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테말라에서 확산 중인 한국 소비재의 인기
- 트렌드
- 과테말라
- 과테말라무역관 곽은자
- 2024-11-05
- 출처 : KOTRA
-
과테말라, 5년간 한국 화장품 수입 규모 증가세
2023년 식료품 및 직접 소비재 수출액, 전년 대비 38% 증가
K-마켓 팝업스토어 개최로 한국 제품에 대한 높은 인기 확인
과테말라 한국 소비재 시장 동향
과테말라를 포함한 중남미 전역에서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한국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열풍은 한국 화장품, 패션, 식품 등에 대한 수요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한국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매력적으로 여겨지면서 한국 제품에 대한 충성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과테말라 소비자들은 한국 소비재가 고품질과 혁신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 역시 높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어 과테말라 내 한국 소비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제품을 찾는 바이어와 소비자들의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한국 소비재 품목으로는 화장품(HS CODE 3304)이 있다. 2023년 한-과테말라 간 화장품 수입규모는 약 63만9000달러였다. 2024년 8월 기준으로는 약 40만5000달러다. 비록 전년 동월 대비 약 12.6% 하락한 수치이나 지난 5년간 과테말라의 한국 화장품 수입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과테말라 화장품(HS CODE 3304) 연도별 수입규모>
(단위: US$ 천, %)
2020
2021
2022
2023
2024.8
373
369
474
639
405
[자료: Global Trade Atlas]
또한, 한국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과테말라 식료품 및 직접 소비재 수출액은 매년 증가해 2022년 1459만 달러에서 2023년 2014만 달러로 38% 증가했다. 이러한 카테고리에는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조제식료품, 음료, 주류 등이 포함된다. 참고로 과테말라에는 약 5600명의 교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한인 슈퍼마켓 체인이 5개 이상 운영되고 있지만, 한국 식음료는 주로 미국 LA 등 타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한국의 대과테말라 수출 통계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대 과테말라 식료품 및 직접 소비재 연도별 수출 동향>
(단위: US$ 천)
[자료: 관세청 수출입통계]
한국 소비재 팝업스토어 K-마켓 개최, 한국 제품의 높은 인기 확인
최근 과테말라에서는 한국 소비재에 대한 인기가 급증하면서,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K-푸드, K-뷰티 관련 제품의 SNS 홍보와 인증 후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발맞춰 KOTRA 과테말라 무역관은 한국 소비재를 유통하는 현지 바이어들과 협력해 유통망 판촉 사업을 진행했다. 2019년부터 매년 진행해 왔으며, 올해에는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과테말라시티 소나14에 위치한 라스아메리카스 쇼핑몰에서 '2024 과테말라 K-마켓 팝업스토어'라는 이름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화장품, 식품, 유아동용품, 패션용품 등 다양한 한국 제품을 과테말라 소비자에게 소개하고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오벨리스코 광장 인근의 쇼핑몰에서 열려 많은 인파가 행사장을 찾았다. 주로 온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바이어들과 협업해 이번 행사로 소비자들이 실제로 제품을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제품에 대한 신뢰를 쌓고,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게 만들었다. 또한 소비자의 실시간 피드백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제품 판매를 넘어 B2B 기회를 제공하는 기회가 마련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K-Market 팝업스토어 행사장 전반 모습>
[자료: KOTRA 과테말라 무역관 직접 촬영]
행사에서는 인플루언서와 협업해 제품 체험 행사와 경품 이벤트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이 펼쳐졌다. 이를 통해 강력한 홍보 효과와 높은 구매력을 끌어냈다. 현지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참여해 한국 제품을 소개하며 자연스러운 입소문이 형성됐고, 이에 따라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과 검색량도 증가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행사 기간 동안 다양한 연령대와 소비 계층의 현지인들이 방문해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더욱 높아졌으며, 한국 제품에 대한 호감이 크게 증가했다.
<K-Market 팝업스토어에 참여한 인플루언서 SNS 홍보 화면 캡쳐>
theskinnyvanilla
koreanchapin
luisafermazari
ximenaoverall
elvlogdegaby
[자료: 각 인플루언서, KOTRA 과테말라무역관 instagram 화면 캡쳐]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현지에서 한국 소비재의 인기 요인
KOTRA 과테말라 무역관은 이번 행사에 참여한 바이어와 고객을 인터뷰해 과테말라에서 한국 소비재의 매력과 현지 소비 트렌드에 대해 파악했다. 행사에 참여한 과테말라 소비자와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세바스티안(Sebastián Delgado) 씨는 "4년 전부터 한국 스킨케어 루틴에 따라 피부 관리를 하기 시작했고, 현재 세안-세럼-수분크림-선크림 순서로 루틴을 짜서 피부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 화장품은 과테말라에서 취급하는 화장품 중 가장 높은 기술력과 품질을 지녔고 피부에 사용하면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국 화장품 인기 요인에 대해 설명했다.
알레한드리나(Alejandrina Marcela) 씨는 “한국 스킨케어, 메이크업 등 화장품을 매우 좋아하며, 처음 접한 뒤로 줄곧 한국 제품만 찾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번 행사에서는 화장품 뿐만 아니라 한국 식품도 구매했다"고 덧붙였다. 한국 콘텐츠의 유행에 따라 콘텐츠 속 제품이 인기를 끄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평소 한국 드라마를 자주 보는데, 과테말라 한인 슈퍼에서 드라마에서 나오는 음식을 자주 구매해 먹는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로 한국 제품을 처음 접하는 소비자도 있었다. 크리스텔(Kristel Urrutia) 씨는 "한국 제품에 대해 익히 들었지만 구매 기회가 없었다"며 "행사를 통해 스킨케어 제품을 비롯해 한국 음료, 소주 등을 구입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 제품은 좋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이 장점이라 점차 한국 제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KOTRA 과테말라 무역관과 협업해 본 행사에 참가한 바이어 C사의 관계자는 유아용품에 대해 의견을 내비쳤다. KOTRA 과테말라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C사 관계자는 “한국에는 고품질의 유아용품이 많아 과테말라에 소개하고 싶어 KOTRA를 통해 제품을 정식 수입했다"고 밝혔다. 그는 "온라인 편집샵을 통해 판매 중으로,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직접 선보이고 싶어 이번 오프라인 행사에 참가하게 됐다"며 "특히 공룡 그림이 있는 다이노솔즈사의 유아동 신발이 가장 인기를 끌었다"고 말했다.
시사점
과테말라 내 한국 소비재의 인기가 상승하면서 현지 바이어들은 한국 시장에서 새로운 브랜드를 발굴하고 현지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춰 화상상담이나 방한을 통한 거래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이번 K-마켓 팝업스토어를 통해 과테말라 내 한국 소비재의 매력과 현지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한국 소비재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품의 경우, 한 바이어가 여러 브랜드의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아마존과 SNS에서 비공식적으로 수입되는 제품이 늘어나며 공식 수입 바이어들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더욱 체계적인 유통망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과테말라 소비재 제품의 관세가 10-15%, 부과세 12%, 물류비용 등으로 현지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구매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이에 양국 간 FTA가 조속히 발효돼 한국 제품이 더욱 쉽게 현지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자료: 각 인플루언서 및 KOTRA 과테말라무역관 instagram, KOTRA 과테말라 무역관 종합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과테말라에서 확산 중인 한국 소비재의 인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더 쉽고 빠르게! 미국의 반품관리 서비스 산업
미국 2024-11-05
-
2
싱가포르 스킨케어 시장 동향
싱가포르 2023-11-21
-
3
일본에서 사계절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자외선차단제
일본 2024-11-05
-
4
오스트리아의 푸드 트렌드, 그리고 한식
오스트리아 2024-10-28
-
5
2024년 미국 홀리데이 시즌 쇼핑 전망
미국 2024-11-04
-
6
UAE 식음료 업계, 지속 가능성 트렌드 확산 중
아랍에미리트 2024-08-27
-
1
2024년 과테말라 관광산업 정보
과테말라 2024-04-16
-
2
2021년 과테말라 관광산업 정보
과테말라 2021-12-06
-
3
2021년 과테말라 소비재 산업 정보
과테말라 2021-12-06
-
4
2021년 과테말라 건설산업 정보
과테말라 2021-12-06
-
5
2021년 과테말라 산업 개관
과테말라 2021-12-06
-
6
2021년 과테말라 의류섬유 산업 정보
과테말라 202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