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패스트 패션의류 빠르게 성장 중
  • 트렌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박상민
  • 2018-08-31
  • 출처 : KOTRA

- 남성 위주 의류시장 속에 숨어있던 여성들의 패션 수요를 주목하라 -

 

 

 

□ 개요

 

  ㅇ 전 세계 패션의류시장은 미국과 유럽 주요 국가들이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러시아와 함께 인도가 패션의류 소비 신흥대국으로 성장하고 있음.

 

주요국 의류 시장규모

(단위: 10억 달러)

국가

EU

중국

미국

러시아

인도

시장규모

410

365

315

85

104

자료원: Investment Opportunity for Textile Machinery Manufacturing in India

 

  ㅇ 이와 같은 성장의 주요 원인은 인구 증가와 함께 1인당 의류 소비지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2017 Fashion United 5월호 기사에 따르면 인도의 1인당 의류 소비지출액은 2015 45달러에서 2025 123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연도별 인도 의류 소비동향

(단위: 100만 달러)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금액

58,499

61,578

69,316

79,515

86,323

자료원: 유로모니터

 

□ 시장동향

 

  ㅇ BMI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인도 의류 유통시장은 460억 달러 규모로 파악되며, 2026년까지 연평균 9.7% 성장해 115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의류시장은 크게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으로 분류하면 남성복이 의류시장의 대부분을 차지(41%)하고 있고 이어 여성복(38%), 아동복(21%)순으로 점유율을 기록

 

인도 의류 종류별 시장현황

(단위: 10억 달러, %)

구분

시장규모

점유율

성장률

남성복

19

41

9

여성복

17.5

38

9.9

아동복

9.4

21

10.5

 자료원: indiaretailing.com

 

  ㅇ 인구의 70%가 지방에 거주하고 있지만 지역별로 델리·뭄바이·벵갈루루·첸나이 등 대도시가 전체 소비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고가 의류제품 구매 선호는 대도시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

 

  ㅇ 온라인 유통 부문에서 Myntra(온라인 의류 유통업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인도의 온라인 거래건수 총 2억 건 중 6000만 건이 온라인 의류 쇼핑으로 파악됐으며, 2020년까지 12000만 건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전자상거래는 주요 의류 유통채널로 더욱 확대될 것이며 온라인 의류시장은 현재 40억 달러에서 2020 3.5배 증가한 140억 달러 규모로 기대됨.

 

  ㅇ Myntra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크게 스포츠웨어, 친환경의류, 패스트 패션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패스트 패션이 가장 빠르게 성장함.

 

구분

품목군

주요 특징

1

스포츠웨어

- 일반 캐주얼, 정장에 비해 온라인 매출이 2배 이상 증가

- 특히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성장

2

친환경의류

- 친환경의류는 유기농 목화, 재활용 양모, 천연양모 등으로 만들어짐.

- 온라인 유통 중심으로 큰 폭의 성장세

3

패스트 패션

- 최신 유행 반영한 디자인을 신속하게 시장 출시

- 지난 2년간 세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 일부 주요 브랜드를 중심으로 1년에 200% 이상 성장세

 자료원: Economic Times

 

  ㅇ 인도 정부는 의류산업 성장을 위해 단계별로 외국인 직접 투자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단일 브랜드 유통에 100% 외국인 투자 허용

 

연도별 외국인 직접 투자 완화 조치

연도

주요 내용

1991

- 심사를 통해 특정 분야 51%까지 허용

1997

- 심사를 통해 도매유통 분야 100% 허용

2006

- 단일 브랜드 유통 51%까지 허용

2012

- 멀티 브랜드 유통 51%까지 허용

- 단일 브랜드 유통 100%까지 허용

 자료원: TechSci Research

   

□ 수입동향

 

  ㅇ 2017년 인도 의류(HS 620469) 수입규모는 3809000달러 수준으로 주요 수입국은 방글라데시, 중국이며 전체 수입의 약 56%를 차지

 

  ㅇ 대한국 수입은 전혀 없음.

   

인도 의류 국가별 수입현황(HS 620469, trouser etc)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점유율)

증감률

총계

4.93

3.59

3.89(100.0)

8.3

1

방글라데시

0.88

0.38

1.13(29.1)

194.06

2

중국

2.44

1.66

1.03(26.6)

37.73

3

스페인

0.60

0.60

0.54(13.9)

9.35

4

프랑스

0.06

0.14

0.27(7.0)

94.74

5

캄보디아

0.01

0.02

0.21(5.5)

863.5

자료원: DGCI&S, Ministry of Commmece

 

  ㅇ HS 62046990(Womens or girls suits, ensembles, jackets, blazers, dresses, skirts, divided skirts, trousers, bib and brace overalls, breeches and shorts (other than swimwear): Trousers, bib and brace overalls, breeches and shorts: Of other textile materials: Other) 기준 수입 관세율은 다음과 같음.


구분

관세율(%)

산식

최종 관세율(%)

Assessable Value(AV)

-

100

-

Basic duty of Customs(BCD)

0

0%*AV

0

Social Welfare Surcharge(SWS)

10

10%*BCD

0

IGST

12

12%*(AV+BCD+SWS)

12

Total Custom Duty*

-

BCD+SWS+IGST

12

    * on assess value

   

□ 경쟁 동향

 

  ㅇ 인도에서 패스트 패션 개념은 다소 생소하지만 Zara H&M과 같은 브랜드가 대대적인 광고를 하면서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고 있음.

 

  ㅇ 현재 인도에서 영업 중인 주요 의류 브랜드 현황은 다음과 같음.


브랜드

진출방식

현지파트너

점포 수

진출연도

온라인 유통채널

베네통

라이센스 → 합작 투자

베네통 인디아

106

1991

아마존인디아, Myntra,

Jabong.com

막스&스펜서

프랜차이즈 → 합작 투자

Reliance Retail

56

2001

아마존인디아, Myntra,

Ajio

자라

합작 투자

Trent

18

2010

Hopshopdrop

포에버21

프랜차이즈

Arvind brands

12

2011

Ownsite, Myntra, Jabong

H&M

자회사

N/A

12

2012

N/A

Gap

프랜차이즈

Arvind brands

11

2015

nnow.com

무인양품

합작 투자

Reliance Retail

2

2016

N/A

자료원: 각 회사 웹사이트, Economic times기사, livemint.com 사이트 정보 취합해 작성

 

  ㅇ 주요 글로벌 의류 브랜드는 현지 파트너 즉 Pantaloons, Shoppers stop, Reliance trends, Trents와 같은 현지 유통업자를 활용해 인도에 진출하고 있음. 

    - Pantaloons는 과거 Future Group에 속해 있었으나 2016 Aditya Birla Group에 의해 인수됐으며, Shoppers stop은 인도 백화점 체인 계열로 인도 주요 38개 도시 83개 지점을 중심으로 의류뿐 아니라 액세서리, 핸드백, 신발, 보석, 향수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ㅇ H&M과 같은 브랜드는 현지 유통 의류매장과 달리 사업 초기 매장 배치를 열린 공간으로 운영하고 신발, 모자, 바지, 셔츠를 조합해 전시하는 방식을 활용해 차별화를 추진했음.

    - 현지 전통 매장의 경우 인도 전통 의상과 캐주얼 의류가 함께 전시돼 있으며, 바지는 바지 코너에 셔츠는 셔츠 코너에 분리돼 진열되는 방식을 사용

 

재킷과 신발이 함께 진열(Zara)

종류별로 구분해 진열(현지 브랜드)



자료원: Fung Global Retail & Technology

 

인도 주요 현지 및 글로벌 브랜드 매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브랜드명

회계연도

매출액

비고

Pantaloons

FY 2017/18

1,008.87

현지 브랜드

Trents

FY 2017/18

324.43

현지 브랜드

Zara

FY 2017/18

187.94

글로벌 브랜드

H&M

FY 2016/17

146.76

글로벌 브랜드

  

  ㅇ 스페인 의류업체 Zara는 인도에서 성공한 패스트 패션의 대표적인 의류업체로 Tata 그룹 유통사인 Trents와 합작 투자를 통해 2010년 첫 번째 매장 오픈

 

  ㅇ 업계 추산에 따르면 개점 첫날 138000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됨.

    - 오픈 당일 계속에서 기다리던 고객들을 위해 하루 종일 개점한 것은 지금도 회자되고 있음.

 

  ㅇ Zara의 인도 시장 성공요인으로는 200명의 디자이너들이 늘 최신 유행을 반영한 디자인 의류를 재빨리 시장에 출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통상 신규 디자인이 판매점에 진열되기까지 6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나 Zara의 경우 2~3주 내에 새로운 패션 디자인을 개발해 판매점에 진열할 수 있다고 하며, 새로운 스타일의 반응을 1주일가량 지켜본 후 반응이 좋지 않으면 재빨리 판매를 중지함.

 

  ㅇ 경쟁사인 H&M 2015년 인도에 진출한 이후 급속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음. 특히 매달 평균 1개 지점을 오픈하는 양적 투자에 집중해 2018 5월 현재 32개의 매장을 개점함.

 

  ㅇ 유통 컨설턴트회사 Elargir Solutions Mr. Ruchi Sally 이사에 따르면 "글로벌 패스트 패션 브랜드는 가격에 민감하면서 유행을 추구하는 인도 소비자들의 성향에 딱 맞는 점이 있다."고 말하면서,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이제부터 시작에 불과할 것"이라고 전망

 

H&M 개점일에 줄서서 기다리는 인도인들

EMB00001b6c4f8c

자료원: 구글

 

  ㅇ 인도의 주요 의류 브랜드 세부 현황은 다음과 같음.

 

  1) United Colors of Benetton

홈페이지

https://world.benetton.com/

주요특징

- 이탈리아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패션 브랜드

- ‘베네통’ 이름은 1965년 설립자의 이름에서 따온 것

- 세계 주요 도시에 5000여 개의 매장을 운영 중

 

  2) Hennes & Mauritz(H&M)

홈페이지

www.hm.com/

주요특징

- 스웨덴의 다국적 의류 유통업체로 62개국 4500여 개 지점 보유

- Zara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국제 의류 유통기업

- 33개국에서 온라인 쇼핑이 가능한 유통채널을 보유

 

  3) Zara

홈페이지

https://www.zara.com/in/

주요특징

- 1975년에 설립된 스페인의 대표적인 의류업체

- 세계에서 가장 큰 의류 유통업체 Inditex Group의 주요 브랜드

 

  4) Reliance Trends

홈페이지

https://www.reliancetrends.com/

주요특징

- 인도 전역에 약 500개 매장을 보유한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 유통 체인점

- 자사 브랜드와 국내 및 해외 브랜드를 다양하게 보유

 

  5) Shoppers Stop

홈페이지

https://www.lifestylestores.com/in/en/

주요특징

- 인도의 대표적인 백화점 체인으로 1991년 뭄바이에서 첫 매장 오픈

- 현재 인도 전역에 83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통 브랜드


□ 시사점

 

  ㅇ 패스트 패션 의류는 트렌드를 반영한 발 빠른 디자인을 적용하는 장점 외에도 지금까지 서구 스타일의 옷을 저렴하게 살 수 없었던 인도 여성들에게 특히 어필한 것으로 보임.

 

  ㅇ 주말에 대형 쇼핑몰을 방문하는 여성들은 입점돼 있는 Zara, H&M 등 매장을 특별한 구매 목적이 없어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빈도가 높음.

 

  ㅇ 가족, 친지, 친구 단위의 소소한 파티나 모임이 많은 인도의 경우 트렌드를 반영한 합리적인 가격의 의류시장에 대한 수요는 더욱 더 커질 것임. 이러한 점에 주목해 일본의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인 유니클로도 곧 인도에 진출할 예정임.

 

  ㅇ 매장 진열방식에 있어서도 머리에서 발끝까지 하나의 코디네이션이 가능한 진열방식으로 인도 현지 브랜드와 차별화에 성공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ㅇ 의류 품목의 경우, 다른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 기업의 인도 시장진출이 약세로 평가되는 대표적인 분야임.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현지 진출 사례에 관심을 기울여 인도 시장진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유로모니터, Economic times기사, livemint.com  및 KOTRA 뭄바이 무역관 인터뷰 등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패스트 패션의류 빠르게 성장 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