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폴리스티렌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2-11-29
- 출처 : KOTRA
-
주요 수요처 전자제품, 완구 산업의 수요 확대로 시장 규모 성장 중
중고가 폴리스티렌 수요 증가...고급 폴리스티렌 수입의존도 높은 편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이미지 예시
폴리스티렌
390311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폴리스티렌은 가공하기 쉽고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원료로 스티렌을 주원료로 배합해 가열, 연화, 냉각의 과정을 반복해 제작된다. 전기 절연도가 높고 흡습성이 낮은 특성 때문에 전자제품, 건축자재, 포장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제품의 성질에 따라 착색성이 우수한 범용 폴리스티렌(GPPS)과 내충격성과 유연성이 높은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로 분류된다.
폴리스티렌 시장현황
전자제품, 완구류 등 폴리스티렌을 활용하는 산업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은 폴리스티렌 주요 수요산업인 전자제품, 완구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폴리스티렌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1년 중국의 폴리스티렌 생산량은 328만 톤으로 301만 톤을 생산한 2020년 대비 9% 증가했다. 고충격 폴리스티렌(HPS)는 2021년 기준 133만 톤 생산됐으며 범용 폴리스티렌(GPPS)는 194만 톤 생산됐다.
<중국 폴리스티렌 시장규모 추이>
(단위: 만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폴리스티렌은 중국 시장 내에서 가전제품 및 전자기기 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전자 제품 분야가 폴리스티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기준 52%이며 완구류, 포장기기류, 의료기기는 각각 10%를 차지한다. 폴리스티렌은 종류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산업 분야가 다르다. 고충격 폴리스티렌(HPS)는 냉장고, TV 등의 가전제품 케이스, 고급 완구 및 플라스틱 제품에 활용된다. 범용 폴리스티렌(EPS)는 일반 장난감 및 문구, 생활용품, 포장 재료 등에 이용되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은 중국 소비자들의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면서 고충격 폴리스티렌(HPS)의 활용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폴리스티렌의 산업별 활용 분야 및 비중>
(단위 : 퍼센트 %)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한편 소비자의 인식 변화로 중고가 폴리스티렌의 소비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품질이 우수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저가 폴리스티렌의 소비가 감소하고 중고가 폴리스티렌의 소비가 확대됐다. 중국 정부는 최근 폴리스티렌 기업을 포함한 석유화학 기업들의 생산량의 확대 승인을 줄여나가고 있다. 중국산업연구원(中国产业研究院)은 중국 기업들의 폴리스티렌 생산능력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소비 수요를 충족하기 부족한 상황으로 중국의 폴리스티렌 수입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쟁 동향 및 주요 기업 현황
중국은 고급 폴리스티렌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기본적인 폴리스티렌 제품은 중국 기업이 생산할 수 있지만 저온 내성, 황변 저항성 등의 성질을 가진 고급 폴리스티렌은 중국 기업에서 생산이 불가하다. 중금기신국제자문(中金企信国际咨询)에 따르면 중국산 폴리스티렌은 주로 가전제품의 내부 재료 혹은 보온판, 포장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고품질의 폴리스테린이 필요한 디스플레이, LED 도광판은 중국산 폴리스테린의 품질 안정성이 떨어져 수입산 폴리스티렌이 이용되고 있다. 중국 기업들 중 고충격 폴리스티렌(HPS) 중 고광택, 저온 내성과 같은 고급 고충격 폴리스테린(HPS)을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중국 내 폴리스티렌 생산기업은 주로 화동(华东)지역과 화남(华南)지역에 분포한다. 화동지역과 화남지역은 폴리스티렌의 주요 수요처인 가전제품, LED, 포장재 제조업체가 다수 위치한 지역으로 주요 도시로 상하이(上海), 광저우(广州) 등이 있다. 화동지역의 폴리스티렌 연간 생산능력은 260만 톤이고 화남지역의 폴리스티렌 생산능력은 69만 톤이다. 2021년 기준 범용 폴리스티렌(GPPS)의 생산능력은 224만 톤으로 화동지역이 139만 톤으로 62%를 차지했고 화남지역이 42만 톤으로 18%를 차지했다. 2021년 고충격 폴리스티렌(HPS)의 생산능력은 156만 톤인데 화동지역이 121만 톤으로 77%, 화남지역이 27만 톤으로 17%를 차지했다.
<범용 폴리스티렌(GPPS) 주요 생산지역>
(단위 : 퍼센트 %)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해외 기업들의 중국 제조 법인은 광둥성(广东省)과 저장성(浙江省) 일대에 다수 위치한다. 기업 정보 플랫폼 치차차(qichacha.com)에 따르면 미국의 DOW(陶氏)는 중국 내 본부를 상하이(上海)에 두고 장가항(张家港), 광저우(广州) 등에 생산 공장을 총 7개 운영하고 있다. 독일의 BASF(巴斯夫)는 1996년 중국 내 최초로 베이징(北京)에 지사를 설치했으며 2004년에 본사를 상하이(上海)로 이전했다. 현재는 난징, 광저우 등에 총 33개의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다.
<중국 시장 내 폴리스티렌 주요 브랜드 및 제품>
기업/브랜드
본사
개요
주요제품
제품 이미지
DOW
陶氏
미국
1897년에 설립된 석유화학분야의 회사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을 주로 생산. 1980년에 상하이에 첫 진출했으며 총 8개 지사 보유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BASF
巴斯夫
독일
1834년 설립된 석유화학 생산기업으로 플라스틱, 스티로폼을 주로 생산. 1996년 베이징에 최초로 지사를 설립, 총 33개의 지사 보유
플라스틱
스티로폼
CHEVRON
雪佛龙
미국
1879년 설립된 미국의 석유화학 제품 회사로 석유 판매, 화학제품을 생산. 1998년 베이징에 지사를 설립했고
석유
석유화학
제품
INEOS
英力士
영국
1998년 설립된 영국의 석유화학 회사로 신소재, 화학제품 등을 생산, 판매함.
화학제품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톈진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중국의 폴리스티렌은 직접 거래 혹은 대리 판매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수요처인 전자기기 및 가전제품, 완구류를 제조하는 대형 규모의 기업들은 중국 내 폴리스티렌 생산기업들로부터 직접 폴리스티렌을 구매한다. 규모가 비교적 작은 기업들은 현지 대리상들을 통해 폴리스티렌을 구매한다.
중국 내 폴리스티렌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50개 이상이며 생산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2021년 기준 기업들의 생산능력은 455만 톤이며 범용폴리스티렌(GPPS)의 생산능력은 286만 톤이며 고충격 폴리스티렌(HPS)의 생산능력은 169만 톤이다. 2021년 들어 생산능력을 확대한 주요 중국 폴리스테린 기업으로 산동옥황화공(山东玉皇化工), 닝보이만신소재(宁波利万新材料), 다롄자성신소재(大连嘉盛新材料) 등이 있다.
중국 폴리스티렌 수입 동향
2020년 기준 중국의 폴리스티렌 수입량은 136만 톤으로 130만 톤을 기록한 2019년 대비 약 5% 늘어났다. 2020년의 수입량은 136만 톤으로 2017년의 68만 톤과 비교할 때 수입량이 80% 이상 증가했다. 2021년 들어서는 수입량이 119만 톤으로 2020년 대비 12% 감소했다. 중국의 폴리스티렌 수입은 일반무역 형태가 전체 수입량의 65%를 차지하며 원료 가공무역이 30%를 차지한다.
<최근 5년간 중국 폴리스티렌 수입량 추이>
(단위: 만톤)
[자료: 쯔옌자문연구원(智研咨询研究院)]
한국은 중국의 폴리스티렌 2위 수입국이다. 2021년 기준 중국의 폴리스티렌(HS : 390311) 수입금액은 6,411만 달러인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금액은 879만 달러로 3,279만 달러를 수입한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폴리스티렌 수입 상위 3개 국가는 미국, 한국, 대만으로 해당 국가들의 수입액 총합은 2021년 중국 전체 수입액의 78%를 차지한다. 2022년 9월 기준 중국의 한국으로부터의 누적 수입액은 555만 달러로 1,783만 달러를 기록한 미국에 이어 수입국가 순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폴리스티렌 수입액 순위 및 증감률>
(HS Code: 390311, 단위: U$ 천, %)
순위
국가명
2019년
2020년
2021년
수입금액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88,343
56,324
-36.1%
64,116
13.6%
1
미국
21,161
22,531
6.5%
32,796
45.6%
2
한국
6,894
4,822
-30.1%
8,792
82.3%
3
대만
12,184
14,792
21.4%
8,655
-41.5%
4
일본
6,969
5,760
-17.3%
5,084
-11.7%
5
오스트리아
2,490
2,956
18.7%
4,777
61.6%
6
멕시코
1,321
932
-28.6%
1,427
51.4%
7
독일
2,523
210
162%
354
68.2%
[자료: 한국무역협회, KOTRA 톈진무역관 정리]
관세 및 수입 규제
폴리스티렌을 중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한중 FTA 협정 세율로 수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폴리스티렌(HS코드 3903.11)은 기본세율이 8%이나 최혜국 세율을 적용받는 경우 6.5%이다. 한국 관세청에서 발급한 원산지 증명서를 취득하면 한-중 FTA 협정 세율에 따라 1.3%의 관세율로 수출할 수 있다. 중국으로 폴리스티렌을 수출하는 경우 현지 통관절차 중 MSDS(화학품안전설명서) 중문 번역본 및 중문 GHS(국제화학물질분류) 라벨을 제출해야 한다.
<중국의 폴리스티렌 수입 관세율>
상품명
HS Code
기본세율
MFN(최혜국) 세율
한-중 FTA 협정 세율
폴리스티렌
3903.11
8%
6.5%
1.3%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시사점
중국의 폴리스티렌 시장 규모는 향후에도 계속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금기신국제자문(中金企信国际咨询)은 2025년과 2026년 중국의 폴리스티렌 수요량을 각각 600만 톤과 635만 톤으로 예측했다. 2021년 중국의 폴리스티렌 생산량인 328만 톤과 비교했을 때 2026년의 수요 규모는 2021년 생산량의 2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산업연구원(中国产业研究院)은 중국 정부의 석유화학 기업의 신규 생산량 확대 승인이 엄격해지는 추세 속에서 중국 내 폴리스티렌의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중국 시장 내 폴리스티렌 공급 부족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에서 폴리스티렌이 활용되는 산업 분야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각 산업의 폴리스티렌 수요는 다양해지고 있으며 폴리스티렌 기업들은 성능 개선 및 연구개발을 통해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폴리스티렌 기업들은 고무, 유리, 기타 섬유를 폴리스티렌과 혼합하며 충격 저항성, 투명성, 내연성을 높인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 폴리스티렌을 제조 및 수출하는 기업들은 최근 중국 폴리스티렌 시장의 트렌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중국산업연구원(中国产业研究院), 중금기신국제자문(中金企信国际咨询), 쯔옌산업연구원(智研产业研究院), 한국무역협회, 관세법령정보포털, KOTRA 톈진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폴리스티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2년 베트남 에너지효율 동향
베트남 2022-11-28
-
2
일본 면역물품 시장동향
일본 2022-11-29
-
3
튀르키예 영상진단장비 시장 동향
튀르키예 2022-11-29
-
4
일본의 반도체용 석영도가니 시장동향
일본 2022-12-02
-
5
미용기기
중국 2022-11-28
-
6
중국, 에틸렌 설비증설 가속화
중국 2022-11-29
-
1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2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3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5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6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