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Ad Astra! 별을 향해 나아가는 미국 우주 산업동향
  • 트렌드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김경민
  • 2018-08-08
  • 출처 : KOTRA

- 아폴로프로젝트 이후 미국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대한 다각적 노력 -
-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등 우주 관련 스타트업들의 활약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부상 -




□ 개요


  ㅇ 우주산업 구분
    - 우주산업은 지구 대기를 넘어서는 외기권의 탐사 및 사용과 관련된 산업으로 크게 우주기기 제작 분야와 우주 활용 분야로 구분됨.
    - 우주발사체 제작을 위해서는 경량소재, 무선통신, 수소 에너지 등이 결합된 우주항공 관련 융합기술이 필요함.
    - 우주산업은 자동차, 전기, 의료산업 등 다른 산업 발전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크고 우주개발 결과물들을 활용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ㅇ 미국의 우주산업
    - 우주산업은 정부 주도에서 민간기업이 이끌면서 혁신을 통한 비용절감을 통해 위성발사 서비스와 우주탐사, 우주여행 등의 상품을 내놓고 있음.
    - 미국, 러시아, 유럽 등 주요국들은 우주분야 기초연구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투자를 확대해 우주산업에서의 지속적 경쟁력 우위를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우주산업은 자동화된 제작 생산이 가능한 산업과 달리 높은 전문 지식과 고도의 숙련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미국에 숙련된 우주 관련 과학자들이 많음.
    - 10년 전 100개 정도에 불과하던 우주 관련 기업이 현재 1000여 개로 늘어나는 등 기술 축적으로 단기간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음.


□ 우주 시장규모


  ㅇ 전 세계 우주 산업규모
    - 미 연방항공국(FAA)에서 발간한 보고서(Annual Compendium of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2018)에 따르면 2016년도 전 세계 우주 산업규모는 약 3445억 달러로 76%는 TV, 모바일, 광대역통신, 위성시스템, 발사대 등, 24%는 정부 우주예산 및 상업용 우주여행으로 구성


전 세계 우주 시장규모


자료원: 미 연방항공국(FAA)


    -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도 미국의 우주 산업규모는 약 1580억 달러 수준으로 이 가운데 1100억 달러는 인공위성 서비스, 인공위성 제조, 위성 지상 장비 및 발사서비스 등에 의해 발생
    - 2016년 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린 우주 운송사업은 전체 우주경제에서는 비교적 작은 부분에 해당하지만 우주 운송 없이는 우주 기반 서비스가 불가능한 필수 부문임.
    - 2017년 발사된 인공위성 등은 총 469기로 이 중에 상업용은 292기로 62%에 해당하고 나라별로는 미국이 268기로 57%를 차지


2017년 제조국별 발사된 인공위성 수

(단위: 개)


자료원: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2018


  ㅇ 우주로켓 발사현황
    - 2017년 미국, 러시아, 유럽, 중국, 일본, 인도 및 뉴질랜드가 총 90회의 궤도 발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33회가 상업용에 해당함.


2017년 국가, 유형별 궤도 발사 수

(단위: 개)


자료원: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2018


    - 미국은 총 29회를 실시했고 이 중에서 상업용은 21회로 전체 대비 64%를 차지했는데 미국 업체들의 상업용 궤도 발사 매출은 17억 달러에 해당해 2016년 12억 달러 대비 41% 상승함.


2017년 국가별 상업용 궤도 발사 추정 매출액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2018


□ 미국의 우주산업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ㅇ 우주 산업현황
    - 최근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민간 로켓업체 스페이스X(SpaceX)가 테슬라 전기차를 실은 팔콘 헤비(Falcon Heavy) 로켓을 우주로 쏘아 올리고 보조로켓 두 기를 성공적으로 회수해 추진 로켓의 재활용으로 비용 감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
    - 이외에도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가 설립한 블루오리진(Blue Origin), 영국 버진그룹의 리처드 브랜슨이 이끄는 버진갤럭틱(Virgin Galactic)의 우주 관련 기술 축적으로 조만간 민간인의 우주여행이 실행될 것으로 보임.


미국에서 상업용으로 개발되고 있는 궤도 발사 로켓


자료원: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2018


  ㅇ 주요 경쟁 기업
    - 스페이스X는 국제우주정거장(ISS) 보급 및 상용 인공위성 발사를 주 업무로 하고 있음. 일론 머스크는 2016년 9월 국제우주대회에서 팔콘 헤비 로켓보다 더 큰 빅 팔콘 로켓(BFR)을 만들어 2024년까지 화성에 유인탐사선을 보내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함.


BFR을 이용한 지구 내 여객운송 시스템 소개 영상


자료원: SpaceX


    - 블루오리진은 2000년 제프 베조스가 워싱턴주 켄트에 설립한 우주기업으로 우주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켓인 뉴글렌(New Glenn) 및 대형 로켓 엔진인 BE-4를 개발함.


블루오리진의 최신 발사체인 뉴글렌


자료원: Blue Origin


    -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의 경우 준궤도 재사용 우주선(Suborbital Reusable Vehicle, SRV)을 개발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
    - 이외에도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 Corporation)에서 인수한 Orbital ATK Inc, 보잉(Boeing)과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이 합작해 만든 회사인 ULA(United Launch Alliance)등 대기업 산하 기업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동창업자인 폴 앨런이 2011년 시애틀에 설립한 스트라토런치시스템(Stratolaunch System), 전 NASA 과학자들이 모여 2010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한 플래닛랩스(Planet Labs), 2013년에 새크라멘토에서 만들어진 에어로젯로켓다인(Aerojet Rocketdyne) 등 우주 관련 벤처기업들이 활발하게 연구개발 중
    - 최근 일일 단위로 위성사진을 보여주는 플래닛랩스의 자료를 통해 북한산 석탄을 실은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의 움직임이 포착됨. 이처럼 소형 인공위성시장은 지구 영상 및 통신사업, 날씨예측, 발사사업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음.
    - 플래닛랩스의 발사 담당 부사장인 마이크 사피안(Mike Safyan)은 “소형 인공위성은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장점이 있고 스마트폰 업그레이드처럼 인공위성에 지속적이고 즉각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고 밝힘.
    - 미 국방부에서도 소형 인공위성에서 생성하는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형 인공위성 및 우주선을 국가 안보계획에 통합하는 방법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짐.


□ 전망 및 시사점


  ㅇ 미국 우주 산업흐름의 변화와 제도적 뒷받침
    - 로켓을 발사하는 것은 위험하고 수익을 내는 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 동안 정부가 주도해왔지만 지난 10년간 미국 정부의 우주개발의 주도권을 점차 민간으로 이양하는 우주정책의 변화로 우주공간의 상업화도 급속히 진행 중
    - 2015년 11월 미 의회는 상업우주발사경쟁력법안(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을 통과시켜 민간기업이나 개인이 우주에서 채취하는 어떤 종류의 자원이나 광물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게 됨.
    - 미 트럼프 대통령의 우주군 창설 발언 및 달 유인탐사를 재개하는 ‘우주정책 지침1’ 행정명령 서명 등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 고조


  ㅇ 한국의 우주산업 경쟁력
    - 한국의 우주산업 경쟁력은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 아직 초기단계이며 국내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대규모 투자 및 관련 제도 정비가 필요함.
    - 우주산업은 소재, 재료, 물리, 수학, 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한 거대 융합분야이며 한국의 강점인 IT기술을 우주기술개발에 응용할 경우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
    - 정부의 우주산업 투자분야는 주요 목적에 따라 우주과학연구, 우주기반기술개발, 우주서비스로 구분되며 정부 R&D를 통해 한국형 발사체, 차세대 위성, 달 탐사선 등의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음.
    - 정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도입방식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기술개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을 확정했고 기술 성숙도가 낮은 기술들은 향후 신규과제 등을 통해 기술 수준을 향상시킬 계획임.


  ㅇ 우주산업에 대한 전략
    - 우주산업은 미국과 중국 정부 등의 지속적 투자와 민간 기업들 주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그에 비해 한국의 우주산업은 정부 주도로 육성되고는 있으나 투자가 저조하고 정책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큼.
    - 우주산업은 기술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크지만 불확실성이 크고 초기 진입장벽이 큰 영역이므로 단계적 계획수립에 의한 선택과 집중화 전략이 필요함.
    - 한국이 독자적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부의 중장기 투자를 통한 원천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의 우주개발 참여 생태계 조성이 시급함.
    - 한국은 강점을 가진 IT분야 등을 우주기술과의 융합에 적극 활용하고 기술을 보다 세분화해 국제 협력이 가능한 부분은 다른 국가와의 공동개발을 추진해야 함.



자료원: 미 연방항공국(FAA), Annual Compendium of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SpaceX, Blue Origin, LA Times, SpaceNews, 그 외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Ad Astra! 별을 향해 나아가는 미국 우주 산업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