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김 시장 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정해란
  • 2020-12-31
  • 출처 : KOTRA

- 현지 주요 소비자층 사이에서 한국 식품 인기 -

- 다양한 맛, 가격측정 외에도 건강식품으로써의 효과 등 홍보 중요 -

 

 

 

상품명, HS 코드


국가

HS 코드

품명

한국

1212.21

식용(식용 해조류)

2008.99

기타 조제 식료품

베트남

1212.21

해초 및 기타 해조류(식용), 건조된 해조류

2008.99.30

과일 및 견과류를 제외한 식용 식물 뿌리 및 줄기

 

시장현황 및 동향 베트남 시장현황 및 동향

 

  ㅇ 베트남 수입 식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현지 국민소득 증가로 최근 해외 가공식품 수입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임.

    - 베트남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식당이 증가하면서 한국산 김에 대한 인지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 특히,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김은 한국의 건강식품 중 하나로 인식되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ㅇ 베트남 내 유통되는 김 종류는 마른김조미김으로 나뉨.

    - 현지인들은 김을 스낵용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있어 조미김 수요가 높으며 베트남에서 조미김은 한국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함.

    - 최근 허니버터 맛, 김치 맛, 아보카도 맛, 테리야키 맛 등 다양한 맛의 김이 유통되고 있음.

    - 참기름, 올리브유, 포도씨유 등 다양한 오일을 사용한 제품도 판매되고 있음.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및 한국의 베트남 수출

 

  ㅇ 2019년 한 해 베트남은 약 1,0458천 달러 규모의 김을 수입함.

    - 주요 수입국은 한국, 인도네시아, 중국, 필리핀 및 일본임.

    - 2019년 기준, 최근 5년간 한국이 1위를 기록했으며 2019년에는 전체 수입의 약 41%를 차지함.

    - ITC 통계에 따르면, 2016년에서 2017년 사이 수입 규모가 약 2배 증가하며 급성장함.

                                                           

베트남의 마른김 수입대상국 상위 10개국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2018

2019

1

한국

2,106

2,393

4,939

4,212

4,300

2

인도네시아

312

84

1,550

3,413

3,076

3

중국

1,068

1,414

1,747

1,314

1,668

4

필리핀

65

17

277

144

682

5

일본

527

568

612

511

432

6

영국

63

119

245

205

198

7

칠레

0

0

0

0

36

8

캐나다

0

0

0

0

32

9

프랑스

0

0

0

12

16

10

태국

2

22

64

62

11

 

4,265

5,055

10,102

10,083

10,458

: 상기 통계는 HS 코드 1212.21 기준으로, 해당 6자리 HS 코드는 다양한 품목을 동시에 포함하기 때문에 마른김에만 해당하는 통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함.

자료: ITC Trade Map

 

  ㅇ 2019년 한 해 베트남은 약 1,1955천 달러 규모의 조미김을 수입함.

    - 주요 수입국은 한국, 태국, 중국, 싱가포르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임.

    - 2019년 기준, 한국이 전체 수입의 약 45%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함.

 

베트남의 조미김 수입대상국 상위 10개국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2018

2019

1

한국

378

1,194

268

1,147

5,424

2

태국

2,345

1,527

1,182

2,748

2,553

3

중국

251

381

425

386

2,164

4

싱가포르

291

6

98

534

752

5

남아프리카 공화국

6

12

12

8

490

6

프랑스

77

108

101

80

98

7

대만

38

5

35

108

98

8

일본

2

38

10

14

80

9

스페인

0

0

0

72

77

10

인도

27

19

40

17

37

 

3,908

3,728

2,607

5,358

11,965

: 상기 통계는 HS 코드 2008.99 기준으로, 해당 6자리 HS 코드는 다양한 품목을 동시에 포함하기 때문에 조미김에만 해당하는 통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함.

자료: ITC Trade Map

 

경제동향 및 주요기업

 

  ㅇ 베트남 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은 한국산 제품 비율이 높음.

    - 현지 시장에서는 마른김, 조미김, 자반볶음 등 다양한 종류의 김이 판매되고 있음.

    - 일부는 베트남 내에 김 생산 공장을 설립하여 현지에서 직접 생산 후 판매됨.

 

베트남 내 유통되고 있는 주요 김 제품

브랜드

제품이미지

비고

청정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청정원.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62pixel, 세로 2362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03월 30일 오후 11:4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Windows

색 대표 : sRGB

- 원산지: 한국

- 2003년 베트남 진출

- 베트남에 총 3개 식품 공장을 보유한 대상() 대표 식품브랜드

비비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비비고.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6pixel, 세로 156pixel

- 원산지: 한국

- CJ 푸드에서 판매 중인 비비고 김

- 베트남 내 생산 공장 소재

양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양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0pixel, 세로 32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올리브김.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7pixel, 세로 445pixel

- 원산지: 한국

- 동원F&B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김 브랜드

- 현재 베트남에 올리브김, 구운김밥김, 참기름김 등 판매중

 

광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광천.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4pixel, 세로 17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ㅁㅇㄹ.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3pixel, 세로 208pixel

 

- 원산지: 한국

- 광천김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김 브랜드

- 세계 60여 개국에 진출한 한국 김 브랜드

- 현재 베트남에 아포카도유, 포도씨유, 불고기, 테리야키, 허니버터, 김치맛 등 다양한 김 판매중

 

 

커클랜드

Kirklan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커클랜드.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0pixel, 세로 342pixel

- 현지에서 유통되는 미국산 김

- 베트남 내 정식 대리점 혹은 파트너는 없음

Tao Kae Noi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tsa.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8pixel, 세로 404pixel

- 2004년 설립된 태국회사에서 판매하는 김 브랜드

- 주요 제품은 구운 김으로 스낵용으로 많이 소비됨.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ㅇ 베트남 내에서 김 제품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 오프라인의 경우, 롯데마트, 이마트, Big C, Coop Mart, 한인마트 및 기타 소규모 식료품점에서 판매되고 있음.

    - 온라인은 현지 유통업자의 자체 홈페이지 혹은 쇼피, 라자다, 티키, 센도 등과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서 판매되고 있음.

    - 다양한 맛의 김이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5g x 3팩', '5g x 6팩' 등과 같이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음.

 

베트남 김 유통구조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정리

 

관세율, 인증

 

  ㅇ 한국 제품 베트남 수출 시 0% 관세 적용


HS 코드

품목명

WTO

ATIGA
(아세안물품
무역협정
)

ACFTA

(아세안-중국)

AKFTA

(아세안-한국)

VKFTA

(-)

1212.21

해초 및 기타 해조류(식용), 건조된 해조류

10%

0%

0%

0%

0%

2008.99.30

과일 및 견과류를 제외한 식용 식물 뿌리 및 줄기

40%

0%

0%

배제 국가

0%

자료: 2020 베트남 관세책자(2020 Vietnam Customs Book)

 

조미김수출 시 유의사항

 

  ㅇ 통관 시 유의사항

    - 20179월 세계관세기구(WCO) 품목분류위원회에서 조미김HS Code2016.90호에서 2008.99호로 변경. 따라서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수출 시 HS Code2008.99호로 신고하고 베트남 바이어도 2008.99호로 수입신고가 필요. 베트남에서 한-아세안 FTA(AKFTA)는 한국이 협정혜택 배제 국가로 설정되어 있어,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베트남 FTA(VKFTA) 원산지 증명서를 발행해 베트남 수입자(바이어)에게 원본을 전달해야 함

 

  ㅇ HS Code 분류 유의사항

    - 베트남 세관에 따르면 조미김은 HS Code 2008.99.30으로 분류

    - 그러나 한국 세관에서 분류되는 조미김 HS Code2016.90. 따라서 한국에서 조미김 수출 업무 담당자는 수출입 선적서류와 원산지증명서(KV form)HS Code가 알맞게 기입될 수 있도록 베트남 내 수입업자와 사전에 논의해야 함.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정리


  ㅇ 베트남에서 해조류 가공 식품은 보건부(MOH) 관리 대상이며, 반가공 상태의 해조류 상품은 농업농촌개발부(MARD) 관리 대상임.

    - 김 제품은 기본 자진신고(Self-declaration) 절차가 필요함.

    - 마른김은 수입 전 자진신고 및 식품 안전 관리 홈페이지에 제품을 게시해야함. 이후 수입 시 농림부 식물 보호과에 연락하여 식품안전 검사를 진행해야함.

    - 조미김 또한 수입 전 자진신고 및 수입 후 베트남 산업무역부에서 지정한 기관을 통해 식품안전 검사를 진행해야함.

      · 참고: 베트남 해외인증정보 조미김(클릭 시 해당 페이지 이동)

 

현지 수입유통업체 인터뷰

 

  ㅇ 현지 김 수입 및 유통업체 V

    - 베트남 소비자들은 김의 다양성보다 합리적인 가격대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음.

    - 현재 베트남 내에서 유통되는 김 제품은 맛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비슷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음. 이에 따라, 일반적인 김 제품과는 다른 특별한 김 제품이 개발되었으면 한다고 언급함.

    - 한편, 베트남에는 CJ와 같은 김 생산공장이 존재하여 가격대가 낮은 편에 속하기에 향후 베트남 진출을 고려중인 업체는 이 부분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 김 제품은 베트남 수출 시 인증절차를 필수로 거쳐야하며 해당 과정이 길게는 2~3개월도 소요되기에 기본 유통기한이 약 1년인 김 제품은 동 과정을 충분히 고려해야함.

 

유통업체 V에서 판매 중인 김 종류

  

자료원: 해당 기업 홈페이지

 

  ㅇ 현지 김 유통업체 H

    - 베트남에는 현재 다양한 맛의 김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그 중 오리지널 및 바비큐 맛 김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며, 현재 약 2-3개 종류의 김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음.

    - 김 제품의 경우, 현지 소비자들이 가장 중시 여기는 요소는 가격대임.

    - 베트남에서 판매되는 김(5g x 3)은 평균 베트남동 30,000 ~ 60,000 (한화 1,400~ 2,900).


유통업체 H에서 판매 중인 김 종류

자료원: 해당 기업 홈페이지

 

시사점

 

  ㅇ 베트남 내 한국 식품 선호도는 높은 편에 속함.

    - 한국산 김은 베트남에서 건강식품 중 하나로 꼽히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식품 중 하나임.

    - 특히, 한류문화 등으로 현지 주요 소비자층인 젊은 세대 사이에서 한국 식품을 포함한 상품 인지도가 상승하는 추세임.

    - 한편,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2019년도에 진행한 18세 이상 베트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42%가 한국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한식을 떠올린다고 답함.

 

  ㅇ 베트남 내 한국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함.

    - 현지에는 다양한 한국 브랜드 김이 유통되고 있으며 그 중에는 현지에 생산 공장을 보유한 곳도 존재함.

    - 한편, 한국산 김은 비슷한 특징을 갖추고 있어 그 사이에서 차별화된 강점을 내세우지 못하면 시장경쟁이 매우 치열할 것으로 예상됨.

    - 특히, 현지 소비자들은 아직까지 다양한 맛의 김보다 저렴한 가격대의 김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음. 이에 따라, 현지 진출 시에는 이와 같은 점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 ITC Trademap, Vietnam General Statistical Office, 바이어 인터뷰, 현지 싸이트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김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