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화장품 시장현황
  • 트렌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07-03-29
  • 출처 : KOTRA

中 화장품 시장현황

 

보고일자 : 2007.3.29

최 용/윤선민 다롄무역관

pengyou@kotra.or.kr

 

 

□ 시장 상황

 

 Ο 시장 잠재력이 커

  - 개혁개방이래 중국화장품 시장은 년 평균 23.8%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으며 2005년에는 화장품 매출액이 684억 위앤을 넘어서 세계 제8위, 아세아 제2위 화장품 시장으로 등장했고 2008년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800억 위앤으로 예측되고 있음.

  - 하지만 중국의 일인당 화장품 소비액은 USD 7로 세계평균수준의 1/7밖에 달하지 않아 큰 시장잠재력을 보이고 있음.

 

 Ο 지역 간 차별이 선명함

  - 중국의 지역별 경제발전 상황에 따라 화장품산업도 생산과 소비를 물론하고 큰 지역적 차이를 보이고 있음. 가장 활발한 지역은 동부연해 지역이며, 다음으로 중부이며 서부는 아직 낙후한 편임.

  - 그중에서도 상해, 북경, 강소, 광동, 절강, 산동 등 6개성시의 소비총액이 전국의 57%를 점하며 산동을 제외한 나머지 5개지구의 매출이 전국총 매출액의 50%를 점하고 있음. 2004년도 통계에 따르면 상해 : 36억 1000만 위앤, 북경 : 26억 5000만 위앤, 강소 : 23억 5000만 위앤, 광동 23억 1000만 위앤으로 밝혀짐.

 

* 시장 진출도 이 6개 지역을 타켓으로 해야 승산이 있음

 

 Ο 외국브랜드 고가시장 독점

  - 中華全國商業信息中心에서 2004년 1~6월 기간 수행한 조사결과를 보면 Oil&Ulan, L’oreal, Maybelline 등 외국브랜드는 사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음. DABAO와 같은 중국 브랜드들가 비록 판매량은 상위 10내에 속했지만, 중-저가 시장 위주여서 전체 판매액으로는 외국 브랜드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음.

  - 현재 외국브랜드는 전체시장 판매량의 60%를 점하고 있지만 매출액 비중은 90%에 달할 만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음. 특히 백화점이나 고급매장은 거의 외국브랜드가 점유하고 있는 상황임. 중국위생부는 수입화장품에 대한 위생허가증 심사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에 있고, WTO가입에 따라 수입관세도 낮아지고 있어 외국브랜드의 중국시장진출는 더욱 빨라질 전망임.

 

2005년도 중국화장품 수입통계

(단위 :100만 달러)

HS CODE

2004년

2005년

증가율(%)

33030000

11.17

11.861

6.19

33041000

10.305

15.808

53.40

33042000

11.035

16.392

48.55

33043000

10.236

9.359

-8.57

33049100

6.437

8.917

38.51

33049900

100.008

156.612

56.60

33051000

5.124

5.840

13.97

33052000

0.665

1.579

137.35

33053000

1.724

2.713

26.06

33059000

9.081

9.871

8.69

                                      자료원 : world trade altas

 

 Ο 중국 수입화장품에 대한 검사강화

  - WTO 가입조건에 따라 중국정부에서는 매년 화장품 수입관세 저하, 비기능성 화장품위생허가증 취득절차 감소화 및 CIQ정책취소 등 일련의 개방정책을 발표하는 반면 외국브랜드 화장품 품질안정성 검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2006년도 SK-I I사건은 외국브랜드에 대한 큰 경종임. 또한 2007년 1월 1일부터 여객 혹은 우편으로 중국경내로 들어오는 화장품 수입관세를 20%에서 50%로 상승시켰음.

 

 

□ 유통구조

 

 Ο 유통경로별 특징

  - 외국 화장품 업체의 중국시장 진출 방식은 현지공장 설림을 통한 내수 판매와 수출판매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결국 아래와 같은 6개 경로를 통해야 함.

 

 ① 생산업체-총대리상-지역대리상-Distributor (分銷商)-소매

  - 특징 : 판매망 성형이 빠르나, 단계가 많고 절차가 복잡해 생산업체에서 유통경로 매개 단계에 대한 컨트롤 능력 악하고 대리상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이윤율이 낮은 단점이 있음. 또한 높은 브랜드 이미지가 수요됨.

 

 ② 생산업체-구역대라상-소매

  - 특징 : 판매망 형성이 비교적 늦으며 판매망 완선 및 공고가 어렵다. 마진분배에 대한 요구도 높고 가격 콘트롤이 힘듦.

 

 ③ 생산업체-소매

  - 특징 : 유통단계가 가장 짧고 컨트롤이 용이함. 단 판매망 형성이 힘들고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

 

 ④ 생산업체-도매시장-도매대리상 혹은 소매

  - 특징 : 90년 후 중국 전역에 883개 규모의 다양한 일용품 도매시장이 형성됐고. 그중에서 비교적 유명한 화장품시장은 義烏, 漢正街, 五愛, 荷花池, 臨沂, 南三條, 朝天門, 珠市口 등지에 분포돼 있음.

 

ㅇ생산업체는 도매시장의 도매상과 계약관계를 유지하며 현금결제 혹은 정기 결제 방식을 취하되 도매상 이후의 판매경로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는다. 증서가 구비되지 않은 화장품과 카피 화장품이 가장 많이 도는 곳이며 현재는 그나마 절리된 상황임.

 

ㅇ도매상들은 유명브랜드 제품에서는 낮은 마진 혹은 마진이 없는 상태에서도 판로를 유지하기 위해 거래를 진행하지만 이미지가 없는 제품에서 높은 마진율을 챙긴다.

 

도매시장이름

주소

廣 州 美 博 城

廣 州 市 白 雲 區 廣 園 西 路 121 號

興 發 廣 場

廣 州 市 白 雲 區 機 場 路 138 號

怡 發 廣 場

廣 州 市 白 雲 區 機 場 路 96~98 號

中 人 化 妝 品 城

廣 州 市 機 場 南 路 興 發 廣 場 二 期 二 樓

上 海 靚 妝 化 妝 品 批 發 市 場

上 海 徐 家 彙 商 業 圈

北 京 市 東 城 東 直 門 化 妝 品 批 發 站

北 京 市 東 城 區 東 外 斜 街 61 號

福 建 美 博 城

福 州 市 台 江 區 六 一 中 路 ( 橋 北 站 )

                 자료원 : 2005년도중국화장품시장상황보고서.

 

 ⑤ 무점포 판매

 a) 생산업체-TV-소비자

 b) 생산업체-신문/잡지-소비자

 c) 생산업체-전화-소비자

 d) 생산업체-인터넷-소비자

  - 특징 : 생산업체에서 홈쇼핑 등 중개업체에 거대한 마진율을 남겨주어야 하며 품질과 관련 증서에 대한 요구가 높음. 단 이윤율이 높은 장점이 있음.

 

2005년도 북경, 상해, 광주 3지 인터넷 쇼핑몰별 시장점유율

쇼핑몰회사

www.taobao.com

eBay

www.ebay.com.cn

拍 拍

www.paipai.com

一 拍

www.1pai.com

시장점유율

67.3%

29.1%

2.2%

1.4%

 

 ⑥ 생산업체-판매인원-소비자 【직판( 방문 판매)】

  - 특징 : 단계가 없어 가격이 저렴하지만 마진율이 높음. 단 정부의 규제가 엄격해 직판자격증 취득이 어려운 단점이 있음.

 

회사명

취득일

회사성격

雅芳(中國)有限公司

2006.2.2

외자기업

遼寧省蟻力神天璽集團有限公司

2006.7.19

중국기업

如新(中國)日用保健品有限公司

2006.7.22

외자기업

寶健(中國)日用品有限公司

2006.7.22

외자기업

寧波三生日用品有限公司

2006.8.14

외자기업

南京中脈科技發展有限公司

2006.8.16

중국기업

新時代健康業(集團)有限公司

2006.8.16

중국기업

歐瑞蓮化妝品(中國)有限公司

2006.9.12

외자기업

金士力佳友(天津)有限公司

2006.10.16

외자기업

富迪健康科技有限公司

2006.10.26

외자기업

玫琳凱(中國)化妝品有限公司

2006.12.1

외자기업

安利(中國)日用品有限公司

2006.12.1

외자기업

完美(中國)日用品有限公司

2006.12.21

외자기업

                                     자료원 : 중국경영보

 

 Ο 화장품 3대 소매업별 특징

  - 대형백화점

   · 적용 : 제품은 높은 브랜드 이미지, 강한 개발능력, 완벽한 서비스 시스템이 구비돼야 함.

   · 장점 : 입지 우수, 인구 유동량이 크고 브랜드 확장이 빠름. 높은 가격으로 판매 용이함.

   · 단점 : 비용이 높고, 경쟁이 치열하고, 검사가 심함.

   · 비고 : 세계유명 화장품 생산업체에서 많이 선택하고 있음. 현재까지 SHISEIDO 전국에230개 매대 경영, L’OREAL 전국에 300개 매대 경영, MAYBELLINE 전국에 500여개 매대 경영.

  - 대형마트

   · 적용 : 품질이 좋고 대중화 된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함. 회사 생산능력도 어느 정도 구비돼야함.

   · 장점 : 입주비용 상대적으로저렴함. 인구 유동량이 많음. 판매량 상승이 용이함.

   · 단점 : 제품 가격이 낮고, 검사 심함.

   · 비고 : 중국업체 생산제품과 외국 중소기업제품에 적합함. 중국DABAO 브랜드가 전형적인 예임.

  - 화장품/일용품전문점 :

   · 적용 : 브랜드 이미지 낮고, 증서가 완벽하지 않고, 생산규모가 크지 않는 업체.

   · 장점 : 시장변화에 영활함. 분포가 광범위함.

   · 단점 : 판매업체의 마진을 확보,

   · 비고 : 중국화장품 업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음.

 

 Ο 유통마진 형성

  - 중국 화장품시장에서 유통마진은 통상 수출단가와 소매가격이 먼저 정해지고 대리상이 소매가격을 기준으로 자신의 마진을 계산하고 있다

 

화장품 유통마진 계산법

① 외국 수출업체와 중국 수입업자가 수출단가(주로 FOB가격)와 중국 소매가격을 결정함

② 백화점 등 소매처는 임대비 등 비용을 고려해 일반적으로 35~40% 마진을 갖는 것이 관행임.

③ 나머지 금액에서 지방대리상이 15~20% 마진을 남기고 그 다음 구역 및 총대리상이 각각 15~20% 마진을 가짐.

④ 만일 총대리상이 직판시장에 진입시 가격은 백화점 가격보다 15~20% 낮은 가격으로 결정함

⑤ 총대리상이 무점포판매 대행회사를 통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대행사에 20~30% 마진을 남겨줘야 함. (일반적으로 부가세영수증을 제공할 경우 20%, 제공하지 못할 경우 30% 마진을 대행사에 남겨줌)

           자료원 : 무역관실사

 

 

□ 우리 중소기업 진출전략

 

 Ο 주요 타겟 시장

  - 중소기업 제품은 브랜드 이미지가 덜 중시되는 미용원, 인터넷판매, 홈쇼핑, 전문점 등을 통한 마케팅이 적합함. 높은 입점비를 요구하는 백화점, 풍부한 자금력과 거대한 네트워크에 라이선스까지 갖춰져야 하는 직판, 염가판매로 브랜드 이미지가 저하되는 할인판매점 등은 피해야 할 시장임.

 

 ① 미용원

  - 수입제품은 관세부담으로 중국산에 비해 가격이 높지만, 품질이 보장된다면 미용원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가 가능함. 미용원 소비자들은 비교적 고소득층으로서 일인당 소비는 100~800위안/월로 추정되고 있으며, 가격보다는 효과를 중시 하는 구매관행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현재 미용원 시장에는 미국, 유럽계 화장품이 극히 적고 중국 화장품의 비중이 높음. 일본 화장품도 가끔씩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어, 한국 화장품의 진입공간이 큰 편임.

 

 ② 인터넷 마켓

  - 인터넷 판매를 통해 구입하는 제품은 수입제품 또는 특수 기능성 화장품인 경우가 많다. 소수의 유명 외국브랜드를 제외하고는 어떤 브랜드라도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낮기는 마찬가지이므로, 홍보를 잘 할 경우 중소업체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수입제품 중 유명브랜드는 인터넷에서 구입해도 시장 소매가격의 80~90%를 지불해야 하므로 소비층이 한정돼 있음.

 

 ③ 홈쇼핑

  - 중국은 홈쇼핑이 걸음마 단계이지만, 성장가능성은 무궁무진함. 중국의 홈쇼핑 업체는 한국 등 선진국 홈쇼핑 업체와 제휴를 통해 해 관련시장을 넓혀나고 있음. 홈쇼핑에는 방송에 따른 비용이 높아 중소기업에 부담이 되지만, 광고 효과가 높고 제품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④ 전문점

  - 고급 백화점 매장과는 달리 여러가지 브랜드를 동시에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입점비에 대한 부담이 덜함. 시내 중심상권이나 한국상품을 판매하는 상가 등에 위치한 전문매장에 물건을 공급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함. 백화점에 비해 입점이 수월하고, 할인점에 비해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며, 시장질서가 잘 비교적 잘 지켜진다는 장점이 있음.

 

 Ο 진출 포인트

 

 ① 자사제품에 맞는 가격대, 판매경로를 설정하라

  - 최근 2~3년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고가와 저가 제품으로 양분되는 등 세분화가 심화되고 있음. 우리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중국 업체들과 저가 경쟁을 해서는 도저히 승산이 없으므로, 중간 가격대에서 틈새시장을 노려야 할 것임. 무엇보다 자세제품의 품질, 제품종류, 현지 판매망 확보 여부 등을 고려해 적합한 판매경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함. 중소기업이 중고가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만큼 신중을 기해야 함.

 

 ② 유능한 협력파트너(대리상)를 찾아라

  -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본격적인 마케팅을 하기 전에 위생허가증, CIQ, 상표권 취득 등 해결해야 하는 절차가 많이 있음. 또한 초기광고, 판매망 구축에 비용부담도 적지 않다. 중소업체로서는 웬만한 중국측 협력파트너로는 중국시장 진출에 필요한 도움을 받기가 어려움. 따라서, 협력파트너에 대해 한국어 가능한 인력 확보, 탄탄한 판매망 구축, 대량 오더를 감당할 만한 자금력 확보 등의 여부를 꼼꼼히 잘 살펴야 함.

 

 ③ 경쟁이 덜 치열한 색조시장을 공략하라

  - 색조분야는 상대적 미개척시장이며, 한국업체가 중국업체보다 기술력에서도 앞서고 있어 마케팅을 잘 할 경우 진출 여지가 많다. 기초화장품 분야는 중국메이커가 외국기술을 도입해 기술수준이 빠르게 향상돼 품질격차가 크게 좁혀졌으며, 중국업체의 가격경쟁력이 월등히 앞서고 있어 진출이 쉽지 않음.

 

 ④ 장기적 시각으로 중국시장을 개척하라

  - 한국산 화장품의 중국에서 인기는 비교적 높지만, 선진국 브랜에 비해 브랜드관리 노력이 부족하고 시장개?을 위한 투자에 인색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중국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단기적 성과에 급급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중국시장에서 자리잡겠다는 전략이 필요함.

  - 이를 위해서는 광고비용을 늘리고, 현지 대리상 관리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임. 한 번에 여러 대리상 활용하는 것은 단기 이윤 창출에는 유리하지만, 가격질서나 브랜드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함.

 

 Ο 내수시장 진출절차

  - 외국화장품이 중국시장에서 유통되려면 ,, 등 3가지 증서가 갖춰져야 함. 이 중 앞의 두 가지 증명은 수출하기 전에 취득해야 하고, 세관의 납세증명은 세관 통관시 세관에서 발급받는다.

  

중국 화장품 시장 일반적 진출 순서

①시장조사→②상표등록→③위생허가취득→④대리상발굴→⑤통관판매

 

 ① 시장조사

  - 중국시장에 대한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사제품의 마케팅전략과 판매가능한 루트에 대한 객관적 판단이 중요함. 중국시장이 비록 가격경쟁이 치열하고, 중소 기업이 진출하는데 제약이 많은 상황이므로, 시장조사의 방향이 자사의 역량과 제품의 컨셉에 맞는 타겟 시장을 잡는데 맞춰져야 할 것임. 중국 시장에서 단기간 대량 주문을 받고 성공하겠다는 자세로 중국 시장조사와 시장개척에 임하는 업체는 애초에 중국시장 진출을 단념하는 것이 나음.

 

 ② 상표등록

  - 중국장 진출 결심을 확고히 했으면, 상표등록을 서둘러야 함. 어느 정도 매출이 이루어진 다음 상표등록을 하고자 할 경우, 중국 업체가 고의로 상표를 등록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함. 이 경우 중국시장에서 자사의 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됨.

  - 상표등록에 있어 영어 외에도 중국어로도 반드시 등록을 해야 하며, 사전에 같은 상표가 존재하는지 상표국에 위탁해 검색해야 함. 중국에서도 좋은 이름의 상표는 미리 선점돼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복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 상표등록 과정과 절차는 외국인이 수행하기 에는 복잡하므로 전문 대행업체에 맡기는 것이 좋고, 믿을 만한 현지 파트너가 있다면 파트너에게 대행사를 접촉도록 하면 됨.

 

 ③ 위생허가증

  - 위생허가증은 중국 수출을 위해 반드시 취득해야하는 증서로 유효기간은 4년이며, 위생허가증 신청 비용은 일반적으로 메이커가 부담하고 소유권도 보유함. 기능성 화장품은 위생허가증 신청에서 취득까지 소요시간은 최소 4~6개월이 필요함. 비기능성 화장품은《衛生部關于簡化進口非特殊用途化妝品衛生許可程序的 通知》에따라 2004년 8월 1일부터 심사등록 절차가 감소돼 5일 내 접수 여부를 결정하고 20일 내 등록 여부를 통지하게끔 돼 있음.

  - 위생허가증 신청은 가능한 북경에 있는 경험이 많은 전문 신청 대행업체를 통하는 것이 좋음. 중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화장품의 위생허가증이 북경에서 발급되므로 상해 혹은 광주에 있는 대행업체보다는 북경 현지업체가 관련 부서와의 인맥이 좋으므로 문제발생시 해결 능력이 나음. 특히, 중소업체가 위생허가를 받는 데는 금전적 부담뿐만 아니라 행정업무를 처리하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함.

 

 ④ 대리상 발굴

  - 중국은 각 지역마다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대리상이 따로 있으므로 이들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함. 연해지역에서 활동하는 대리상이 수입 및 마케팅 역량이 우수하므로, 이들 중에서 총대리상 또는 몇 개 성(省)을 관할하는 자격을 주는 것이 좋음. 1급 대리상은 통상 수입통관 업무가 가능한 수입상 역할도 해야 하므로, 수출입 역량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함. 대리상 중에는 수입능력이 없는 곳도 많으므로 사전에 확인을 해야 함. 1차 대리상이 발굴되면 이들로 하여금 관할지역의 2급, 3급 대리상을 발굴도록 독려함.

  - 중국 화장품 시장은 주로 상해, 광동, 북경의 대리상이 역량이 특히 뛰어나고, 전국을 카바할 수 있는 1급 대리상들이 이들 도시에 집중돼 있음. 역량이 뛰어난 만큼 웬만한 소규모 외국업체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갖지 않으므로, 자사의 비교우위에 대해 정확한 홍보가 중요함. 내륙지방에도 대리상들이 많이 있지만 직수입을 꺼리는 경우가 대부분임.

  - 대리상들은 보통 수출업체에서 광고, 판촉, 전시회 참가 등 지원비용을 부담할 것을 요구함. 이 문제에 대해 외국업체에서는 선뜻 응하기가 어렵지만, 그냥 “No”라는 대답하기보다는 판매량에 따라 어느 정도 지원은 가능함으로 상호 합의점을 찾는 것이 좋음. 만일 아무런 지원도 없이 단순히 자사 제품 수입과 판매만 요구할 경우 대리상측에서는 거래 자체를 꺼리는 경우가 대부분임.

  - 중국의 대리상들이 가장 중시하는 것은 외국업체가 중국시장에 대한 시장 개척 열의가 있는지 여부와 신제품 개발능력이 우수성 여부에 대한 것임. 대리상은 외국업체에서 매출량에만 관심을 표시할 경우 한 지역에서 동시에 여러 대리상과 거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이로 인해 시장질서가 흐트러질 것을 우려하게 됨. 또 한가지 생산업체의 신제품 갱신 주기가 너무 길거나 신제품 개발 능력이 없는 업체라고 판단될 경우 대리상으로 나서지 않으려고 할 것임.

  - 따라서 대리상과 거래시 구체적인 시장개척 전략, 신제품 갱신 주기, 판매량에 따른 광고 지원 등 구체적인 안을 제시해 대리상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⑤ 통관 및 판매

  - 중소기업으로서 중국에 화장품을 정상 통관을 통해 정식 수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각종 허가절차의 복잡성과 비용부담에다가, 치열한 시장경쟁이라는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음. 따라서, 업체에 따라서는 100% 정상통관을 하지 않고, 보따리상이라고 불리는 따이공(代工)을 통해 반입하는 경우도 있음. 이를 통해 판매단가를 낮춤으로써 단기적인 이익은 볼 수 있으나 브랜드 이미지를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이 있고, 세관에 적발될 경우 향후 중국 진출에 제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해야 함.

 

 Ο 2006년 10월 1일부터 기존에 실시하던 CIQ(중문라벨인증)정책을 취소하고 매번 수입할 때마다 당지 상검국에서 심사하게끔 됐다. 이는 한 면으로 수입장벽을 낮춘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상 수입에 대한 리스크는 상승됐다고 보임. 만일 수출업체에서 부착한 라벨이 중국상검국의 검사표준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모든 제품의 통관이 불가능해질 염려가 있음. 따라서 사전에 수입업체에서 라벨관련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음.

 

2007년도 중국 화장품 수입관세

HS CODE

수입관세(%)

부가가치세(%)

관세개혁

33030000

10

17

2006년 4월 1일부터 중국정부는 일반 피부보호, 모발보호 제품의 8% 소비세를 취소하고 이 부분에 속하는 고급 화장품에 대해서는 30%의 소비세를 징수하기로 결정함.

33041000

10

17

33042000

10

17

33043000

15

17

33049100

10

17

33049900

9.7

17

33051000

8.6

17

33052000

15

17

33053000

15

17

33059000

10

17

                              자료원 : 2007 중국세관세칙

 

 

□ 현지 유통상 인터뷰

 

A사

중국 동북3성 지역에서 한국화장품 유통업 종사

 

 Ο 현재 한국산 화장품은 유명 브랜드와 중소브랜드 대부분이 중국시장에 유통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함. 태평양, LG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중에는 10여 개사 현지생산과 수입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중소브랜드 유통량은 많지만 판매가가 낮아 큰 마진은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Ο 중국소비자들의 구매성향이 고가와 저가로 양극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 중소기업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고가시장은 어렵고, 저가시장에서는 원가를 맞추기가 어려워 어려움이 큼. 중국진출 진출한지 오래된 중소기업들도 시장변화로 고전을 하고 있는 상황임.

 

 Ο 처음에는 한국제품을 전량 수입해서 판매했으나, 최근에는 원가경쟁력을 갖기 위해 한국서 고급원료를 들여와 중국서 생산도 하고 있음. 자체 브랜드와 중국업체로부터 OEM주문도 받고 있음. 과거에는 백화점 및 전문점 판매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중간 도매상과의 거래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또한 직판에 대한 법적 근거가 정비되면서, 방판 및 직판 시장에 관심을 갖는 현지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Ο 중국 화장품 시장은 분명 매력적임. 그러나, 시장규모와 겉모습만 보고 무작정 밀어내기식 수출에 매달려서는 안됨. 장기적 전망을 갖고서, 자사의 역량을 고려하고 제품의 컨셉에 맞는 시장을 찾아야 함.

 

B사

 중국 동북3성 지역에서 한국화장품 유통업 종사

 

 Ο 90년대 초 보따리상을 통해 대량의 한국화장품이 중국시장에 들어왔다. 이때는 품질의 우수성으로 각광을 받았으나, 95년 이후 다국적기업의 제품이 들어오며 한국산의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됐다. 최근 2~3년은 시장의 세분화가 매우 빨라지고 있어, 중소기업이 포지셔닝하기가 더욱 어려워 지고 있음.

 

 Ο 대기업 브랜드로 중에는 라네즈가 크게 성공을 했음. 최근에는 한류스타인 전지현을 모델로 해서 중국의 젊은층에게 보습 및 팩 제품을 중심으로 크게 어필하고 있음. 기타 LG나 코리아나도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음. 나머지 중소브랜드는 저가시장에서 색조제품을 취급하는 업체가 많은 편임. 중국에 생산시스템을 갖추고 간단한 중국업체에 OEM 공급을 하는 업체도 늘고 있음.

 

 Ο 최근 중국업체들은 기초분야에서 외국업체와 기술제휴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어 한국 중소브랜드의 입지를 더욱 좁게 하고 있음. 중소브랜드로서는 보다 특화된 제품으로 틈새시장을 찾는 것이 중요함. 중국업체가 아직은 색조분야에서는 기술력이 떨어지므로, 마케팅을 잘 할 경우 중. 고가 제품의 판매도 가능할 것임. 또한 시판시장에서 경쟁력은 갈수록 떨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는 미용원(피부관리실)이나 기타 유통경로를 개발해야 함. 

 

 Ο 중국시장 진입을 계획하고 있는 업체는 유능한 합자파트너 발굴에 주력해야 함. 넓은 판매망이 있고, 영업력 강한 파트너는 초기 투자비용과 시간을 대폭을 줄여줄 수 있음. 또한 중국 소비자들에게는 몇몇 다국적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외국제품은 다 비슷하게 보기 때문에, 중소브랜드라도 광고를 잘하면 일류 브랜드로도 론칭할 수 있음.

 

C사

 중국 북경 지역에서 한국화장품 유통업 종사

 

 Ο 중국에서 한국화장품은 인기는 여전히 높은 편이고, 상당수 브랜드가 유통되고 있음. 그러나 정식판매수속을 받지 않고 보따리상을 통해 들어오는 제품이 적지 않은 상황임. 현재 주요 판매경로는 백화점, 전문매장이고, 일부는 도매시장이나 미용원에서 판매되고 있음. 

 

 Ο 그러나, 한국업체는 선진국 브랜드에 비해 브랜드 및 시장 관리에 약함. 대부분의 선진국 업체들은 광고비 투자가 많고, 엄격한 가격관리를 통해 대리상의 이익을 보호에 철저함. 이에 반해 한국업체는 중국진입시 시장조사 부족하고, 홍보 및 광고 비용 투입에 인색한데가 판매량만을 중시해서 대리상과의 신뢰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또한 특정지역에 대리상이 있음에도 타 대리상에 판권을 주어 대리상간의 충돌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고, 이로 인해 가격질서가 깨지고 브랜드 이미지가 완전히 추락하기도 함.

 

 Ο 한국 화장품은 중국인의 피부에 잘 맞아 인식이 좋은 만큼, 브랜드 이미지 높이면서 장기적인 시장개척을 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임.

 

 

  * 유첨 : 위생허가 취득 흐름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화장품 시장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