유통구조
태국의 석유 제품 유통 구조는 원유 수입, 정제, 유통의 단계를 거치며 정유사, 유통사, 최종 소비자로 연결되는 시스템이다. 유통에서 주요 플레이어는 정유사(PTT, Bangchak, ExxonMobil 등), 도매업체 그리고 주유소이다.
1) 원유 수입
태국은 중동 등지에서 원유(Crude oil)를 수입하여, 자국 내 정유 공장에서 이를 정제한다 주요 원유 수입국은 중동 국가들로, 수입된 원유는 국내 정유사에 공급된다.
2) 정유
태국에는 PTT(Petroliam Authority of Thailand), Bangchak 등의 주요 정유사가 있다. 이들은 수입된 원유를 정제하여 가솔린, 디젤, 등유, 항공유, 윤활유 등의 석유 제품으로 가공한다. 정제된 석유 제품은 주로 내수 시장에 공급되며, 일부는 수출하기도 한다.
3) 도매 및 유통
정유된 석유 제품은 도매업자 및 유통업자를 통해 전국의 석유 저장소로 이동된다. 주요 도매업체는 정유사와 직접 계약을 맺고, 주유소, 산업체, 발전소 등 다양한 소비자에게 석유 제품을 공급한다.
4) 소매
주유소는 석유 제품의 소매 유통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태국의 주요 주유소 브랜드로는 PTT, Bangchak, Shell, Esso 등이 있다. 주유소는 소비자에게 휘발유, 경유 등 석유 제품을 판매하며, 일부 산업 및 상업용 소비자는 대규모 계약을 통해 직접 석유 제품을 구매하기도 한다.
<석유 제품 산업 유통 구조>
[자료: Krungsri Research]
경쟁동향
<태국 주요 정유·석유 제품 제조 기업 정보>
순위
기업명
설립연도
기업정보
1
PTT PUBLIC COMPANY LIMITED
2001
- 지분: 태국 92%, 외국 8%
- 산업군: 정유·석유 제품 제조
- 자본금: 285억6300만 바트(약 9억 달러)
- 매출액(2023): 1조9722억 바트(약 596억 달러)2
THAI OIL PUBLIC COMPANY LIMITED
2004
- 지분: 태국 84%, 외국 16%
- 산업군: 정유·석유 제품 제조
- 자본금: 223억3836만 바트(약 7억 달러)
- 매출액(2023): 5097억 바트(약 154억 달러)3
IRPC PUBLIC COMPANY LIMITED1994
- 지분: 태국 95%, 외국 5%
- 산업군: 정유·석유 제품 제조
- 자본금: 204억7500만바트(약 6억 달러)- 매출액(2023): 3195억 바트(약 97억 달러)
4
BANGCHAK CORPORATION PUBLIC COMPANY LIMITED
1993
- 지분: 태국 82%, 태국 18%
- 산업군: 정유·석유 제품 제조
- 자본금: 13억7692만 바트(약 4163만 달러)
- 매출액(2023): 2429억 바트(약 73억 달러)[자료: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관세율 및 인증
석유 제품(HS Code 271019) 수입 시 7~10%의 일반 세율이 적용되지만 한-ASEAN FTA 협정세율 적용 시 수입관세가 면제된다. 자세한 정보는 태국 관세청(Thai Customs)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한편, 부가가치세율은 7%이다.
<태국 석유 제품(HS Code 271019) 수입관세>
HS코드
2710.19
품목명(한글)
석유와 역청유(원유는 제외),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품[석유나 역청유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70 이상인 것
품목명(영문)
Petroleum oils and oils obtained from bituminous minerals, other than crude; preparations not elsewhere specified or included, containing by weight 70 %
수입관세
- 일반세율: 7~1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시사점
태국의 석유 제품 시장은 에너지 소비 증가, 산업 생산 증가에 따른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가솔린, 디젤 수요가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최근 태국 정부의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정책은 석유 소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석유 산업 기업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경 규제 강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 요구에 따라 석유 생산 및 유통 방식의 변화가 예상되며 기술 혁신과 디지털화는 정유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태국화주협회(TNSC)는 중동 지역의 새로운 폭력 사태(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적대감이 고조되면서 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가 태국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다. 화주협회에 따르면, 페르시아만 국가로부터의 세계 석유 수송의 주요 통로인 호르무즈 해협(전 세계 석유 수송량의 21%가 해협을 통과)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으며, 태국은 주요 석유 수입국이기 때문에 현재 진행 중인 이란-이스라엘 분쟁과 그 잠재적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 기업은 태국의 변화하는 에너지 수요와 정부 규제, 국제 유가 변동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친환경 제품과 현지화된 전략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태국 석유 시장에서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작성: KOTRA 방콕무역관 김지현, 이태형
자료: 태국 에너지정책기획실(EPPO), Krungsri Research, Global Trade Atlas, Statista, Thai Customs,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석유화학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태국 베이커리 성공 비결, 귀여운 캐릭터로 팬덤 형성
태국 2024-10-10
-
2
모바일이 주도하는 멕시코 게임 시장
멕시코 2024-10-11
-
3
베트남 웨어러블 IT 기기 시장동향
베트남 2024-10-11
-
4
필리핀, 해외 디지털 서비스 대상 12% 부가가치세 도입
필리핀 2024-10-11
-
5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6
친환경부터 AI까지, 콜롬비아의 똑똑한 가전제품 시장
콜롬비아 2024-10-14
-
1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2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3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4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5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
-
6
2023년 태국 농업 정보
태국 2023-09-08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