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트디부아르, 확대일로의 블랙뷰티시장을 잡아라!
- 트렌드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이연주
- 2019-04-09
-
- 코트디부아르 여성의 미에 대한 관심 증가로 화장품·뷰티제품 수요 증가세 -
- 메이크업 제품, 수입산에 대한 선호도 높은 가운데 미백 관련 기능 선호도도 증가 -
- 품질 및 가격경쟁력은 물론 현지화 노력을 통한 시장 진출 모색 필요 -
□ 개요
ㅇ 코트디부아르 화장품·뷰티제품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2억2600만 달러로 추정되며 최근 수년간 성장세를 나타냄.
- 특히 외국산 선호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일부 설문조사에 따르면(www.cFAO-fmcg-agri.com)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외국 제품을, 23%는 현지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답함.
ㅇ 2015년 “Black Beauty Fair”라는 뷰티산업 전문 행사가 정례화되면서 해당 산업 최신 트렌드는 물론 화장품·뷰티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정보 교류의 장이 되고 있음.
Black Beauty Fair(Foire de la beauté noire) 현장 1
자료: http://www.leschroniquesdesapitou.com
Black Beauty Fair(Foire de la beauté noire) 현장2
□ 수입시장 현황
ㅇ 2018년 기준 화장품 수입은 전년대비 7.1%를 기록했으며, 특히 한국산 수입은 1.796%의 급격한 성장세 기록했으나 순위상으로는 29위로 시장 확대 여지가 남아 있음.화장품 수입 현황(HS 3304)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률
전체
6,780
6,922
9,640
8,476
9,077
7.1
1
프랑스
2,759
2,522
5,331
4,122
4,860
17.9
2
이탈리아
165
441
546
626
743
18.7
3
중국
269
346
674
979
618
-36.9
4
가나
447
85
107
179
553
209.5
5
독일
176
249
357
468
494
5.6
6
미국
394
456
439
253
331
31.0
7
인도
263
217
510
-
285
-
8
세네갈
279
61
104
133
199
49.8
9
스페인
332
331
369
300
154
-48.7
10
나이지리아
45
179
140
111
84
-24.5
29
한국
-
0.0081
37
0.472
9
1795.6
자료: Global Trade Atlas
□ 일부 뷰티·화장품·케어 제품은 현지 생산 및 수출ㅇ 두피·헤어케어 제품, 샤워·목욕용품 등의 경우 현지 생산을 통한 서아프리카 지역 수출도 활발한 편
- 주요 수출 대상국은 가나, 나이지리아, 토고, 부르키나파소, 말리 등이며 사하라 이남 지역의 국가에 대한 수출이 높다는 점은 이 지역 제조기지로도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음.
코트디부아르 화장품· 뷰티제품(HS 3304)주요 수출대상국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률
1
가나
36,382
33,647
40,888
40,501
50,327
24.3
2
나이지리아
43,049
37,839
33,756
35,086
34,430
-1.9
3
토고
7,457
7,547
6,679
8,975
15,162
68.9
4
부르키나파소
10,719
12,017
15,318
15,919
15,101
-5.1
5
말리
5,181
5,938
6,992
8,743
8,999
2.9%
자료: Global Trade Atlas
ㅇ 보디제품의 경우 수입에 비해 수출이 월등한 것으로 나타나 이 부문 현지 생산이 강점을 지닌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보디케어 제품(HS 330499) 수출입 현황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률
수입
6,052
5,814
7,782
6,734
7,412
10.1
수출
136,605
130,084
133,296
150,153
164,919
9.8
자료: Global Trade Atlas
ㅇ 반면 메이크업 제품, 포장재, 원료, 화장도구 등 소모품 등은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시장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현지 생산에 필요한 원료나 포장재 관련 수요는 증가할 전망
- 스킨케어에 비해 메이크업 제품, 색조화장품에 대한 수입 수요가 높은 편이며, 화장·뷰티케어 관련 소모품 수요 전망도 밝은 편
제품군별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
제품군(HS CODE)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률
립 제품
(330410)
수입
194
291
475
525
343
-34.6
수출
0.0005
0.012
0.025
0.051
0.187
2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