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 태양광 발전 산업 동향
  • 트렌드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양소망
  • 2021-09-03
  • 출처 : KOTRA

- 높은 일사량과 일조량을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 확대 및 관련 산업 육성 -

- 주원료인 폴리실리콘은 자국 내 생산 중이나 주요 기자재는 수입에 의존 -

- 프로젝트 참여 및 기자재 수출을 통한 국내기업 점유율 확대 기회 모색 필요 -




국제 기후 변화 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태양광 발전과 관련한 추가 프로젝트 발주 및 기자재 수입 수요가 기대된다.


정부 정책 동향


카타르 정부는 국가 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을 기반으로 분야별 국가 발전 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신재생 에너지 생산 및 사용 비율 확대를 위해 태양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먼저 현재 건설 중으로 2022년 완공 예정인 Al-Kharsaah 지역의 800MW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통해 2022년까지 전체 전력 공급량의 10%를 태양광으로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 후 중소형 태양광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를 통해 2025년까지 Ras Laffan Mesaieed 지역 내 태양광 플랜트 2개소(400MW 규모)를 추가 건설하여 2030년까지 전체 전력 수요의 20%를 태양광 발전으로 충족시킬 계획이다.


발주 예상 프로젝트

(단위: US$ 백만)

분야

발주처

프로젝트명

규모

공사기간

태양광 발전소

Qatar Petroleum

800MW Solar PV Plant in Qatar

460

’23.08.’26.12.

자료: Meed Projects

 

카타르 태양광 발전소 건설 추진 위치

external_image

: Al-Kharsaah 태양광 발전소는 현재 공사 중으로 2022년 완공 예정

자료: Qatar Petroleum


프로젝트 추진 현황


태양광 산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발주하여 추진하고 있다.

 

태양광 관련 주요 프로젝트 목록

(단위: US$ 백만, %)

분야

발주처

프로젝트명

규모

공정률

공사 기간

폴리실리콘

Qatar Solar Technologies

Ras Laffan Polysilicon Plant

1,000

완료

’11.10.’15.03.

태양광 발전소

Siraj Energy

800 MW Solar PV Plant in Al Kharsaah (IPP)

374

71

’20.01.’22.04.

전력 케이블

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

EHV Overhead Lines/Cables

32

67

’20.02.’22.05.

자료: Meed Proejects


1. Ras Laffan 폴리실리콘 공장


태양광 패널 제작의 주원료인 폴리실리콘 생산을 위해 2010년 독일 기업과 합작하여 카타르 Qatar Foundation(70%)-독일 SolarWorld(29%)-카타르 Qatar Development Bank(1%)의 구조로 Qatar Solar Technologies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다설립 직후 Qatar Solar Technologies는 Ras Laffan 지역에 폴리실리콘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10억 달러 규모 입찰을 발주하였고, 인도의 Punj Lloyd에서 EPC 계약을 수주하여 2015년에 완공하였다. 해당 시설은 2017년에 생산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연간 8,400 Metric Tonne의 생산 규모를 갖추고 있다.

 

2. Al-Kharsaah 태양광 발전소


2018년도에는 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60%)Qatar Petroleum(40%)의 구조로 프로젝트 법인인 Siraj Energy을 설립하고, Al-Kharsaah 지역에 374백만 달러 규모의 카타르 최초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발주하였다. 해당 발전소 프로젝트는 800MW 규모로 민관협력(PPP) 사업 형태인 BOOT(건설, 소유, 운영, 이전) 방식으로 발주되었으며, Siraj Energy60%의 지분을 가지고 디벨로퍼로 선정된 일본 Marubeni-프랑스 Total 컨소시움이 40%를 보유하고 있다. EPC 계약은 중국의 Power China Guizhou Engineering Company에서 수주하여 건설 중으로 현재 공정률은 71%이다. 향후 카타르 수전력청(Kahramaa)은 전력구매계약을 통해 해당 발전소에서 25년간 전력을 공급받고 이후 모든 소유권이 카타르 수전력청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3. 태양광 발전소용 EHV 케이블

 

수전력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에서 2019Al-Kharsaah 지역에 32백만 달러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용 EHV 케이블 프로젝트를 발주하였으며, 인도의 Larsen & Toubro에서 EPC 계약을 수주하여 공사 중으로 현재 공정률은 67%이다.

 

기자재 수입 동향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의 본격화로 관련 기자재 수입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향후 추가 프로젝트 발주가 예상되는 만큼 꾸준한 수요가 예상된다.

  

1. 태양광 모듈 및 패널 (HS Code 8541 /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

 

2020년 기준 전체 수입규모 약 1,250만 달러를 기록하며 3개년 평균 약 25% 증가하였다. 해당 시장은 중국 및 미국이 전체 수입의 약 88%를 차지하며 과점하고 있으며, 한국은 약 2%의 점유율로 4위를 기록하였다. 중국 기업의 태양광 플랜트 EPC 계약 수주 영향으로 중국의 태양광 패널 수출은 약 72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약 573%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국가명

수입규모

3개년

평균

성장률

점유율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중국

0.90

1.07

7.20

182.84

11.19

14.07

57.59

미국

1.86

0.20

3.80

42.93

23.2

2.6

30.36

캐나다

0.07

0.02

0.27

96.40

0.85

0.28

2.16

한국

0.07

0.23

0.23

81.27

0.87

3.09

1.84

스위스

-

0.12

0.22

83.33

-

1.59

1.79

기타

5.13

5.93

0.78

-61.01

63.89

78.37

6.26

합계

8.03

7.57

12.50

24.77

100

100

100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2. 변환기 (HS Code 850440 / 정지형 변환기)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따른 변환기 수요가 발생하면서 2019년도에 일시적으로 수입이 급증하였으며, 2020년에는 약 5,472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약 14% 감소하였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는 약 6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약 50% 감소하였다.

 

정지형 변환기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국가명

수입규모

3개년

평균

성장률

점유율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중국

16.30

19.21

13.41

-9.30

28.84

30.02

24.51

스위스

2.43

2.19

8.69

89.11

4.29

3.43

15.87

이탈리아

3.12

2.90

3.97

12.80

5.51

4.53

7.25

핀란드

3.43

3.77

3.43

0.00

6.07

5.89

6.28

슬로바키아

1.54

1.53

2.94

38.17

2.73

2.39

5.37

한국

0.07

0.12

0.06

-7.42

0.12

0.18

0.11

기타

29.63

34.27

22.22

-13.40

52.44

53.56

40.61

합계

56.52

63.99

54.72

-1.61

100

100

100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카타르 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에 참가하려는 해외기업에 조달, 생산, 서비스 등 현지진출 조건을 부가함으로써  현지 공급망 육성  산업기반 확대를 목표로 하는 현지화 프로그램으로  QP(Qatar Petroleum)을 비롯한 14개 주요 에너지 기업이 우선 참가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 구성

① 현지 재화 및 서비스 활용 정도를 점수화하여 입찰 평가 요소로 활용하는 ICV(In-Country Value) 제도


현지화 유망 6개 분야* 100대 투자 기회 제공

   * 화학 및 금속, 엔지니어링 서비스, 소모 자재 및 유지보수, 디지털 기술, 산업 기자재류, 해양 플랜트 관련 기자재 및 서비스


③ 현지 에너지 분야 공급자 육성 프로그램 지원

자료 : Tawteen


세부내용 참고 사이트

ㅇ 해외시장뉴스 '카타르,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발표 '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5/globalBbsDataView.do?setIdx=244&dataIdx=172855


ㅇ 타우틴(Tawteen) 사이트

  - https://www.tawteen.com.qa/


시사점

 

국제 기후 변화 협약에 따른 대체 에너지 수요 증가로 카타르 정부는 높은 일사량(연간 2,140 kWh/) 및 일조량(9.5시간) 등의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잠재력이 큰 태양광 에너지에 집중하고 있다. 에너지 자원 수출로 축적된 정부의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태양광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가 예상되면서 향후 다양한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비해 유관 기관 벤더 등록 및 프로젝트 입찰 참여를 통해 진출하거나 현지 바이어를 대상으로 관련 기자재 수출 기회를 모색해볼 수 있다.


특히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인 타우틴(Tawteen)의 도입으로 에너지 분야 기업에서 발주하는 입찰에 참여 시 In-Country Value(ICV) 점수 제출이 의무화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사전에 충분히 숙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수주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카타르 수전력청(Kahramaa) 관계자는 현재 법, 지침, 생산 및 활용 목표, 금융 지원 및 투자 인센티브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신재생 에너지 정책 및 전략을 마련 중에 있으며,  카타르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 중 태양광 에너지에 집중하여 발전 계획을 세우고 있는 만큼 프로젝트 발주 및 기자재 수입 수요 등 다양한 기회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특히 관련 프로젝트들의 추가 발주가 예상되기 때문에 다방면에서 한국 기업들과의 협업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로젝트 관련 유관기관 입찰 정보 사이트

카타르 정부 입찰 정보 사이트 모나카삿(Monaqasat)’

  - https://monaqasat.mof.gov.qa/Pages/tender.aspx?id=1


카타르 수전력청(Kahmraa) 입찰 정보

  - https://www.km.qa/Business/Pages/Tenders.aspx

 

QEWC(Qatar Electricity and Water Corporation) 입찰 정보

  - https://www.qewc.com/qewc/en/tenders/


QP(Qatar Petroleum) 입찰 정보

  - https://qp.com.qa/en/SupplyManagement/Tenders/Pages/Tenders.aspx

 

자료: Tawteen, Qatar Petroleum,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Meed Projects, 주요 발주처 홈페이지, KOTRA 카타르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태양광 발전 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