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기식품으로 보는 中 식품시장 트렌드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1-06-24
  • 출처 : KOTRA

- 건강, 간편, 프리미엄화가 키워드 -

- 제품 포토폴리오 강화 및 신제품 개발에 더욱 힘을 쏟아야 -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중국 소비는 2020년 역성장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식품 소비는 1년 내내 성장세를 유지했다. 중국내 코로나19 사태가 가장 심각했던 2020년 1분기에도 중국 식품 소매 판매는 두자릿수 성장(전년동기 대비 12.6% 증가)을 보였으며 2020년 전년도 증가율은 9.9%로 나타났다. 같은 해 중국 도시주민 1인당 연간 식품 소비지출은 전년대비 1.9% 증가하며 8000위안에 육박했다. 중국 속담 “백성은 음식을 하늘로 섬긴다(民以食爲天)”에 걸맞게 식품은 언제나 소비자의 장바구니 중 가장 중요한 품목이다.

 

중국 도시주민 1인당 연간 식품 소비지출 및 증감률

 external_image

자료: 국가통계국

 

이러한 중국 소비자들의 장바구니에 최근 다양한 신제품들이 담기고 있다. 현지 업계는 식품 소비의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한다고 보고 대비하고 있다.


1) 新탄산음료, 음료 시장의 지각변동을 일으키다

 

소득수준 향상과 더불어 중국시장에서 “전통 탄산음료는 고열량의 설탕 덩어리, 건강을 해친다”는 인식이 굳혀졌다. 그러나 최근 ‘저당’, ‘저칼로리’를 내세운 신 탄산음료들은 돌풍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중국 음료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중국 최대 B2C 플랫폼 티몰의 2020년 전체 음료 매출은 전년대비 100% 이상 증가했는데 이 중 생수 등 일반 음료는 50% 이상, 탄산수 등 신탄산음료는 150% 이상 증가했다. 티몰 음료 매출의 고성장세는 신탄산음료가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티몰 관계자는 평가했다. 또 티몰 검색창으로 ‘탄산 기포’를 검색한 건수가 7배 이상 폭증했으며 프리미엄 제품인 프랑스 천연 탄산수 브랜드인 페리에(Perrier)의 티몰 플랫폼상 매출은 전년대비 300% 이상 급증했다. 시장 호황에 따라 중국 로컬기업의 탄산음료 시장진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위안치선린(元氣森林), 자(渣)sir 등 로컬 브랜드들은 2020년 티몰 음료 매출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다양한 탄산음료

천연 탄산수

과일맛 더한 저당 탄산수

사이다

탄산 과즙음료

탄산 차음료

설명: EMB000022141e19

자료: 티몰

 

2) 간식이라 부르고 주식으로 먹는다

 

중국 소비자들의 ‘저당’, ‘저칼로리’ 사랑은 ‘음료’에 국한되지 않았다. 중국 스낵시장에서 오래전부터 ‘건강’이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아졌는데 이에 따라 건강간식 기업에 대한 투자도 급증 추세다. (건강간식 기업 융자 건수: (‘19) 7건, (’20) 20건, (‘21Q1) 13건)

 

한편, 심심풀이로 먹던 스낵에 ‘건강’까지 더해지며 점점 ‘주식화’ 되고 있다. ‘간편한 식사대용 식품’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지난해 티몰 플랫폼상 ‘칼로리 관리’, ‘지방빼는 제품’, ‘식사대용’ 등 단어의 검색량이 전년대비 150% 급증했다.

 

식사 대용 건강 간식(좌)과 저염·저칼로리 어육 가공품(우)

설명: EMB000022141e1b

자료: 티몰

 

중국 최대 국유 식품사 COFCO(中糧) 산하 연구원의 조사 결과, 저녁/점심 식사시간대 또는 그 전후 식사대용으로 다이어트 간식을 먹는 답변자 비중은 1/3을 초과했다. 아침 식사대용이라고 답한 비중은 20%에 달했다. 바쁜 현대인들 사이에서 건강한 다이어트, 체중 관리가 일상화되면서 저당·저칼로리 건강 간식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다이어트 간식 먹는 시간대에 대한 응답자 비중(복수응답)

 external_image

자료: COFCO 영양건강연구원(中粮營養健康硏究院)

 

3) 맛의 비결은 손맛이 아닌 조미료에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집에서 요리하는, 이른바 홈쿡이 늘면서 각종 조미료 소비가 증가세를 보인다. 특히 요리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맛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는 훠궈 소소, 장류 등 복합 조미료가 빠르게 시장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조미료 시장에서 복합 조미료의 비중은 2013년 14.8%에서 2019년 20.6%으로 확대됐다.

 

티몰의 최대 매출 조미료

훠궈탕 소스

치킨 양념

소고기 비빔장

설명: EMB000022141e1f

주: 3종 제품 2020년 티몰 플랫폼상 매출량 각각 2500만, 2500만, 2000만 개 돌파

자료: 티몰

 

중국 조미료 수입시장도 호황을 이어가고 있다. 2020년 중국의 조미료(소스용 제조품/혼합 조미료 HS 2103.90) 수입액은 전년대비 12% 증가하며 1억8000만 달러에 달했다. 한국은 중국 혼합 조미료 최대 수입국으로 수입시장점유율은 24.5%에 달한다. 대한국 수입액은 전년대비 48.3% 증가한 4391만 달러로 나타났다. 태국, 대만, 일본이 그 뒤를 이어 2~4위를 차지했으며 모두 두자릿 수의 수입시장점유율을 보였다.

 

중국 조미료(소스용 제조품/혼합 조미료 HS 2103.90) 수입 상위10개국(지역)

 external_image

자료: GTA

 

중국 식품시장 트렌드 및 시사점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는 중국 식품·음료 시장 규모가 지난해 6조 위안(5.9~6.7조 위안) 돌파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도 13.5%~28.8% 증가했다는 의미다. COFCO영양건강연구원의 하오샤오밍(郝小明) 원장은 간편한, 건강한 신제품들이 중국 식품시장의 고성장세를 이끌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식품 소비의 주요 채널로 부상 중인 온라인 시장에서 ‘저지방/저칼로리’, ‘프로바이오틱스/효소’, 비타민과 식이섬유 풍부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중신(中信)증권 쉐위안(薛) 애널리스트는 ‘안전’, ‘맛’, ‘영양’, ‘간편’, ‘녹색’, ‘문화’ 등을 중국 식품시장의 트렌드로 꼽으며 ‘가성비’ 중심의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제품 다양화와 프리미엄화 전략을 내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0년 중국 온라인 식품시장 트렌드

 external_image

주: 동그라미는 관련 식품 시장규모를 의미

자료: Euromonitor, 중신(中信)증권연구부

 

한편 로컬기업의 추격이 매섭다. 기존 로컬브랜드들은 생수, 두유, 식용유, 유제품 등 전통 품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 탄산음료, 식사대용 과자, 간편 훠궈, 간편한 일본식 라면 등 신제품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신시장 공략에 나서는 분위기다. 중국 시장 트렌드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제품 포토폴리오 확대, 신제품 개발, 경쟁력 강화 등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 로컬 강자

급부상 중인 로컬 브랜드

설명: EMB000022141e22

설명: EMB000022141e23

자료: 티몰

 

 

자료: COFCO영양건강연구원(中粮營養健康硏究院), 티몰 빅데이터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기식품으로 보는 中 식품시장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