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무수불산 공급망 동향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4-11-25
- 출처 : KOTRA
-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에 필수 소재인 무수불산
중국 내 무수불산 수요 지속 증가해 2023년 소비량 190만5000톤에 달함
한국의 대외 무수불산 수입국 1위는 중국
무수불산(약칭 AHF)은 무색의 발연 액체로 산성과 흡수성이 강하고 화학 활성도와 유전율이 높아 불소 화학공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무수불산
281111.9000
[자료: HS 코드망]
산업 가치사슬
무수불산 산업의 가치사슬 상류는 원자재(농황산, 산성 등급 형석 분말)를 취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되며, 중류는 무수불산 제조회사, 하류에는 불소 함유 냉매, 불소 함유 고분자 재료, 무기 불소 화합물, 불소 함유 정밀 화학 제품 등 무수불산 제품을 활용하는 업체들이 광범위하게 포함된다.
<중국 무수불산 산업 가치사슬>
[자료: 중연망(中研网)]
수요 및 소비 동향
최근 반도체, 신에너지 자동차, 태양광 산업 등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이들 산업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불소 함유 무수불산의 수요도 대폭 증가하고 있다. 2020년 이후 중국의 무수불산 소비량은 지속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2.9% 증가한 190만5000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3년 중국 무수불산 실제 소비량>
(단위: 만 톤)
[자료: BAIINFO]
무수불산은 냉매, 불소 함유 고분자 재료, 불소 함유 정밀 화학 제품, 무기 불소 화합물 등 각종 불소 화합물의 원자재로 사용되며, 특히 냉매 물질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 중금기신국제컨설팅(中金企信国际咨询)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냉매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무수불산 수요량이 중국 전체 분야별 무수불산 수요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중국의 무수불산 분야별 사용 비중>
(단위: %)
[자료: 중금기신국제컨설팅(中金企信国际咨询)]
생산 동향
지속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맞춰 중국 무수불산 생산업체들도 공장 가동률을 향상시켜 연평균 무수불산 최대 생산가능량(생산능력)을 늘리고 있다. BAIINFO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최대 무수불산 생산가능량은 286만6000톤으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343만4000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3년 중국 내 무수불산 최대 생산가능량(생산능력)>
(단위: 만 톤)
[자료: BAIINFO]
한편 중국의 실제 무수불산 생산량도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 증가했는데, 2023년 중국의 무수불산 생산량은 213만9000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3년 중국 무수불산 실제 생산량>
(단위: 만 톤)
[자료: BAIINFO]
가격 동향
중국의 무수불산 월평균 가격은 지난 1년 동안(2023년 9월~2024년 9월) 10000위안/톤 전후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특히 올해 3월 국가광산안전감독국의 <형석 광산 안전 생산을 위한 전문 정비 실시에 관한 통지(关于开展萤石矿山安全生产专项整治的通知)> 발표에 따라, 3월~5월 무수불산의 주 제조원료인형석 분말 가격 상승이 무수불산 가격의 반짝 상승을 견인했으나, 이후 가격은 다시 하락하고 있다.
<2023년 9월~2024년 9월, 중국 내 월평균 무수불산 가격 추이>
(단위: 위안/ 톤)
[자료: BAIINFO]
한중 수출입 동향
중국의 주요 무수불산 수출 국가/지역은 일본, 한국, 대만 순으로 2022년 중국의 대일 수출액은 1억5729만 달러로 2021년 대비 7.8% 증가했으나, 2023년에는 1억2101만4000달러로 전년 대비 2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2023년 중국의 대한 무수불산 수출액은 9813만2000달러로, 전년 대비 24.1%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20~2023년 중국의 무수불산 주요 수출 국가/지역>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출액
증감률
1
일본
106,200
145,929
157,290
121,014
-23.1
2
한국
88,275
116,170
129,255
98,132
-24.1
3
대만
50,457
76,365
91,696
59,152
-35.5
4
아랍에미리트 연합
0
0
673
18,813
2694.5
5
태국
7,038
10,279
13,913
12,371
-11.1
6
브라질
5,150
8,098
12,305
11,233
-8.7
7
베트남
8,646
9,339
10,356
10,278
-0.8
8
싱가포르
8,007
9,735
10,402
7,575
-27.2
9
인도
841
0
2,102
6,358
202.5
10
말레이시아
7,983
3,426
3,829
4,779
24.8
총계
282,597
379,342
431,822
349,706
-19.0
*주: HS CODE 281111.9000, 상기 순위는 2023년 수출액 기준
[자료: 중국해관총서(中國海关总署)]
한국무역협회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대외 최대 무수불산 수입국은 중국으로 2020~2022년 한국의 대중 무수불산 수입액은 지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3년 한국의 대중 무수불산 수입액은 전년 대비 17.7% 감소한 반면, 멕시코와 독일로부터의 수입액은 각각 1130.9%, 17.1%로 큰 폭 증가하여 중국에 대한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2023년 한국의 대외 무수불산 수입액>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75,158
93,103
98,582
81,110
-17.7
2
멕시코
0
51
142
1,746
1130.9
3
독일
43
396
409
478
17.1
4
싱가포르
13
954
358
384
7.3
5
미국
45
72
131
90
-31.6
총계
75,259
94,575
99,622
83,808
-15.9
*주: HS CODE 281111.9000, 상기 순위는 2023년 수입액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생산기업 동향
중국 무수불산 생산은 주로 저장(浙江)성, 푸젠(福建)성, 장쑤(江苏)성, 산둥(山东)성, 장시(江西)성, 네이멍구(内蒙古) 등지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내 주요 무수불산 생산업체로는 DONGYUE GROUP LIMITED(东岳集团有限公司), Zhejiang Sanmei Chemical Industry(浙江三美化工股份有限公司), Zibo Feiyuan Chemical(淄博飞源化工有限公司), Zhejiang Juhua(浙江巨化股份有限公司), Do-Fluoride New Materials(多氟多新材料股份有限公司) 등이 있다.
<중국 주요 무수불산 기업 현황>
기업명
설립년도
2023년 총 영업이익
(백만 위안)
홈페이지
주요 소개
DONGYUE GROUP LIMITED
(东岳集团有限公司)
2007
14,493
https://www.dongyuechem.com
- 신형 친환경 냉매, 불소 함유 고분자 재료, 유기 실리콘 재료 등의 연구개발 및 생산 전문업체
Zhejiang Sanmei Chemical Industry Co., Ltd.
(浙江三美化工股份有限公司)
2001
3,334
https://www.sanmeichem.com
- 불소 화학공업 제품의 연구개발 및 생산판매 전문업체
Zibo Feiyuan Chemical Co., Ltd.
(淄博飞源化工有限公司)
2004
-
http://www.feiyuanchem.com
- 불소 화학공업 제품의 연구개발 및 생산판매 전문업체
Zhejiang Juhua Co., Ltd.
(浙江巨化股份有限公司)
1998
20,655
www.jhgf.com.cn
- 불소 및 염소 알칼리 화학공업 등에서산업 가치사슬을 내재화한 불소 화학공업 제조 기지
Do-Fluoride New Materials Co., Ltd.
(多氟多新材料股份有限公司)
1999
11,937
http://www.dfdchem.com
- 고성능 무기 불소 화합물, 전자 화학품, 리튬이온 배터리 및 관련 재료의 연구개발, 생산 전문업체
[자료: Wind]
정책 동향
중국 정부 또한 불소 화학공업 산업의 연구개발 확대와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여러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중국 무수불산 산업 관련 정책>
발표시기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 내용
2022.10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외국인 투자 장려 산업 목록(2022년판)
(鼓励外商投资产业目录 (2022年版))
- 특수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실리콘 고무 등 특수 고무를 '외국인 투자 장려 산업 목록'에 추가
2023.12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업 구조 조정 지도목록(2024년판)
(产业结构调整指导目录 (2024年本))
- 불산 산업구조 효율화, 녹색 발전 및 고급화 전환 추진
[자료: 쯔옌컨설팅(智研咨询), 중국 정부망 (中国政府网)]
유통 동향
중국의 무수불산 유통 방식은 주로 자체 생산 판매를 병행하는 방식이며, 대리상 판매, 온라인 플랫폼(爱采购 등) 판매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통망(易通网)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무수불산 수출 시 중국의 '이중용도 물품 및 기술 수출 허가증(Export License for Dual-use Items and Technologies of PRC)'과 '수출 화물 통관서'를 신청해서 승인을 얻어야만 수출가능하다.
* 주: 이중용도 물품 및 기술 수출 허가증은 중국 상무부 홈페이지 내 업무시스템 통합플랫폼( https://www.mofcom.gov.cn/fzlm/swbywxttypt/index.html)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수출 화물 통관서는 중국 해관총서 홈페이지(https://online.customs.gov.cn/)에서 신청 가능
시사점
향후 AI, 신에너지차 등의 첨단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고순도 무수불산에 대한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용의 보편화로 리튬배터리 산업의 활황은 무수불산 수요 확대를 지속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중국 무수불산에 대한 의존도가 비교적 높다. 시장정보 업체 Baiinfo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은 무수불산의 생산과 공급에서 꾸준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 측면에서는 형석 등 관련 자원에 대한 중국의 규제 정책으로 인해 형석 가격이 상승하면서 무수불산 가격 또한 상승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대중 무수불산 수입액은 전년 대비 17.7% 감소한 반면, 독일, 싱가포르 등 다른 국가로부터의 수입액은 다소 증가했다. 이에 따라 무수불산 및 관련 원자재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중국 생산 기업의 동향을 주시하고, 중국 정부의 정책을 면밀히 감시하며, 공급망 다변화를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HS코드망, 중연망(中研网), BAIINFO, 중금기신국제컨설팅(中金企信国际咨询), 세관총서(中国海关总署), 한국무역협회, 쯔옌컨설팅(智研咨询), 중국 정부망 (中国政府网), Wind 등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무수불산 공급망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빙설경제'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중국, 겨울왕국 건설에 박차
중국 2024-11-25
-
2
베트남 전구체 관련 규제, 화학물질 수출입시 유의사항
베트남 2024-11-21
-
3
체면 중시하는 중국, 소비 줄어도 성장하는 선물용품 시장
중국 2024-11-28
-
4
중국 최대 쇼핑 이벤트 '솽스이', 2024년 매출 현황과 소비 트렌드
중국 2024-12-06
-
5
2028 올림픽 앞둔 미국 LA, eVTOL이 바꿀 미래 교통의 청사진
미국 2024-11-25
-
6
충분한 잠재력, 브라질 리튬 공급망 동향
브라질 2024-11-27
-
1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2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3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4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5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6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