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동향과 진출전략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7-10-12
  • 출처 : KOTRA

- 꾸준한 수출과 러시아 국내생산 설비 투자 전망 밝아 -

 

 


러시아 전체 석유화학공업 개요

 

  ㅇ 러시아 석유화학공업의 규모는 작은 편

    - 석유화학공업의 국내 GDP 대비 지분은 1.5%로 매우 낮음.

    - 미국, 유럽, 태국, 대만, 브라질, 이란, 중국 등에 뒤쳐진 세계 20위 수준

    - 세계 플라스틱 1차 제품 산업에서는 중국(25%), 유럽(20%) 등에 크게 뒤진 2% 정도의 지분을 보유

 

  ㅇ 석유화학공업의 발전을 위한 전략 가이드라인이 발표됨.

    - 러시아 연방 정부가 관련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지원을 하고 있음.

    - 정부는 현존하는 러시아의 특유한 원료베이스를 현금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음.

    - 정부 석유화학공업 발전 프로젝트들은 러시아 석유 정제법 등 원료 발전 모델의 변화가 목적

 

  ㅇ 2015, 지난 5년간 석유화학공업에서 최고의 성장세가 나타남.

    - 투자 감소와 국내 소비자 수요 감소, 그리고 외부 시장 상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연방정부 주도 석유화학공업 발전 프로젝트에 힘입어 관련 공업 포함 모든 제조업에서 활발한 발전이 이루어짐.

    - Rosstat에 따르면, 화학제품 생산량은 2015년 말 6.3% 증가함.

    - 연방 관세국에 따르면, 루블 절하에 이은 수출 증가로 2015년 화학제품의 수출 지분은 전체 수출품 대비 6.5%를 기록

 

  ㅇ 러시아는 고품질, 고수준 화학제품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큰 상황

    - 화학제품 수출구조에서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는 것은 원료와, 합성고무, 무기질비료와 같은 저가공품

    - 반대로 수입 화학제품은 종류가 더 다양하며 고부가가치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함.

    - 러시아 화학공업 무역균형 분석에 따르면, 러시아는 화학 약제품의 수요를 내수 생산품으로 감당하지 못함.

    - 플라스틱 분야에서도 많은 수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러시아 폴리머 시장 동향

 

  ㅇ 러시아 폴리머 시장은 수요와 생산량에서 꾸준히 증가세를 보임.

    - 2016년, 주요 대형 톤수 폴리머의 소비량은 6.8% 증가

    - 지난 15년간 러시아 국내 폴리머 생산 연간 성장률은 글로벌 시장의 3%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7%를 기록함.

    - 선상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분야에서 각각 전년대비 11% 32%의 증가를 기록함.

    - 최대 석유화학 지주회사인 Sibur Company에 따르면 러시아의 폴리에틸렌 수요는 꾸준하며 예상 가능한 성장률을 보임.

 

  ㅇ 폴리에틸렌의 수요 증가는 화학제품 전반적 발전과 상호보완 관계임.

    - 러시아의 폴리머 수요량은 자동차와 자동화 구성품, 건설자재, 포장산업 등의 성장 영향으로 가까운 미래에 상당히 증가할 것

    - 폴리머 수요 증가로 그 외 화학제품 생산량도 증가할 것
 

주요 대형 톤수 폴리머 소비량 증가율

external_image

자료원: www.plastinfo.ru

 

 

주요 대형 톤수 폴리머 생산량과 소비량

external_image

자료원: Rosstat

 

  ㅇ 폴리에틸렌이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폴리머임.

    - 폴리에틸렌의 1차제품 생산량은 전년대비 12% 증가한 2015 1793000

    - 2016년 상반기는 전년동기대비 9.8% 증가한 1106000

 

  ㅇ 폴리에틸렌 생산량은 최근 급격히 증가함.

    - 폴리에틸렌이 활용된 주요 생산품의 평균 생산량 증가율은 2005년부터 10년간 5.2% 기록(Rosstat)

    - 2005년~2015년 간 총 생산량은 60%가량 증가함.

    - 한편, 폴리에틸렌을 주요 품목으로 생산하는 기업들은PJSC "Nizhnekamskneftekhim", PJSC "Organic Synthesis", PJSC Ufaorgsintez, Stavrolen LLC, Tobolsk Polymer LLC, Angarsk Polymer Plant JSC, JSC Metaclay, OOO Nafta-Chem, Polikom LLC, Krimelte LLC, Plastpolymer OJSC 등이 있음.

 

폴리에틸렌 시장 변화예상

external_image

자료원: Sibur Company

 

  ㅇ 러시아 시장에서 여러 종류의 폴리에틸렌 시장이 다양한 상황을 형성함.

    -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주로 식품생산, 농업, 포장용 필름과 파이프라인 단열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생산과 소비량 모두 급상승 중

    -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병과 같은 포장재 생산에 쓰이며 HDPE 포장필름 시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

    - HDPE UHMWPE와 같은 변형체는 고강도와 마모방지 특성으로 방탄조끼, 헬멧과 같은 군수산업, 그리고 운송, 조선, 기계설비제작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됨.

 

  ㅇ 저밀도, 고압법 폴리에틸렌 등의 생산량도 꾸준히 늘리는 추세

    - 러시아 저밀도 폴리에틸렌 산업은 2016 3% 증가, 총 수요량은 100만 톤에 달함.

    - Gazprom Neftekhim Salavat 설비의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며 생산량이 10만 톤가량 증가

    -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수요는 1% 증가해 총 수요량은 60만 톤 가량이며, 2016년엔 재생처리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짐.

 

  ㅇ 현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러시아 폴리에틸렌에 대한 수입대체 계획이 진행 중

    - 루블화 약세로 인해 특히 대지름 스틸파이프 방식코팅 폴리에틸렌, 완제 폴리머 필름 분야에서 수입량이 크게 감소

    - 2014년 폴리에틸렌 총 수요량의 37%가 수입품에 의해 충족되는 등 관련 분야에서 수입제품이 큰 지분을 차지했지만 2015, 2016년 수입품의 비중은 감소함.

    - 20161분기, 114천 톤이 수입됐고 이는 2015년 동기대비 12.6% 감소한 것

    - 국내 선상폴리에틸렌 생산량은 총 수요의 20% 미만만을 충족시키며 러시아에는 양질의 선상폴리에틸렌을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현대적 설비시설이 부족한 상황

    - 폴리머 필름 제조업자들은 수입의존을 타파하기 위해 생산설비 투자 계획 수립


 2011~2015년 폴리에틸렌 수입량external_image

자료원: Federal Customs Service of the Russian Federation


폴리에틸렌 수입현황 및 용도

- 2015년 선상폴리에틸렌이 22만 톤 수입되며 총 공급량의 36% 차지, 가장 수입 의존적

- 2015년 저압법폴리에틸렌은 20수입

- 40% 이상의 수입된 폴리에틸렌 재료는 보통 필름과 포장자재 생산에 이용됨.

- 5%는 케이블, 2% casting cap 생산

- 폴리에틸렌은 압출가공, 회전성형등을 이용한 생산품과 다양한 목적의 코폴리머를 위해 수입되기도 함.

 

러시아 10대 수입국 현황 HS Code 390190900 기타 폴리에틸렌(0.94 비중 이상)

순위

수입국

2014

2015

2016

점유율(%)

'16/'15 증감률(%)

0

세계

226.445

161.148

144.208

100

-11

1

벨라루스

82.765

60.286

53.488

37.1

-11

2

독일

53.669

40.533

39.187

27.2

-3

3

벨기에

9.449

7.375

6.600

4.6

-11

4

스웨덴

9.335

6.703

6.206

4.3

-7

5

이스라엘

3.729

5.007

5.417

3.8

8

6

네덜란드

8.407

3.842

5.085

3.5

32

7

대한민국

13.437

6.142

4.886

3.4

-20

8

핀란드

7.170

5.234

3.776

2.6

-28

9

오스트리아

9.081

2.718

3.636

2.5

34

10

미국

7.578

5.703

3.288

2.3

-42

 

H.S. Code 390110100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순위

수입국

2014

2015

2016

점유율(%)

2016/2015

증감률(%)

0

세계

233.933

184.695

185.421

100

0

1

사우디 아라비아

110.222

96.628

62.760

33.8

-35

2

벨라루스

14.495

30

34.829

18.8

116,000

3

핀란드

13.249

19.639

28.073

15.1

43

4

대한민국

30.113

15.862

15.766

8.5

-1

5

미국

16.829

11.220

7.539

4.1

33

6

네덜란드

19.067

12.830

7.465

4

-42

7

독일

7.710

6.420

7.365

4

15

8

싱가포르

113

1.045

6.063

3.3

480

9

프랑스

1.181

3.021

3.439

1.9

14

10

이란

1.502

3.587

2.097

1.1

-42

 

HS Code 3901300000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순위

수입국

2014

2015

2016

점유율(%)

2016/2015

증감률(%)

0

세계

51.592

40.516

53.795

100

33

1

대한민국

7.038

7.394

8.640

16.1

17

2

우크라이나

957

3.325

8.533

15.9

157

3

벨기에

8.644

7.733

7.218

13.4

-7

4

이탈리아

7.103

4.315

7.012

13

63

5

미국

6.057

2.661

5.601

10.4

110

6

중국

5.519

3.101

4.016

7.5

30

7

독일

5.494

2.387

3.064

5.7

28

8

사우디아라비아

0

651

2.013

3.7

209

9

스페인

2.008

1.283

1.925

3.6

50

10

대만

1.706

1.104

1.896

3.5

72

자료원: World Trade Map, referring to R.F. Federal Customs Service

 

석유화학공업 정부 지원

 

  ㅇ 2016년 1월에 발효된 'Strategy-2030'프로그램은 러시아 석유화학공업의 미래를 결정할 것

    - 새 설비의 수수료 부과를 줄이고 대형 톤수의 폴리머에 대한 수요 공급 균형을 맞추기 위한 혁신적 전략

    - 시베리아, 볼가강, 극동 지방 등에 6개의 석유가스 화학 클러스터 건설 계획

 

'Strategy-2030' 용적확대 계획

                                                                                                                                                   (단위: 천 톤)

external_image

 

  ㅇ 러시아 국내 전문가들에 따르면, 단기적으로 수입량은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2016년에 비해 폴리머 수요량은 증가하지만 생산용적은 단기간에 확대되기 힘들기 때문에 초과수요량은 결국 수입량으로 충족될 것

    - 전략에 따르면, 스타이렌은 ‘Nizhnekamskneftekhim’ 프로젝트로 인해 생산용적이 두 배로 늘 것으로 기대되지만 수요 역시 그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결국 수입량은 늘어날 것

 

  ㅇ 폴리머 수입대체를 위해 2015 3, 러시아 에너지부 법령 210번에 의해 러시아의 석유화학공업의 수입대체를 위한 계획이 승인됨.

 

폴리머와 가공품 수입대체 프로젝트

                                                                                                                                                                          (단위: %)

생산품, 기술

프로젝트 실행 기간

프로젝트 수행 전

수입 의존도

2020년 프로젝트 수행 후

 수입 의존도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2015~2018

100

6

ABS plastic

2015

58

10

Polyolefin high tensile yarn

2015~2017

43.5

31.5

Polyester technical thread elongated: high modulus, high strength, low shrinkage

2015

100

50

Film based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2016~2018

70

23

ABS  for 3D printers

2015

50

10

자료원: Source: Order of the Ministry of Energy of Russia of 31.03.2015 N 210 "On approval of the plan of measures for import substitution in the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of the Russian Federation"

 

  ㅇ 'Strategy-2030'을 제외한 다양한 정부지원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

    - 관련 분야 새 엔터프라이즈의 산업 활동 자극을 위한 '석유화학공업 발전과 경쟁력 강화안' 역시 발효된 상태

    - 그 외에도, 프로젝트 재정지원과 대출 보조 등을 지원하는 산업발전펀드도 존재

    - 신제품 개발을 위한 R&D비용 지원과, 342번 법령에 의한 복합투자 프로젝트 보조금 정책 및 화학콤플렉스 투자 프로젝트를 위한 543번 법령 등이 그 예임

 

시사점

 

  ㅇ 폴리머 사용 포장산업 발달 가능성이 높음.

    - 폴리머 포장재의 기능성과 경제성으로 시장 전망이 밝음.

    - 식품산업과 포장재 산업 동향에 따른 폴리머 수요 변화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

    - 수입량은 유가 변동에 따른 루블화 강약세에 달려있으므로 관련 시장 주시 필요

 

  ㅇ 러시아 내 석유화학 단지 프로젝트에 따라 기술, 설비 투자에 따른 진출 유망

    - 2019 ZapSibneftekhim LET/HDPE 공장 건설이 완료된 후에야 시장 상황이 변화할 것임.

    - 투자프로젝트에는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중인 선형폴리에틸렌 분야에 대한 계획이 부재하며, 2019년까지 Nizhnekamskneftekhim의 독점 공급이 계속될 것

    - 러시아 국내 폴리머 생산설비에 대한 현대화 투자진출이 요구됨.

    - 선형폴리에틸렌 생산설비 현대화는 정부 투자 프로그램에서 빠져있는 상태이지만 총 수요량은 높은 상황이므로 설비 현대화에 대한 투자진출 전망이 밝음.

    - 완제 폴리머 필름 생산설비 확충 프로젝트에 따른 투자 가능성도 높음.

 

ㅇ 증가하는 러시아 폴리머 수요 충족을 위한 분야별 수출전략 수립 필요

    - 선형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저밀도, 고압법 폴리에틸렌 등 대부분의 폴리머에 대한 러시아 국내 수요는 꾸준히 증가 중이며 국내 생산량은 수요를 충족하지 못함.

    - 최근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 CIS국가와, 미국 싱가포르와 같은 수출국으로부터 한국의 폴리머 수출 지분이 흡수되고 있으므로 가격 경쟁이 중요한 상황

    - PISC 가즈프롬, 트란스넷과 같은 석유 회사등의 투자플랜에 따르면 대지름의 부식 방지 파이프를 위한 폴리에틸렌의 수요가 증가할 것.

    - LDPE의 경우 잉여가 존재하며 반대로 LET에서는 공급이 부족한 상황

 

자료원: https://article.unipack.ru/66681/

http://marketing.rbc.ru/news_research/28/02/2017/562950001126119.shtml

http://expert.ru/ural/2016/20/radikalnaya-polimerizatsiya/

http://minpromtorg.gov.ru/common/upload/files/docs/Razvitie_him_kompleksa.pdf

file:///C:/Users/khortseva.l/Downloads/Resume_A_PE_Russia_2017.pdf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동향과 진출전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