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디지털 전환 본격 추진... 5G·AI·핀테크 등 성장 기회 확대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지혜
  • 2025-02-17
  • 출처 : KOTRA

베트남, 디지털 전환 핵심 과제 선정... 법·제도·인프라 정비 중

전자상거래·핀테크·스마트시티 등 분야 투자 기회 확대

규제 대비는 필수이며 강력한 현지 네트워크 구축 및 PPP 참여 등 고려 가능

베트남 정부의 디지털 전환 목표


베트남 정부는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경제 발전을 국가의 핵심 과제로 선정하며 지난해 말, 정치국 결의안 제57호(57-NQ/TW)를 발표해 과학, 기술, 혁신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의 돌파구 마련을 목표로 설정했다. 2025년 1월 13일 팜 민 찐 총리도 앞선 결의안의 실행을 정부의 핵심 정치 과제임을 강조하는 등 일련의 행보는 베트남 정부가 최근 디지털 전환에 매우 깊은 관심과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베트남 디지털 전환 관련 결의안(57-NQ/TW)의 주요 내용>

세부 목표

2030년까지

총요소생산성(TFP)의 경제성장 기여율

> 55%

첨단기술 제품 수출 비중

≥ 50%

디지털 경제 규모(GDP 대비)

> 30%

국민과 기업의 온라인 공공 서비스 이용률

> 80%

비현금 거래 비율

80%

혁신 활동을 하는 기업 비율

(전체 기업 대비)

> 40%

과학, 기술, 혁신의 인간개발지수(HDI) 기여도

> 0.7

연구개발(R&D) 지출 비율(GDP 대비)

2%

과학, 기술, 혁신,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연간 총예산 지출

3% 이상, 

발전 요구에 따라 점진적 증가

과학 연구, 기술 개발, 혁신을 위한 인적자원

1만 명 당 12명

지역 및 세계에서 인정받는 과학 기술 기관 수

40~50개

국제 과학 출판물 연평균 증가율

10%

특허 출원 및 특허 보호 증명서 연평균 증가율

16~18%

상업적 활용률

8~10%

▶ 세계 디지털 경쟁력 및 전자정부 개발 지수에서 상위 50위 안에 진입

▶ 동남아시아에서 인공지능 연구 및 개발 분야 상위 3대 국가

▶선진국 수준의 디지털 기술 기업 5개 보유

세부 목표

2045년까지

디지털 경제 규모(GDP 대비)

> 50%

▶ 지역 및 세계에서 디지털 기술 산업 중심지로 자리매김

▶ 혁신 및 디지털 전환 분야 세계 30위권 진입

▶ 디지털 기술 기업 비율 선진국과 동등한 수준 달성

▶ 선진국 수준의 디지털 기술 기업 10개 보유

▶ 최소 5개 이상의 세계 주요 기술 기관 및 기업 유치를 통한 베트남 내 연구 및 생산 투자 증대

 [자료: 정치국 결의안(57-NQ/TW)]

 

디지털 전환 및 기술 발전 관련 주요 정책


위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베트남은 인프라 개발, 규제 체계 구축, 국제 협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 중이다.

 

디지털 기술 산업법 초안 

재 검토 중인 법안으로 반도체 및 인공지능(AI)과 같은 분야에서의 인센티브를 제안하며 디지털 기술 혁신 및 투자 촉진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년까지의 디지털 인프라 전략 및 2030년 비전 

2024년 10월에 승인된 전략으로 2025년까지 국제 녹색 표준을 충족하는 5G 네트워크 확대와 데이터 센터 개발에 중점을 두며, 2030년까지 6개의 케이블 및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 투자 지원 기금

베트남 정부는 시행령 제182호(ND-CP)를 통해 투자 지원 기금의 설립 및 운영 규정을 발행했다. 이 기금은 반도체, 집적회로, AI 데이터 센터와 같은 첨단기술 프로젝트에 대해 초기 투자 비용의 최대 50%를 지원하며, 2024년 12월 31일부터 시행된다.

 

데이터법 2025

2024년 11월 30일 제15기 국회 제8차 회기에서 통과된 데이터법은 2025년 7월 1일부터 시행되며, 개인 데이터 처리 및 국경 간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도입해 국내외 기술 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 및 기술 발전 현황

 

세부 분야별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 및 기술 발전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디지털 경제

 

베트남의 디지털 경제는 지난 5년 동안 꾸준히 성장하며 국가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2022년과 2023년에는 글로벌 수요 감소 여파로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 비율이 일시적으로 둔화됐으나, 2024년에는 디지털 경제의 부가가치가 1조5000억 VND에 달해 GDP의 13.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통계총국(GSO)은 이러한 흐름이 디지털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2020~2024년 베트남 디지털 경제의 GDP 부가가치 기여도>

(단위: %)

[자료: 베트남 통계총국(GSO)]


미국의 국제무역청(ITA)는 베트남의 디지털 경제 시장이 2025년까지 약 450억 달러, 2030년에는 900억~2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GDP 대비 12% 이상인 디지털 경제 비중은 ASEAN 지역에서 태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이어 높은 편으로 평가했다. 한편, 현지의 업체들이 기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앞으로도 베트남이 대규모 ICT 제품 및 서비스를 수입해 새로운 시장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Bain & Company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의 디지털 경제는 CAGR 19%를 기록했는데, 이처럼 베트남의 디지털 경제 분야는 여타 ASEAN 국가들보다 성장세가 빠르며 시장 잠재력이 높은 부문으로 평가된다.

 

(2) 인터넷 및 5G 인프라

 

베트남의 인터넷 인프라 또한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베트남의 유선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는 159.32Mbps로 세계 35위, ASEAN 역내 3위를 기록했다. 모바일 인터넷 속도는 86.96Mbps로 세계 37위, ASEAN 역내 3위를 차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베트남이 동 조사 시행 이래 세계 40위 이내로 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 정책과 5G 네트워크 구축 확대가 인터넷 속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베트남 유무선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2024년 12월 기준)>

(단위: 위, Mbps)

유선 인터넷(Fixed Broadband)

모바일 인터넷(Mobile Internet)

국가

글로벌 순위

속도

국가

글로벌 순위

속도

싱가포르

1

330.98

싱가포르

15

129.13

태국

12

235.86

말레이시아

20

105.36

베트남

35

159.32

베트남

37

86.96

말레이시아

45

118.63

태국

46

65.47

필리핀

58

93.76

라오스

75

36.64

브루나이

83

76.60

필리핀

77

36.36

캄보디아

108

46.14

캄보디아

82

32.27

라오스

114

40.06

인도네시아

86

28.80

인도네시아

121

32.07

-

-

-

미얀마

124

28.94

-

-

-

[자료: Ookla Speedtest Global Index(2025년 1월 검색)]

 

한편, 2025년 1월 기준, 베트남에서 상용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통신사는 Viettel과 VinaPhone 두 곳뿐이다. Viettel의 경우 베트남에서 최초로 5G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6500개 이상의 기지국을 운영하며 전국 인구의 25% 이상을 커버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ICT 및 모바일 기반 혁신을 통한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를 100Mbps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2030년까지 전국 인구의 99%가 5G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하게 확대한다는 계획이다(Decision 36/QD-TTg).

 

(3) 전자상거래 및 핀테크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에 따르면,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2024년 지난해 대비 20% 성장해 250억 달러를 기록하고, 국내 전체 소매 및 서비스 매출의 9%를 차지했다. 전자상거래는 베트남의 디지털 경제 전체 가치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베트남 산업통상부 산하 전자상거래·디지털경제국(DEC)에 따르면,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연평균 18~25%의 높은 성장률과 함께 지속적인 확장이 기대된다.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십억,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2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339pixel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VNeconomy,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한편, e-Conomy SEA 2024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50억 달러로, ASEAN 국가 중 인도네시아(650억 달러), 태국(260억 달러)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ASEAN-6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2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1pixel, 세로 217pixel

[자료: e-Conomy SEA 2024, 베트남 무역투자부]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디지털 결제 및 금융 서비스의 중요성도 더욱 커졌다.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되면서 간편결제, 전자지갑, 선구매 후결제(BNPL) 등 핀테크 서비스가 전자상거래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베트남의 핀테크 산업은 급격히 확대돼, 베트남 중앙은행(SBV)에 따르면 2010년 10개에 불과했던 핀테크 기업 수는 2023년 187개로 18배 이상 증가했다. 현지에서는 Momo, ZaloPay, VNPay, ShopeePay 등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전자상거래와 함께 성장하는 중이다.

 

<2010~2023년 베트남 핀테크 기업 수 변화>

(단위: 개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2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232pixel

[자료: 베트남 중앙은행]

 

베트남의 핀테크 시장이 ASEAN 내 6대 시장 중 하나로 평가되지만 투자 유치 측면에서는 여전히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UOB, PwC 싱가포르, 싱가포르 핀테크 협회(SFA)의 ASEAN 핀테크 2024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3년 ASEAN 핀테크 투자액의 불과 2%를 차지했으며 2024년 첫 9개월 동안 이 비율이 1% 이하로 감소했다. 이는 핀테크 강국으로 자리 잡은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와 비교할 때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수치로,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이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할 핀테크 산업의 기반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임을 보여준다.

 

<2023년 및 2024년 9개월간 ASEAN-6 핀테크 투자 및 거래 비율>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핀테크 통계.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19pixel, 세로 724pixel

[자료: ASEAN 핀테크 2024 보고서]

 

(4) 전자정부

 

베트남은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Decision no.749/2020/QD-TTg)의 일환으로 전자정부 도입을 주요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유엔이 발표하는 전자정부 발전지수(EGDI) 순위를 상위 70위 이내로, 2030년까지는 상위 50위 이내로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로, 베트남은 2024년 EGDI에서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71위를 기록해 2022년 대비 15단계 상승했다. 또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11개국 중 5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EGDI의 ‘매우 높은 수준(Very High Level)’ 그룹에 포함됐다.

 

<베트남 전자정부 발전지수 순위>

(단위: 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20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1pixel, 세로 167pixel

[자료: UN, VnEconomy,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동남아시아 지역 전자정부 지수 순위>

(단위: 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2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9pixel, 세로 247pixel

[자료: UN, VnEconomy,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이와 함께, 베트남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정부 운영 역량 강화에도 주력하고 있다. 2023년 옥스퍼드 인사이츠(Oxford Insights)의 ‘정부 AI 준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AI 준비도’ 측면에서 54.5점을 기록해 193개 국가 중 39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 베트남은 또한 전자정부 구축의 일환으로 2019년 공공서비스 포털(National Public Service Portal)을 개설해 전체 행정 서비스의 70% 이상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관련 주요 투자·협력 기회

 

다방면에서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에서 디지털 전환 관련해 기회 요인 및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와 기업은 아래와 같다.

 

<디지털전환 관련 주요 투자 협력 및 기회 요인>

분야

기회 요인

주요 프로젝트/협력 가능 기업

통신 및 5G 구축

베트남은 2025년까지 전국적인 5G 네트워크 구축, 2030년까지 인구의 99%를 커버하는 목표를 설정. 현지 통신사와 협력해 5G 인프라, IoT 솔루션을 공급할 기회가 있음

주요 협력 기업: Viettel, VNPT, MobiFone

스마트시티 인프라

하노이, 호치민, 다낭 등의 스마트시티 개발로 IoT 기반 교통 관리, 스마트 유틸리티, 공공 안전 시스템 등 첨단 기술 솔루션 수요 증가

주요 프로젝트: 하노이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프로젝트, 다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 센터 시장

2024년 7월부터 베트남은 외국 기업의 데이터 서비스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100% 소유를 허용. 이는 클라우드 및 데이터 인프라 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

주요 협력 기업: VNPT, CMC Telecom, Viettel IDC, FPT Telecom, VNG Corporation

국제 금융센터 개발

베트남 정부는 2025년까지 호치민과 다낭에 국제 금융센터(IFC)를 설립해 지역 및 글로벌 금융 허브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핀테크, AI, 디지털 인프라 기업에 투자 및 협력 기회 제공

주요 프로젝트: 호치민 IFC, 다낭 IFC

디지털 결제 솔루션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쇼핑 확대와 함께 디지털 결제, 특히 BNPL(선구매 후결제)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 중. 현재 시장은 초기 단계로, 외국 금융 기업 및 핀테크 스타트업과 협업 기회 존재

주요 협력 기업: Fundiin, Momo, Timo

[자료: 현지 언론,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은 ‘2025년까지의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2030년 비전)’ 및 ‘2025년 디지털 인프라 전략’과 같은 국가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지역 선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5G, AI, IoT와 같은 첨단 기술을 산업 전반에 걸쳐 통합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핀테크, 디지털 인프라, AI 응용 기술,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Viettel은 “베트남의 디지털 경제에서 외국 기업들이 5G, AI, 클라우드 컴퓨팅, IoT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과 제품을 제공할 기회가 열려있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베트남 정부가 디지털 전환 및 인프라 확장을 적극 추진하는 만큼 해외 기업들이 현지 시장에 기술과 노하우를 접목할 여지가 많음을 시사한다.

 

베트남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규제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고 정부의 인센티브를 적극 활용하며 강력한 현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공-민간 협력(PPP)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시장 특성에 맞춘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장기적인 성공의 핵심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베트남 정치국 결의안 및 정부 시행령, 베트남 통계총국(GSO),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 국제무역청(ITA), Bain & Company, Ookla Speedtest Global Index, Viettel 등 기업 홈페이지, e-Conomy SEA 2024, 베트남 중앙은행(SBV), ASEAN 핀테크 2024 보고서, UN, Oxford Insights, VnEconomy 등 현지 언론,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디지털 전환 본격 추진... 5G·AI·핀테크 등 성장 기회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