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라오스, 205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에 도전
  • 트렌드
  • 라오스
  • 비엔티안무역관 이종원
  • 2022-03-18
  • 출처 : KOTRA

아세안 국가 중 최초로 2016년 파리협정에 가입한 라오스, 새로운 기후변화 정책을 발표

다시 살펴보는 라오스의 주요 그린 에너지 프로젝트 A to Z

지난 2022년 2월 11일 푸봉 루앙사이사나(Phouvong Luangxaysana) 천연자원환경부 차관이 주재한 '라오스의 새로운 기후변화 정책 출범식'이 비엔티안 특별시 크라운프라자 호텔에서 열렸다.

 

< 라오스 새로운 기후변화 정책 출범식 현장 >

[자료: 천연자원환경부 홈페이지]

 

라오스는 아세안 국가 중에서는 최초로 2016년 파리협정에 가입했으며, 라오스 국가 사회 경제 개발 계획 및 국가 녹색 성장 전략에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라는 목표를 포함시킨 바 있다.

 

출범식에 참가한 천연자원환경부 관계자는 “2018년 UNDP 보고서를 인용하며, 라오스는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 42위, 2021년에는 70,000명 이상이 자연 재해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강조했다. 또 “가뭄, 산사태 및 홍수와 같은 기후 관련 위협으로 시작되어 장티푸스와 같은 열대성 질병 증가에도 관련되어 1970년부터 2010년까지 총 33건의 자연 재해가 약 900만명의 주민에게 영향을 미치고 4억달러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입혀왔다”고 강조했다.

 

푸봉 루앙사이사나(Phouvong Luangxaysana) 천연자원환경부 차관은 “온실가스 배출을 막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국토 면적의 70%를 녹지 면적으로 늘려, 이산화탄소를 흡수율을 높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출 것” 이라며 기대감을 보였다. 또한, “라오스의 기후변화 정책은 2015년 최초 제정된 이후 2021년에 개정이 되었으며, 이번 개정 내용에는 온실 가스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지역 기반 시설을 개발하여 기후변화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 라오스 새로운 기후변화 정책 출범식 현장 >

[자료: 천연자원환경부 홈페이지]

 

라오스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구체화해

 

라오스 환경부는 2050년까지 배출 제로 달성을 위한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NDC) 및 완화 조치를 계획을 수립했다. 그 목표는 산업화 이전 수준과 비교하여 지구 온난화를 섭씨 2도 이하, 가급적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내용이다. 라오스는 2015년에 첫 계획을, 2021년에 두 번째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했다.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NDC)

교토협약은 모두 탄소배출에 대한 저감협약이며 기본목표를 정하여 할당하는 top-down식 이었으나, 파리협정에 따라 저감 범위, 목표 등 탄소배출 감축량을 각 국가별로 자체 분석을 바탕으로 결정하여 제출.

 

라오스의 두번째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한 기준(베이스라인)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무조건적 완화, 2030년 이후 조건부 완화하는 순서로 총 3가지의 시나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 모든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

[자료: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09 March 2021, Lao PDR]

 

1.     [베이스라인] GHG 완화 활동이 없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미래 GHG 배출 수준을 보여주는 기준

 

< 2015년 NDC 조치 현황 >

구분

2015 NDC 측정

경계선

진행단계

M1

산림 면적을 토지 면적의 70%로 확대

2020

달성하지 못함

M2

대규모 수력발전을 제외한 30% 재생 에너지

2025

정상 궤도에 오르지 않음

운송 연료의 10%를 충족시키기 위한 바이오 연료의 점유율

2025

정상 궤도에 오르지 않음

M3

90%의 가구에 전기를 공급

2020

달성

M4

운송에 대한 국가적으로 적절한 완화조치

2025

시작되지 않음

M5

대형 수력 5,500MW로 확대(2020)

2020

달성

20,000 MW (2030)

2030

궤도에 오름

M6

기후 변화 행동 계획

사용할 수 없음

궤도에 오름

주: 구분에 해당하는 M=Mitigation Activities(완화 활동)의 약자

[자료: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09 March 2021, Lao PDR]

 

2.      [무조건적인 완화] 라오스 PDR이 선진국의 자체 자원과 기존 지원 수준을 고려하여 이행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노력

 

< 부문별 수준 2030 무조건 완화 목표 >

부문

완화 목표(2020-2030)

2020년과 2030년 사이의 평균 저감(ktCO2e/y)

토지이용변화와 임업

삼림 벌채 및 산림 황폐화로 인한 배출량 감소, 보전 촉진, 산림의 지속 가능한 관리, 국립 공원 및 기타 보호 구역의 완충 지대, 산림 탄소 축적량 향상.

1,100

에너지

수력발전

국내 수력발전 총용량 13GW(국내 및 수출용)

2,500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이 높은 조리용 스토브 5만개 도입

50

운송

비엔티안의 새로운 고속버스 시스템

자본 및 관련 NMT(무동력 운송) 구성 요소

라오스-중국 철도

25

 

 

300

[자료: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09 March 2021, Lao PDR]

 

< 국가 차원 2030 무조건 완화 목표 >

국가 수준 2030 무조건 목표

기준 시나리오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60% 감소, 절대 값으로 환산하면 약 62,000ktCO2e.

[자료: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09 March 2021, Lao PDR]

 

3.     [조건부 완화] 선진국 당사국의 재정 지원 수준 증가에 따라 라오스 PDR이 달성할 수 있는 추가 온실가스 배출 감소 노력

 

< 2030 조건부 완화 목표 >

부문

완화 조치(2020-2030)

2020~2030년 평균 목표

(ktCO2e/y)

토지이용변화와 임업

산림 벌채 및 산림 황폐화로 인한 배출량 감소, 보존 촉진, 산림의 지속 가능한 관리, 국립 공원 및 기타 보호 구역의 완충 지대, 산림 탄소 축적량 향상을 통해 산림 면적을 토지 면적의 70%(즉, 1658만 헥타르)로 확대

45,000

에너지

기타 재생 에너지

태양광 및 풍력: 전국 총 설치 용량 1GW

100

바이오매스: 국내 총 설치 용량 300MW

84

운송

30% 전기 자동차의 침투율, 2륜차와 승용차 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된 차량 대비

30

운송 연료의 10%를 충족하는 바이오 연료

29

에너지 효율

기존 시나리오 대비 최종 에너지 소비량 10% 절감

280

농업

저지대 쌀재배시, 50,000 헥타르의 조정된 물 관리 방식

128

폐기물

지속가능한 생활고형폐기물 관리사업 500톤/일 추진

40

[자료: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09 March 2021, Lao PDR]

 

2030년까지 기후 변화에 대한 재정투자 확대 필요성 강조

 

2030년 조건부 목표에 대한 완화 조치의 구현을 위한 필요 예산은 아래 표에 추산되었으며, 현지 데이터 또는 UNEP DTU Partnership에서 제공한 기본값(US $/단위)을 사용하면, 온실 가스 저감 비용 모델에 필요한 예산은 총 47억6200만 달러에 달한다.

 

< 예상 자금 조달 필요 - 조건부 조치 >

2030 조건부 완화 조치

예산 조달 필요

(백만 달러)

산림 면적이 국토 면적의 70%로 증가

1700

태양 및 풍력 : 1GW 설치용량

1500

바이오매스 : 300MW 설치 용량

720

이륜 및 승용 전기차 보급률 30%

500

운송 연료의 10%를 충족하는 바이오 연료

230

최종 정지 에너지 소비량은 평상시 대비 10% 감소

30

쌀재배시, 50,000 헥타르의 조정된 물 관리 방식

65

지속가능한 생활고형폐기물 관리사업 500톤/일 처리 이행

17

총 필요 예산

4,762

[자료: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09 March 2021, Lao PDR]

 

라오스의 주요 그린 에너지 프로젝트 A to Z

 

라오스 그린에너지 프로젝트는 주로 수력, 풍력, 태양광에 집중되어 있다. 국가 자체적인 재정투자가 어렵기 때문에 자국 내 수요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까지 고려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것이 트렌드다. 라오스 정부는 공공민간파트너십(PPP)을 통한 프로젝트 추진을 선호하며 굵직한 프로젝트에는 정부 지분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0 – 25% 수준).

 

<라오스의 주요 녹색 에너지 프로젝트>

구분

프로젝트명

지역

설치용량

(MW)

개발업체

현황

(연.월.일)

1

Nam moune

Bolikhamxay

Province

100

Asia Investment and Financial Service Sole, Ltd

2019.11.01 국무총리실로부터 MOU 12개월 연장 승인 

2

Pakbeng

(Nam Kong)

Oudomxay

Province

912

China Datang Overseas Investment Co.,Ltd 81%, EDL-Gen 19%

2018.01.25

3번째 MOU 연장

(태국으로 수출)

3

Nam Sam 4

Houaphane

Province

150

Simon Consulting Co., Ltd

2016.10.26

PDA 체결

2030년 이후 건설 예정

4

Xalanong III Tangeun Village

Savannakhet Province

60

Simeung Group

2017.07.13

PDA 체결

2030년 이후 건설 예정

5

Sekatam

Champasak

Province

81

Kansai Electric (Japan)

2014.09.20

PDA 체결

6

Sebanfai Kengkeo

Savannakhet Province

110

Lao Samai Group

2019.06.14

PDA 체결

7

Nam Puane

Xaysomboune

Province

102.3

TK Group Co., Ltd 75% and

2018.05.11

PDA 체결

2030년 이후 건설 예정

8

Nam Pak

Champasak

Province

511

EDL (20%), Kobe Green Power Co., Ltd (Japan) 40%, Investors yet to be found 20%

2030년 이후 건설 예정

9

Nam Xieung 2

Pakou District, Luangprabang

Province

108

Vientiane Automation and Logistic Engineer Sole Ltd

2017.05.05

PDA 체결

10

Phou Gnoy Hydropower (Mekong River)

Phonethong District. Champasak Province

728

Charoen Energy and Water Asia Co.,Ltd

PDA 4차례 연장,

마지막 연장은 2021.04.26 이루어졌으며, 유효 기간은 2023년 4월 25일 까지 (태국으로 수출)

11

Nam Sam 3

Samtai District, Houphane Province

156

Phongsubthavy Construction Co.,Ltd

건설 준비

(베트남 수출)

12

Sanakham (Mekong River)

Sanakham district, Vientiane Province

660

China Datang Overseas Investment Co.,Ltd 81%, Lao government 19%

2010.12.27

PDA 체결 2012.12.27까지 유효(정체 상황)

(태국으로 수출 목표 설정)

12

Nam Pha

Long district, Bokeo /Luangnamtha Provinces

180

Asia Pacific Business Link HND, Berhard 80%, EDL 20%

2010.08.20

PDA 체결, 양허계약 준비 중

MOU 단계에 있으며, 2030년 이후 착공 예정 사업

1

Nam Bak 1

Xaysomboune Province

160

Dounchaleurn Construction Development Group

2018.04.11

MOU 체결

2

Nam Bak 2

Xaysomboune Province

120

Namta Construction Sole Ltd

2015.09.04

MOU 체결

FS 승인

3

Xekaman 2

Xekong Province

185

Mea Nam Worldwide Co.,Ltd

2019.07.15

MOU 체결,

FS 진행 중

4

Solar Power

Lamam District, Xekong Province

200

National Consultant Group Sole Co.,Ltd

2017.04.25

MOU 체결

2021.04.06

PDA 체결

5

Solar Power

Sanxay District, Attapeu Province

250

Convalt Energy LLC

2017.08.31

MOU 체결

6

Solar Power

Kaysone Phomvihande District, Savannakhet Province

400

Ni-Biomass Svanh., Ltd

2017.12.08

MOU 체결, 2019.12.08 종료

7

Solar Power

Savannakhet Province

200

BS Solar Wind Power Limited

2017.10.20

MOU 체결

8

Solar Power

Xekong Province

500

National Consultant Group Sole, Ltd

2017.08.18

MOU 체결

9

Solar Power

Kong District, Champasak

667

Muang Khong Clean Energy Co., Ltd

2018.04.09

MOU 체결, FS단계

10

Nam Kong Phamung

Mekong River

1,080

Bolisoud Energy Pulic Company

2020.07.10

MOU 체결

11

Nam Kong Salavan

Mekong River

1,800

Bolisoud Energy Pulic Company

2020.07.10

MOU 체결

12

Wind Power

Savannakhet Province

600

Asia Investment and Service Sole, Ltd

2015.05.21

MOU 체결

[자료: 라오스 에너지광산부 에너지정책기획부]

 

Vientiane Sustainable Urban Transport project(VSUTP)는 아시아개발은행, 유럽투자은행, 석유수출국기구 펀딩을 통해 지난 해 상반기에 발주가 예상됐으나, 코로나 영향으로 프로젝트가 크게 지연됐다. 올해 4월 말부터 입찰이 예정되어 있으며, 총 프로젝트 예산은 약 9900만 달러로 예상된다.

 

< 라오스 그린 도시교통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사업명

추정예산

잠정 입찰 기간 *

Bus lanes and station construction and BRT Corridor

17

2022.04 ~ 5월

BRT depots and warehouses and control center

12

2022. 1분기

Pedestrian ways

6

Q2/2022. 2분기

E- Bus

33 ~ 34.5

2022년말 또는 2023년초

Intelligence Transport System

7

2022. 5 ~ 6월

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and Traffics signaling system

2.6 -2.8

2022. 2 ~ 3분기

주: 컨설팅, 사업관리용역 및 디자인, 사무실 운영비 등의 제외

[자료: 비엔티안 무역관 자체 조사 ‘*’은 추정치]

 

유무상 원조 프로그램을 활용해 그린프로젝트 문 두드려야

 

탄소 절감을 위한 사업은 신재생 에너지, 농업, 물관리 사업들에 대한 참여 기회는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라오스 천연자원환경부의 새로운 기후변화 정책은 라오스의 국가사회경제개발계획에 편입되어 구속력을 갖고 정부 차원의 과제로 자리 잡아갈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민관합작투자사업(PPP)와 Build-Operate-Transfer(BOT) 형태의 그린 프로젝트 참여 기회는 늘어날 것으로 보여지나, 라오스 정부의 직접적인 자금 확보는 미비한 상태로 ODA등의 대외 원조 및 차관과 같은 형태의 접근 역시 병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무상 원조 또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투자펀드를 활용해 타당성 조사(F/S)를 우선 추진하여 프로젝트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질적인 사업을 전개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 만약 신기술이 접목되는 그린산업 분야라면 기획재정부의 KSP(Knowledge Sharing Program), 국토교통부의 K-City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는 것 역시 검토해볼 수 있겠다.

 

다만, 라오스의 기술력과 인적 자원의 한계, 부처 간의 협조, 사업 모니터링과 평가 등의 기능을 갖춘 조직 체계와 시스템의 부재는 신규 사업 개발 과정에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해당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국제기구나 전문가 집단의 모범 사례를 통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예비 타당성 조사 등이 선행되는 과정에서 옥석을 판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료: 라오스 천연자원 환경부,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계획(NDC),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체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라오스, 205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에 도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