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산업 시장동향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주헌
  • 2020-12-07
  • 출처 : KOTRA

- 안정적인 전력 공급위해 신재생 에너지 발전설비를 지속 확충 -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 참여 기업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제공 -

 

 

 

파키스탄은 2009/10 회계연도 전후로 극심한 전력난을 겪으며 경제 성장에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이후 파키스탄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발전설비 증설에 집중해왔다.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개발정책 2019(ARE Policy 2019)를 발표하고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기업에 대해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부여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태양열 및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유리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어 향후 이러한 정책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파키스탄 에너지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에 관련 장비 및 부품의 수출 뿐만 아니라 기술 협력 등을 추진할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만성적인 전력난 해결을 위한 발전설비 확충 노력

 

파키스탄은 2009/2010 회계연도 전후로 발전설비 부족, 발전소의 낮은 가동률, 비효율적인 전력 배분 시스템 등으로 인해 극심한 전력난을 겪은 바 있다. 이로 인해 당시 하루 약 6~8시간에 해당하는 정전이 국가 전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 농업을 포함한 섬유 가공 등 파키스탄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켜 경제성장률 및 고용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당시 파키스탄 정부가 가장 시급하게 대처한 부분은 발전설비의 확충이었으며 전력 수요를 충족시킬 만한 공급량의 절대적인 부족이 핵심문제로 떠올랐다. 파키스탄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에 따르면 2009/2010 회계연도 당시 파키스탄의 발전설비 용량은 2만922MW에 불과했으며, 2003/2004 회계연도부터 약 6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파키스탄 발전설비 용량

(단위: MW)

 

자료: Pakistan Ministry of Energy

 

이후 국가전력정책 2013(National Power Policy 2013) 등 에너지 공급 안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수립 및 이행을 통해 발전설비를 지속적으로 증설해왔다. 2019/20 회계연도 파키스탄의 발전설비 용량은 3만6166MW10년 전 대비 약 73% 증가한 상황이다. 이 같은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전력 상황은 비교적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대도시 및 산업단지 등 주요 지역에 정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공급원 다양화

 

발전설비 확충과 더불어 파키스탄 정부가 주목한 것은 전력 공급원의 다양화이다. 2009/10 회계연도 당시 총 발전설비는 화력 66.8%(13,978MW), 수력 31.0%(6,481MW), 원자력 2.2%(462MW)로 구성돼 화력 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화력 발전은 그 특성상 발전 비용이 높아 전력 생산의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는 방식이다.   

 

그로 인해 파키스탄 정부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 확보를 위한 대책으로 신재생 에너지 부문을 개발하고자 했다.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 산하에 대체에너지 개발위원회(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 AEDB)를 설립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해왔다.

 

2019/20 회계연도 기준 파키스탄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전체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고, 그로 인해 파키스탄이 이후 20년간 약 50억 달러의 발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파키스탄 발전설비 유형

2009/2010

2019/2020

 

 

자료: Pakistan Ministry of Energy

 

신재생 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

 

파키스탄 정부는 2006년 당시 신재생에너지 개발정책(Alternative Renewable Energy Policy, ARE Policy)을 수립해 태양광, 풍력 발전설비 증설을 위한 정책적 기초를 마련해놓았다. ARE Policy 2006에 이어 ARE Policy 2011을 통해 중앙전력구매청(Central Power Purchase Agency)의 신재생에너지 전력 구매를 의무화하고 R&D 촉진, 발전설비 확충 등 다양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한 바 있다.

 

이후 파키스탄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해 2019ARE Policy 2019를 발표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민간부문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세금 면제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가 주어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생에너지 개발정책 2019(ARE Policy 2019) 주요 목적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임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

에너지 발전비용의 최소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투명하고 신속한 시행

전력거래시장 오픈 및 활성화

신재생에너지 발전용 장비, 부품의 현지 생산을 위한 인력 교육 및 기술 이전

신재생에너지 공급시장 활성화를 위한 민간부문의 투자 및 참여 촉진

신재생에너지 산업 투자금에 대한 규제 해소

자료: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AEDB)

 

재생에너지 개발정책 2019(ARE Policy 2019) 주요 인센티브

법인 소득세(Corporate Tax) 면제

신재생에너지 설비 수입관세(Import Duties) 면제

배당금 투자 회수자금 송환 허용

외국 자본 100%까지 투자 허용

외화 계좌 발급 허용

국제 분쟁 해결 지원

주별로 프로젝트 수행 부지 제공 가능

: 신재생에너지 기술 활용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기업에만 해당

 자료: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AEDB)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파키스탄의 기후

 

파키스탄은 실제로 7~8월 우기를 제외하고 맑은 날씨가 연중 약 300일간 지속되는 기후를 가지고 있어 태양 및 풍력 에너지 발전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미국 신재생에너지 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키스탄 내에서도 특히 발루치스탄주 일대는 일조량이 풍부해 태양광 발전에 최적의 지역이다.

 

파키스탄 일조량 지도

자료: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NREL)

 

상대적으로 일조량이 부족한 신드주 및 북부지역의 경우 풍력발전에 집중해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신드주의 경우 남부 해안가에 Gharo-Keti Bandar 풍력발전회랑(Wind power corridor)과 같은 우수한 풍력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일대를 중심으로 대규모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 중이다.

 

현지 건설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설치 비용이 높은 편이라 빠른 속도로 공급되지 못하고 있으나 유리한 현지 기후조건 상 장기적으로 태양광 및 풍력발전 시스템은 파키스탄에서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파키스탄 풍력지도

자료: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NREL)

 

신재생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파키스탄 대체에너지개발위원회(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 AEDB)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조사, 설계 등 추진단계에 놓인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총 17개가 존재한다. 입찰 공고일, 건설 계획 등이 구체화되진 않았으나 해당 프로젝트들로 인해 총 634MW가량의 추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추진 중인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연번

프로젝트명(기업명)

발전용량(MW)

지역

구분

1

IPS Solar Park- JA 23 Pvt. Ltd.

50

Nooriabad, Sindh

태양열

2

IPS Solar Park – SB 24 Pvt. Ltd.

50

Nooriabad, Sindh

태양열

3

R.E. Solar I Pvt. Ltd.

20

Dadu, Sindh

태양열

4

R.E. Solar II Pvt. Ltd.

20

Dadu, Sindh

태양열

5

ET Solar (Pvt.) Ltd.

25

Thatta, Sindh

태양열

6

ACT Solar (Pvt.) Ltd.

50

Thatta, Sindh

태양열

7

Janpur Energy Limited

12

Sultanabad, Rahim Yar Khan

태양열

8

Lalpir Solar Limited

12

Mehmood Kot, Muzafargarh

태양열

9

Siddiqsons Solar Ltd

50

Kalar Kahar, Chakwal

태양열

10

ET Solar (Pvt.) Ltd.

50

Fateh Jang, Attock

태양열

11

Asia Petroleum Limited

30

Bahalwalnager, Punjab

태양열

12

IPS Solar Park- JA 23 Pvt. Ltd.

50

Nooriabad, Sindh

태양열

13

IPS Solar Park- IPS 22 Pvt. Ltd.

50

Nooriabad, Sindh

태양열

14

Western Energy Pvt. Limited

50

Jhampir, Thatta

풍력

15

Burj Wind Energy Pvt. Limited

14

Gujju, Thatta

풍력

16

Shaheen Foundation

51

Jhampir, Thatta

풍력

17

Trans Atlantic Energy Pvt. Ltd.

50

Jhampir, Thatta

풍력


합계

634

 

 

자료: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AEDB)

 

현지 업체가 말하는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Zi Solar사의 CEO Mr. Farooq에 따르면 최근 정부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는 에너지 위기 해소이다. Mr. Farooq은 파키스탄이 코로나19 이전부터 불안정한 고용, 느린 성장,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현 상황의 주된 원인이 불안정한 에너지 공급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밝혔다. 2009/2010 회계연도 전후로 전력난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불안정한 전력으로 인한 파키스탄의 손실이 GDP의 약 2%라고 추정했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였다고 한다따라서 안정적인 에너지원을 확보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향후 20~30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미래 에너지로 각광받는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지원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파키스탄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향후 현지에서 관련 설비 및 부품을 모두 생산하겠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파키스탄 에너지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이 있다면 최근 발표된 ARE Policy 2019를 토대로 파키스탄 정부의 정책 이행 여부를 꾸준히 주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현지 진출을 위한 준비 사항

 

파키스탄의 만성적인 전력난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파키스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기조는 우리 기업에 관련 장비 및 부품의 수출뿐만 아니라 기술 협력 등의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정보는 대체에너지개발위원회(AEDB)의 홈페이지(www.aedb.org)를 통해 수시로 확인 가능하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대부분 프로젝트 기반으로 움직이므로 현지에서 서류 준비 및 입찰 등을 대행해줄 믿을 만한 현지 에이전트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현지 정부기관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가진 업체가 업무 수행에 유리하며, 관련 후보 업체들은 KOTRA 카라치 무역관의 해외시장조사 서비스 등을 통해 발굴 가능하다. 다만, 현지 프로젝트 참여 시 파키스탄 정부의 재정상태 등을 고려해 보다 엄격한 사업 타당성 분석 및 정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이 경우 다자개발은행 등 국제금융기관과 협력하거나 ODA 지원을 통해 진출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자료: Pakistan Ministry of Energy, Pakistan Ministry of Finance, State Bank of Pakistan,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 Pakistan Federal Board of Revenu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ational Electric Power Regulatory Authority, World Bank, Zi Solar, Business Recorder, Tribune,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 포스코경영연구원,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산업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