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조미료 시장 동향
  • 트렌드
  • 중국
  • 정저우무역관
  • 2022-04-06
  • 출처 : KOTRA

복합조미료 시장점유율 20.6%로 급성장 중

풍미, 브랜드, 원료 주요 소비 요소로 선정

중국 도시화 수준, 도시/농촌 거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 증가함에 따라 조미료 산업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세에 있으며, 동시에 웰빙화/기능화 등 새로운 추세를 향해 발전하고 있다. 2021년 기준, 광군제(1111) 기간에 조미료 온라인 판매액은 10억6000만 위안에 달했으며, 이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분야는 바로 복합 조미료이다. 복합 조미료는 이미 품목이 다양하고 맛이 좋고 편의성도 갖추어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 조미료 시장 동향

 

중국 조미료 시장의 발전 추세는 다양화, 웰빙화, 최신화(신제품이 나오는 속도가 점점 가속화) 3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경제 발전과 소비생활이 품부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맛의 다양성과 조리 편의성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조미료는 기능 세분화와 품목 다양화를 향해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이 법률적 차원에서 식품 기업의 생산과 경영을 규범화하고 있는 동시에, 소비자들도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품질과 건강에 방점을 둔 제품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 중국조미료협회가 발표한 통계 자료를 보면 시장점유율 TOP 3는 각각 복합조미료(20.6%), 간장(15.1%), 파오차이(泡菜, 11.2%)로 나타났다. 복합조미료란 두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조미료로 특정 가공 방식을 통해 만든 조미료를 의미하며, 중국식 훠궈(샤브샤브) 프랜차이즈 기업인 하이디라오(海底捞)에서 시판 중인 훠궈 양념을 예로 들 수 있다. 파오차이는 소금에 절인 발효 채소를 가리킨다. 생활 리듬이 점점 더 빨라지는 시대에 대부분 소비자들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조리 편의성을 추구함에 따라 복합조미료의 시장점유율 또한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조미료 세부 품목 비중>

[자료: 중국조미료협회]


<중국 인기 복합조미료 상품>

[자료: 타오바오(淘宝)]

 

중국 소비자의 조미료 관련 월평균 지출은 낮은 편, 300위안 이상 비중은 22.6%


경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아이메이(iiMedia Research, 艾媒)가 발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보면 중국 소비자들의 조미료 구매 채널은 일반 슈퍼마켓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리구매(배달앱 등을 통한 구매대행)를 통한 구매 비중은 12%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70% 이상의 소비자가 조미료 월평균 지출 300위안(한화 약 5700)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그나마 고비용 지출군에 속하는 800위안 이상을 구매한 소비자 비중은 단 3.1%로 나타났다.

 

<2021년 중국 소비자 선호 구매 루트 설문조사 결과 통계>

[자료: iiMedia Research]

 

<2021년 중국 조미료 월평균 지출 통계>

[자료: iiMedia Research]

 

생산량 증가세 보이고 품미, 브랜드가 조미료 주요 구매 요소로 부상

 

2016년 중국 조미료 생산량은 926만 톤으로 15.5%에 달하는 연평균 성정률을 유지해 20221900만 톤에 달할 전망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안정적인 성장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 경제무역연구(经贸研究)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조미료 구매 시 품미, 브랜드, 원료 및 성분이 소비자들의 조미료 구매의 주요 요소로 꼽혔다. 그리고 구매횟수를 보면 전통적인 단일 조미료 중 소금, 간장, 식초의 연간 구매횟수가 모두 11번 이상으로 가장 많은 횟수를 기록했으며 반대로 중국에서도 고가의 조미료에 속하는 참기름의 구매횟수는 연간 1~2회에 지나지 않았다.

 

<2016~2022년 중국 조미료 생산량 통계>

(단위: 만 톤)

[자료: 중국조미료협회]

 

<중국 시장 내 조미료 주요 구매요소>

[자료: iiMedia Research]


2021년 타오바오 광군절 동안 조미료 판매액 TOP 3 브랜드는 각각 하이톈(海天), 하오런쟈(好人家), 하이디라오(海底捞)이며, 이 세 브랜드의 판매액은 전체 판매액의 25%를 차지했다. 또한 중국 100대 조미료 기업의 판매액이 2016612억 위안(한화 약 11조 원)을 기록했으나, 연간 14.46%에 달하는 성장률 감안 시 2022년에는 1501억 위안(한화 약 28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중국 조미료 시장은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식품 유통업체의 관계자는 현재 슈퍼마켓에서 많이 보는 한국 조미료는 주로 다시다, 종가집, 청정원 등 대기업 위주의 제품들이며, 품목상 김치, 장류 위주로 구성돼 있다. 특히 복합 조미료인 떡볶이 소스, 불고기 양념은 최근 젊은 소비자들의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허난성의 경우 중국 연안지역 대비 한국 기업의 진출이 다소 저조해 조미료 시장만 놓고 봤을 때 한국 관련 업체들의 시장 진입이 매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중국 소비자들의 조미료 구매 관심 요소를 중심으로 중국에 특화된 조미료 제품을 개발한다면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료: 중국조미료협회, 타오바오(淘宝), iiMedia Research(艾媒), 경제무역연구(经贸研究), 쳰잔징지쉐런(前瞻经济学人),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조미료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