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3D 프린팅산업 업·미드 스트림에 주목
  • 트렌드
  • 중국
  • 하얼빈무역관
  • 2021-10-27
  • 출처 : KOTRA

- 중국 3D 프린터 원료 및 설비 수입 활황 -

- 중국 시장 진출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특허 필요 -




중국 3D 프린팅 산업의 업 스트림 업체는 3D 프린팅 원료 제조업체, 핵심 하드웨어 업체,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공 업체를 포함하며 이들 기업은 주로 미드 스트림인 3D 프린터 제조업체와 서비스 업체에 원료와 핵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3D프린터는 생산효율성과 정확도가 높은 항공산업, 자동차, 선박제조, 전자공업, 금형 제조, 건축 및 의료, 문화 콘텐츠 등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은 기술적 난이도에 따라 공업용 및 비공업용으로 구분된다. 非공업용 3D프린터와 달리 공업용 3D프린터는 기술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해 생산자 및 사용자가 대부분 자금, 인재 및 기술 실력을 보유한 대기업들이다.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중국은 2015년부터 기업, 연구기관 대학교에서 기술 연구센터를 설립하기 추진했으나 현재까지 중국의 원료 연구개발 수준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공업용 금속분말(티타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인해 사용 가능한 원료 종류가 적은 상황이다. 그리고 고부가가치의 핵심기술 부족, 관련 기술(SLS, SLM 등)은 금속분말의 모양과 크기에 요구가 엄격해 재료와 설비는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3D 프린팅 산업 사슬도

external_image

자료: 터무바오연구원(頭豹硏究院), 중항증권(中航證券)


중국 업·미드 스트림의 원료 및 설비, 수입에 의존


중국 3D 프린팅 산업에는 사용 가능한 원자재 종류가 적고 가격이 높은 문제가 있다. 특히, 공업용 3D프린터의 경우에 사용 가능한 금속자재가 알루미늄, 티타늄, 니켈 및 스테인리스 등 10여 종에 불과하다.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인해 중국 로컬 3D프린터 업체의 원료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중국산 3D프린터가 가격 경쟁력은 높은 반면 기술력이 낮아, 제품 기능과 품질이 좋은 해외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세관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주요 수입국은 미국, 네덜란드  한국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8월 중 중국의 3D프린터 총 수입액은 21,624,000달러이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총 수입액의 3.5%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p 증가한 수치이다.


2018~2021(8월) 중국의 3D프린터 주요 국별 수입 현황

external_image

자료: 중국 세관


2021년 8월까지 전년동기대비 59.5% 감소한 4151대를 수입했다. 2020년 수입량은 1만2301대로, 전년대비 65%를 증가했으나 수입 금액은 21%가 감소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18-2021.8중국 3D프린터 수입 트렌드

external_image

자료: 중국 세관


설비·특허 이중전략으로 중국 시장 진출

 

인지도가 높은 해외의 많은3D프린터 기업들이 중국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중국에서 자회사를 설립하거나 에이젠트를 발굴하여 중국 시장 진출에 노력하고 있다. 2016년 중국 BLT(铂力特)가 독일 EOS와 중국 지역 독점 대리 협약을 체결하였다.  BLT(铂力特)는 EOS 일부분 설비를 대리 판매하고 바이어에게 전시, 교육, 컨설팅 등 서비스를 제공하여 EOS 현지화의 Pre-sale, In-sale Service, After-sale 서비스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중국 내 주요 해외 3D프린터 생산기업

external_image

자료: OFweek,24Maker,Sohu


PatSnap 및 쳰잔 사이트가 정리한 글로벌 기업별(기관 포함) 3D 프린팅 산업 특허 신청 건수 TOP10에 따르면 2021년 8월까지 3D 프린팅 특허 신청 건수 상위 10개 중 2개가 중국 신청자로 8위의 시안교통대학교 및 10위의 화중과학기술대학교이었으나 중국 기업은 없었다.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 여정(呂政)은 "현재 중국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통해 발전을 추진하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투자 노력도가 부족하다. 국가에서 기업을 혁신 주체로 하는 구체적인 연구개발 정책도 수립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글로벌 기업별(기관 포함) 3D 프린팅 산업 특허 신청 건수 TOP10

(21년 8월 말 누계)

external_image

주*: Xi’an Jiaotong은  Xi’an Jiaotong University 

  Huazhong은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자료: PatSnap, 쳰잔


Innography 따르면 중국 내 종합 경쟁력 순위 100위 특허 보유자 중 미국 GE, 독일 SIEMENS, 미국 Stratasys  해외 기업이 다수 포함돼 있다. PatSnap과 쳰잔은 현재 특허 부가가치 TOP 10 중에 가치가 가장 높은 2건 특허는 미국 Oracle과 Microsoft가 중국에서 신청한 특허인 것으로 기록했다. 이는 해외 기업들이 제품 수출 외에 특허기술을 통한 중국 시장 진출하는 전략을 보여준다. 그리고 중국은 특허 신청 건수에 대해 세계에 선두고 있으나 특허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편이다. 고부가가치 특허 신청자가 대부분 미국 기업들이다.


글로벌 기업별 3D 프린팅 특허 부가가치 TOP10 (2021.8)

(단위: 백만 달러)

external_image

자료: PatSnap, 쳰잔


중국 3D 프린팅 시장 규모 전망

 

2015년부터 중국은 3D 프린팅 산업 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일련의 정책을 발표하고 국가의 중점 발전 분야에 포함시켜 3D 프린팅 산업의 가파른 성장세를 이루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서부정권에 따르면 2020년 시장 규모는 20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2.1%를 증가할 것으로 기록했다. 2025년까지 중국 3D프린터 시장은 연평균 25%의 고속 성장이 전망된다.

 

2020-2025 중국 3D 프린팅 시장 규모 예측

external_image

자료: 서부정권(西部證券)


시사점

 

3D 프린팅 기술이 제조업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품질 강화 등 특징으로 기존 제조 업체 생산 방식을 대신해 생산 스마트화, 기업 혁신을 추진시킨다. 중국은 현재 “중국 제조”에서 벗어나 “중국 스마트 제조”의 시대로 나가는 단계에 있어 제조업체들을 3D 프린팅 기술의 투자와 개발에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를 유도하고 있다. 상무부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연구원인 매신육(梅新育)은 "지금 반드시 제한된 시간을 틀어쥐고 산업 업그레이드를 실현하여 제품과 생산 공정의 기술적 장애를 돌파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장 가치 높은 특허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은 중국 R&D 기관이나 학교, 협력업체와 기술 제휴를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터무바오연구원(頭豹硏究院), 중항증권(中航證券), 중국 세관, OFweek, 24Maker, Sohu, PatSnap, 쳰잔 사이트, 서부정권(西部證券), KOTRA 하얼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3D 프린팅산업 업·미드 스트림에 주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