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그녀의 경제, 10조 위안 규모의 중국 여성경제 트렌드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1-10-12
  • 출처 : KOTRA

- 사회 내 영향력이 커지는 중국 여성, 새로운 소비 동력으로 부상 -

- 온라인 SNS 이용률 높으며, 뷰티 미용에서 유아용품, 가정용품까지 주도적인 소비 트렌드 - 




딜로이트가 지난 9월 발표한 <중국 소비재 및 소매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소비 채널은 오프라인에서 온-오프라인으로의 전면적인 전환이 이루어졌다. 일반 소비자의 소비 정서는 신중함과 낙관 사이에서 반복적인 전환 행태를 보이며, 오프라인 생활의 일시적인 제한 조치와 함께 일반 대중의 삶의 무게중심이 가정으로 회귀했다. 가계 구조 또한 변화하여 장기적인 조정상태에 들었고 생활 전반에서 건강과 쾌락 중심의 수요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이처럼 이미 ‘데이터’ 상으로 중국 소비 시장에서는 확연한 변화의 움직임이 보인다. 이와 같은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 아래, 주요 소비 그룹을 세분화하여 시장 진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중국에는 크게 여성 경제, 은발 경제(실버세대), 1995~2000년 이후 출생의 젊은 Z세대, 신중산층 경제, 독신경제(1인 경제) 등으로 세분화하여 주요 소비층의 특성, 트렌드를 분석하는 추세며, 그중 가장 중요한 소비층으로 부상한 여성 경제(她经济)의 특징과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중국 주요 소비층 분류

분류(중문)

주요 특징

여성경제
(她经济)

엔터테인먼트, 생활 방면에서 온라인 쇼핑 의존도가 높으며 숏클립 동영상 최대 소비그룹. 특히 뷰티, 건강, 패션 아이템에 대한 최신 트렌드에 높은 관심도를 보이며 상품의 외관 디자인, 지인들과의 SNS 구매후기 공유, 쇼핑경험 공유, 유아용품, 홈코노미(가사)의 주된 구매계층

실버경제
(银发经济)

중국의 제7차 인구조사 결과,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총 2억640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7%, 65세 이상의 인구는 1억906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5% 비중 차지. iiMedia Research 조사 결과, 2016~2020년 중국의 실버경제 시장 규모는 매년 두 자리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전년대비 25.6% 증가한 5조4000만 위안 기록. 노인소비층은 핸드폰보다는 여전히 TV가 주요 정보 채널이며, 젊은 세대 대비 오프라인 엔터테인먼트 채널 활용 비중이 높은 편임.

Z세대
(Z世代)

95~00년 이후 출생자로, 인터넷 세대라고 불림. 인터넷, SNS, 스마트폰과 같은 기술제품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소비군으로 Z세대의 사회진출에 따라 소비 규모가 커짐에 따라 가장 중요한 소비성장 동력원으로 주목받음. SNS, 자체미디어, 온라인검색에서 정보를 취득하고 단편화된 정보 접근성과 임의의 여가시간을 활용한 정보취득을 선호함. 도우인, 비리비리 등의 엔터테인먼트 동영상 시청, 라이브웹, 게임, 소셜미디어,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도 높음.

신중산층 경제
(新中产经济)

경제성장, 소득·소비 수준의 향상으로 등장한 중산층은 새로운 소비군으로 분류되며 비용 효율적이며 고품질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타 소비군에 비해 보험, 주식, 펀드 등 금융투자를 통한 부의 부가가치 창출 수요가 큰 것이 특징이며 해당 소비군은 주로 집 인테리어, 임대, 자동차, 피트니스, 여행 관련 상품에도 관심이 높음.

독신(1인)경제
(单身经济)

개인의 만족을 위한 자기개발 소비성향이 높고 품질 위주, 편의성, 미니멀리즘 지향적. 1, 2선 대도시를 위주로 소비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체로 젊고 고학력의 자기 개발 투자에 관심이 높은 것이 특징

귀차니즘 경제
(懒宅人经济)

속칭 ‘집돌이, 집순이’로 표현되는 란런경제(懒人; 게으른 사람들의 소비를 칭함) 주요 소비층은 온라인 소비 의존도가 높으며, 약 40% 이상이 배달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집에서 즐기는 SNS, 영화, 게임 등의 주요 소비층으로 최근 집 청소대행, 신선식 장보기 대행서비스, 간편식, 주방용 가전제품 등에 대한 수요가 높음.

주: 클릭 시 관련 기사 이동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10조 위안의 매출을 창출하는 중국 여성경제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은 지난 2015년, 알리바바 그룹의 성공 비결 1차 요소는 ‘여성’이라 언급한 바 있다. 최근 중국의 경제사회 발전과 더불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고 소득 지출 규모가 현저히 개선돼 여성 수요의 확대로 이어지고 이는 일련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 온라인 상거래를 포함한 각 산업계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품질 향상을 선도하고 있다. 여성 경제는 경제사회에서 여성의 소비·재테크를 둘러싼 경제현상과 시장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에서는 소위 타경제(她经济;그녀의 경제)라고 불린다. 그녀의 경제는 전체 인터넷 업계의 진화 과정을 수반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의 진일보한 발전을 촉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소비의 바로미터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8월 CNNIC에서 발표한 제48차 <중국 인터넷 개발 통계 보고>에 따르면, 21년 상반기 기준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총 10억1100만 명으로, 20년 말 대비 2175만 명 증가했고 전국 인터넷 보급률은 71.6%에 달했다. 또 상반기 기준, 중국의 1주간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26.9시간으로, 20년 말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이처럼 중국은 네티즌 규모 10억 명 시대에 접어들어 사회의 디지털화 전환과 고품질화 발전을 위한 강력한 요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중국 인터넷 이용자 규모 동향

external_image


중국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주당)

external_image

자료: CNNIC


실제 중국의 인터넷, 온라인 거래 산업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소비 잠재력이 더 큰 중요한 소비계층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발전과 더불어 여성의 재무적 자유와 발언권이 향상된 요인 이외에도 가정 내 가사관리, 육아 등 분야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소비 수요가 더 높으며 최종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더 많은 것을 주요 원인으로 둔다. 이 때문에 여성의 구매 의지와 미의식이 최근 중국의 소비 트렌드를 선도해오는 것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이와 동시에 코로나19의 발발과 함께 사회 전반적인 디지털화 전환이 이루어지며 온라인 거래가 일상화돼 이는 SNS, 온라인쇼핑에 익숙한 여성 소비자의 소비 욕구를 자극하고 구매 가능한 채널이 증가하여 중국 내 '그녀 경제' 발전이 가속화됐다. 여기서 '그녀 경제'는 여성 소비를 둘러싼 특이한 경제권과 현상이란 말한다. 컨설팅사 Accenture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 20~60세 사이의 인구 중 약 4억 명의 여성 소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최대 10조 위안의 소비자 지출이 창출되며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소비자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 기준 중국의 온라인 쇼핑 사용자 규모는 이미 8억1200만 명에 달했다. 코로나19 발발 초기, 기존 오프라인 구매 행위가 온라인 구매로 전환된 초기 행태와는 달리 시간이 흐르면서 기존 건강 서비스, 스포츠, 교육훈련 등 오프라인 위주의 산업 또한 온라인으로 전면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고 소비 규모와 품목 확장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QuestMobile에 따르면 2021년까지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여성 사용자 수는 5억4700만 명에 달하여 이는 남성 사용자보다 빠른 증가율을 보였으며 또 24세 이하의 여성 사용자는 170시간 이상, 1인당 월 32개 이상의 앱을 사용하는 등 여성 소비자의 온라인 소비 전환율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바이두에서 발표한 <여성 소비 빅데이터 보고서 女性消费大数据报告>에 따르면 중국의 여성 소비자는 2020년 전체 소비의 62%의 비중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인터넷 소비 증가의 견인차 중 하나가 됐음은 분명하다.


                 2021년 1월 기준 중국 성별 인터넷 이용자 규모                                             여성 인터넷 이용자 연령 구분

                                           (단위: 억 명)                                                                                              (단위:%)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여성 이용자 월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여성 이용자 월평균 사용 APP 수

                                       (단위: 시간)                                                                                             (단위: 개)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Questmobile


그녀의 경제에서 보이는 주요 특징


① 디자인과 감성 중시

타오바오 이용자 연구센터에 따르면 여성 소비자는 온라인 쇼핑을 할 때 문자, 이미지, 리뷰 언어, 가격 등 많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크며 이를 적극 활용 시 소비욕구를 자극하고 확대하기 용이한 점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소비자의 경우, 뚜렷한 구매 목표가 없는데도 '윈도쇼핑'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여성은 쇼핑 체험 자체를 일종의 오락으로 여기는 반면 남성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사는데 관심이 더 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한 남성에 비해 여성용 소비재 상품은 의류 액세서리, 뷰티, 퍼스널케어 등에 이르기까지 제품 선택지가 매우 넓고 다양하여 이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외관, 디자인, 그리고 감성 측면에서 접근하여 정서적, 사교적, 애호적 구매 욕구를 자극할수록 소비 의지가 강해지고 새로운 소비 형태와 품목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② 공유 욕구: SNS활용 ↑

샤오홍슈(小红书)플랫폼은 라이프 스타일에 초점을 맞춘 SNS형 컨텐츠 커뮤니티로, 2~30대 젊은 여성을 타깃으로 하여 뷰티, 패션 등 아이템이 인기 품목이다. 여성들은 샤오홍슈를 통해 일상 생활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 추천을 진행하며 제품 소개와 정보 전달로 구매까지 이어지게 만드는 특성이 강하여 중국 인플루언서를 비롯한 연예인까지 샤오훙슈를 통해 제품 정보를 공유하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모든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万物皆可种草)”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젊은 여성층 사이에서 인기가 많으며 사용자들은 주로 베이징, 상하이, 광둥 등 1~2선 도시에 집중돼 있고(약 56%) 도시의 화이트칼라, 직장의 엘리트 여성 많아 구매력이 높다.


핀둬둬에서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최근 젊은 층의 직장과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90허우, 00허우가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가정, 교육, 경제 조건 등의 영향으로 90허우, 00허우 여성들은 각종 신기한 제품과 다양한 생활 방식의 경험을 즐기며 신제품 구매, 구매후기 공유, 친구와의 공동구매 등을 선호한다. 이들은 저녁 쇼핑을 좋아하며 주로 18:00~24:00에 주문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젊은 층은 개성화 제품, 유명 브랜드의 저가 제품 등의 공유를 즐기며 90%의 여성이 친구나 지인에게 제품을 추천한 적이 있으며 공동구매를 진행한 적이 있다.


③  지역별 특성

여성 소비자 중 48%의 비중이 제품 구매 시 '가성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꼽았으며 그 범위를 1선 도시 여성 소비자로 좁혔을 때 비중이 54%로 높아졌다. 또한 여성 소비자는 자신의 쇼핑 행위에 대해 명확한 구분을 가지고 있다. 필수적인 수요(刚需) 소비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값어치(物有所值)와 품질이며 우발적인 수요 소비(偶然性购物)에 대해서는 '즐거운 저가 구매(低价买开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 여성 소비자 인터넷 구매 고려 요소

external_image

자료: 중국여성일보(中国女性报)


중국 여성들의 소비액 기준, 상하이(上海), 광저우(广州), 베이징(北京)이 상위 3위를 차지했고 신흥도시로는 청두(成都)가 5위를 기록했으며 항저우(杭州), 우한(武汉), 난징(南京), 충칭(重庆), 쑤저우(苏州) 가 그 뒤를 있고 있다. 인터넷의 보급으로 제품 정보가 더욱 투명하게 유통되고 있으며 여성 소비자의 소비도 이성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1선 도시 여성 소비자들은 명품, 사치품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에서 제품 자체의 가치와 가격에 대한 관심으로 변모되고 있다. 또한, 1선 도시와 비교 시 3선 및 3선 이하 도시 여성의 소비 잠재력은 끊임없이 방출되고 있으며 하침시장(下沉市场)과 1선 도시 간의 소비 격차는 더욱 좁혀지고 있다. 2020년 핀둬둬(拼多多) 플랫폼의 3선 및 3선 이하 도시의 여성 소비자 주문량 증가 속도가 1, 2선 도시보다 9% 높다. 중국 내 모바일 쇼핑이 편리해지고 제품군이 다양해짐에 따라 하침 시장의 소비가 활성화되고 있다.


중국 여성 소비 규모 상위 10개 도시

external_image

자료: 신 여성 소비 보고(新女性消费报告)


④  연령별 구매선호도 차이 

해외 브랜드를 더욱 선호하던 여성 소비자들은 이제 중국 로컬 브랜드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특히 90허우, 00허우 여성들 사이에서 궈차오(国潮, 애국 소비), 궈훠(国货, 국산 제품)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핀둬둬 플랫폼의 경우에 90허우, 00허우 여성의 중국산 브랜드 구매 비중이 60% 비중에 달한 것으로 집계된 바 있다. 중국 로컬 브랜드 바이췌링(百雀羚), Perfect Diary (完美日记), 프로야(PROYA) 등 브랜드들은 우수한 제품을 바탕으로 젊음, 개성 마케팅 방식을 결합하어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으며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여성 소비자들의 취미는 다양하며 나이별 관심도 차이가 뚜렷한 편이다. 24세 이하의 여성 소비자들의 관심 요소 상위 3위 분야는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 화장품, 건강 순이며 25세 이상의 여성 소비자들은 유아용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연령별 선호도 분포

external_image

자료: Questmobile


여성 소비자가 주로 이용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국의 온라인 쇼핑은 최근 빠르게 발전됐으며 이 중 여성 소비자들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가장 활발한 소비층으로 떠올랐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쇼핑이 더욱 편리해짐에 따라 여성들의 온라인 소비는 더욱 급증하는 추세이다. 타오바오와 같은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여전히 여성 소비자들의 주요 쇼핑 채널으로, 2021년 1월 기준, 여성 소비자 전자상 플랫폼 APP 침투율로 볼 때 타오바오(淘宝)는 74.8%의 침투율로 1위를 기록했으며 핀둬둬(拼多多), 징둥 (京东)은 각각 55.8%, 30.2%의 침투율로 각각 2,3위를 기록했다. 그다음으로 웨이핀후이(唯品会), 타오바오 특가판( 淘宝特加版), 시엔위(闲鱼), 쑤닝(苏宁),티몰(天猫), 알리바바(阿里巴巴), 더우(得物) 등이 뒤를 잇고 있다.


2021년 1월, 여성 소비자 전자상거래 플랫폼 APP 침투율

external_image

자료: Questmobile


최근 라이브 커머스 등의 새로운 쇼핑 형태가 나타남에 따라 여성들의 온라인 소비는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2020년 1월과 비교 시 2021년 1월, 모든 연령대의 여성 소비자 생방송 관람 비율을 모두 상승했으며 이 중 25~35세의 여성 소비자들의 생방송 관람 비율이 2020년 1월 대비 3.7% 상승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여성 소비자 생방송 관람 비율

external_image

자료: Questmobile


주요 플랫폼 여성 소비자 타깃 쇼핑행사 사례


여성경제(她经济)의 부상에 따라 티몰, 징둥 등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3.8부녀절(3월 8일), 중국의 발렌타인데이(음력 7월 7일, 칠석) 등 주요 시기에 맞춰 여성 소비층을 겨냥한 각종 이벤트를 준비하는 추세다. 이러한 쇼핑 행사는 최근 몇 년간 정례화돼 기간에 맞춰 쇼핑을 준비하는 소비층이 늘어나고 있다.


① 티몰 여왕절(天猫女王节)
티몰은 2월 24일부터 3.8부녀절 화장품 세트 판촉활동을 전개하며 KanS( 韩束), Pien Tze Huang(片仔癀), 바이차오지(佰草集) , Helena Rubinstein, Lancome, Shiseido 등 국내외 브랜드는 초반부터 예약 판매 이벤트를 시작했다. 주문금액이 200위안에 도달하면 20위안씩 할인(每满 200-20)하고 1위안 구매(1元购) 등의 이벤트뿐만 아니라 3월 2일 10시부터 최고 2021위안에 달하는 복주머니(抢红包) 이벤트도 있다. 또한 타오바오 라이브 생방송을 적극 활용하여 소비자들과의 양방향 소통에 나섰으며, 그 결과 3월 8일에 웨이야(薇娅), 리쟈치(李佳琦) 등 유명 인플루언서는 각 4억2000만 위안과 2억7500만 위안의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


② 징둥 88 BRA절 (京东88bra节)
중국의 밸런타인데이을 맞이하여 징둥은 Ubras, Bananain(蕉内), 빅토리아 시크릿, Aimer(爱慕) 등 국내외 브랜드와 합작하여 8월 3~10일 기간에 ‘88bra’ 쇼핑 행사를 진행했다. 징둥 플랫폼은 ‘노사이즈 브라(无尺码内衣)’, 몰드 브라 등 최근 중국 소비자들 중에서 유행하는 제품을 선정하여 서로 다른 점포의 물건을 2개 주문 시 20% 할인, 3개 주문 시 70% 할인은 물론 구매 총액이 400위안에 달하면 80위안을 할인해줬다. 또한, 활동 기간 내 징둥 플랫폼은 유명 유방외과 전문의를 초대하여 생방송으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관련 지식 및 주의사항 등을 강의하여 더욱 눈길을 끌었다.


88bra 행사 포스터

external_image

자료: 징둥(京东)


여성경제 연계 유망 산업


구분

이미지

내용  

뷰티/미용

(화장품, 건강보조제 등)


중국 여성 중 55%가 매일 화장을 하고 64%의 여성이 10개 이상의 화장품을 갖고 있을 정도로 소비 지출 비중이 크다. 미용 분야에서의 여성 소비자의 지출 규모는 지속 증가 중이며 관련 매출은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 24%에 달했다. 2016~2020년 기간 중국의 여성용 건강식품 시장 규모는 1365억7000만 위안에서 2031억5000만 위안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 중 영양 보충류, 미용류, 체중 관리류가 여성 건강식품 중에 가장 많이 소비되는 제품군으로 분류됐다.

반려용품


2020년 중국의 애완동물 양육자는 60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 중 젊은 여성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반려동물용품 소비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74.7%로 주로 미용제품, 드라이기, 동물 전용 바디워시 등의 소비가 많은 편이다. 최근 애완동물 자동 급식기 등 스마트 제품의 판매량이 약 6배 증가했으며 오락용 제품, 건강보건 제품의 판매량도 각각 3배, 4.5배 증가했다.

방송/콘텐츠

엔터테인먼트


<2020~2021년 드라마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여전히 여성 시청자가 대세이며, 관련 비율은 2018년 57%에서 2020년 62%로 상승했고 주 연령층은 20~39세로 나타났다. 여성 인터넷 사용자는 주로 1선 및 신(新)1선 도시에 집중돼 있으며 85~95허우 세대가 주력 소비층이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APP는 더우인(抖音)과 aiqiyi(爱奇艺)으로 나타났다.

여행


뤼마마여행(驴妈妈旅游网)에 따르면 플랫폼을 통해 여행을 예약한 소비자 중 여성 비율은 60%를 넘어섰으며 나홀로 여행을 선택하는 20~40세 여성의 비율은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예약자 중 약 68%가 20~30세 여성으로 점점 여행 소비층이 젊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중국 최대 여행사 씨트립(携程平台)에 따르면 약 40%의 여성이 4성급 이상의 호텔을 선택했고 여성 주문량이 남성 대비 약 1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문 단가도 1600위안 이상으로 남성보다 7% 높고 음식 주문단가는 남성 소비자에 비해 3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니스


iiMedia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온라인 피트니스용품 시장 규모는 총 1749억 위안으로 2021년에는 약 2000억 위안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운동 습관을 가지고 있는 여성 비율은 72% 비중에 달했고 이 중 50% 이상이 주 3회 이상 운동 빈도를 유지하고 있다. 운동화, 요가복, 헬스기구 등의 시장 규모가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시장의 주력 품목으로 분류된다.
<2020년 중국 운동산업보고(2020中国健身行业报告)>에 의하면 약 70%의 1선, 2선 대도시 여성이 여가 시간을 이용해 운동하며 홈트레이닝을 선택하는 여성이 점차 많아지는 추세다. 피트니스 APP 중 여성 사용자의 비율은 60% 이상이며 운동 관련 콘텐츠 제작자 중 여성의 비율도 높은 편이다.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시사점


급속한 경제 성장과 내수 확대를 계기로 중국 국민 소득 수준이 크게 향상됐으며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소득 창출로 여성 소비층의 자의식이 높아지고 삶의 질 향상과 가치 향상에 대한 수요 또한 커지고 있다. 최근 여성 소비층 사이에서 자기만족형 소비(悦己消费)가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뷰티, 건강, 간식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자기 만족과 개성적인 소비를 추구하고 있다. 특히 뷰티에 대한 여성 소비자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며, 티몰에서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2020년 뷰티 산업 소비 증가 속도는 40%에 달했고 특히 Z세대의 뷰티 소비 증가폭은 60%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2020년 핀둬둬 플랫폼의 여성 소비자 뷰티 제품 주문량은 102%의 높은 증가율을 시현했다. 치어럼 뷰티미용 제품은 여전히 여성 소비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관련 수요와 시장 규모는 앞으로도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Accenture 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은 20~60세의 연령대에서 약 4억 명의 여성 소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최대 10조 위안의 소비자 시장이 창출된다"고 밝혔으며, 이는 유럽 독일, 프랑스 및 영국의 소매시장 규모를 합한 것보다 크다고 언급하며 향후 중국 여성의 소비력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소비주역으로 자리할 것이라 분석한 바 있다.  


중국 CCTV에서 지난 4월 발표한 <중국의 아름다운 생활대조사(2020~2021)中国美好生活大调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여성의 자동차 소비 비중은 전체 소비의 22.8%로 처음으로 남성의 차량 소비 비중(22%)을 넘어섰으며 여성 자동차 소비 중 26~35세가 주력 소비자로 나타나 젊은 여성 소비층이 점차 주력 인군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트렌드 변화로 주요 차량 기업은 '둥펑펑싱 T5 EVO 여신판(东风风行 T5 EVO 女神版)', '우링훙광(五菱宏光) MINI EV', 창안기차 고양이모델 시리즈 등 여성 소비자를 겨냥한 차량 모델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2021년 8월 말 기준 우링훙광(五菱宏光) MINI EV의 판매량은 37만 대를 초과했으며 연속 12개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여성 차주(车主)의 증가에 따라 업계 또한 다양한 시각으로 여성 소비자에 접근하고 수요 및 변화하는 트렌드에 따라 맞춤형, 개성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판매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또한 매년 여성 관련 쇼핑 행사 및 618, 솽스이(双十一, 11월 11일), 솽스얼(双十二, 12월 12일)과 같은 각종 대형 온라인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거래 규모는 매년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우리 기업은 이러한 중국의 특색있는 소비 행사 기간에 맞춘 온라인 이벤트를 주목하여 해당 기간 경쟁 제품 동향, 시장 변화 상황을 파악하여 제품 개발부터 디자인, 마케팅, 유통 등에 적용하여 제품 홍보와 브랜드 인지도의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중국에서는 남성 또한 여성에 못지 않은 중요한 소비군으로 떠오르며 타징지(他经济:남성 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2020년 티몰 솽스이(双十一) 행사 기간, 남성 소비자의 주문량은 전월 동기 대비 약 700% 증가했으며 평균 구매 단가는 6300위안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미용 시장 주문량 중 남성 소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에 달했으며 평균 단가는 여성의 2배인 것으로 나오기도 했다. ‘옌스 경제(颜值经济, 외모경제)’의 부상 및 이미지 관리 의식 각성으로 중국의 남성 경제도 틈새시장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여성의 온라인 오락(엔터테인먼트) 소비 분야는 주로  뉴스 읽기, 소셜 네트워크 구축, 동영상 시청 위주로 주로 더우인(抖音, 틱톡), 콰이쇼우(快手), 비리비리(Bilibili), 샤오홍슈(小红书) 등 대표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이 낮은 진입 장벽, 양질의 풍부한 콘텐츠, 다양한 전파 경로, 인플루언서 플랫폼 입주 등으로 액티브 유저 증가를 이끌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과 1인 미디어(自媒体) 산업이 성숙함에 따라 라이브 커머스, 왕홍경제(网红经济)가 흥행하고 있으며 인플루언서(KOL, KOC)의 콘텐츠 시딩(seeding, 种草)과 제품 홍보가 여성들의 소비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여성 소비자의 소비 행태를 분석하면 제품 구매 시 KOL, KOC의 의견을 매우 신뢰하고 있으며, 인플루언서가 추천한 제품이 구매로 전환되는 비율도 상당히 높은 편이라 브랜드는 KOL, KOC를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여 브랜드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 추세다. 이에 우리 기업도 라이브 커머스, 쇼트클립 등 채널을 적극 활용하여 중국 여성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KOL, KOC 마케팅 전략,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제작 등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CNNIC, Questmobile, 중국 여성 일보(中国女性报), 신 여성 소비 보고(新女性消费报告), 징둥(京东),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그녀의 경제, 10조 위안 규모의 중국 여성경제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