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기로에 선 사우디 철강제품 수출, 다양한 산업협력 관계로 뚫어야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Osama Alhajouj
  • 2017-02-01
  • 출처 : KOTRA

- 단순한 수출형태로는 시장 개척에 한계 -

- 합작투자, 기술이전 등 중장기 협력관계 구축 필요 -

 

 

 

□ 시장 동향

 

  ㅇ 사우디아라비아의 철강시장은 저유가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4년 말까지는 정부로부터 발주되는 방대한 물량의 프로젝트를 통해 한 해에만 11.8%의 고성장을 기록함.

    - 전반적인 건설경기의 호황으로 2014년 철강 소비량이 4.3% 증가했으며, 국내 수요 확대로 수입도 15%가 넘는 증가세를 보임

    - 건설경기의 확장은 사우디 국내 강철 생산에도 영향을 미쳐 2016~2020년 평균 4.5%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ㅇ 철강시장 규모는 2014년 말 금액 기준으로 전년대비 11.8% 증가한 364억 리얄(97600만 달러)을 기록함.

    - 국제 철강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성장을 보였는데, 이는 주택 및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발주로 건설경기가 지속적으로 확장세를 보이면서 국내 철강 소비의 증가를 초래했기 때문임

    - 철강의 큰 수요분야인 자동차산업분야의 수요가 아직 미미하지만, 꾸준한 산업다각화 추진으로 가까운 미래에는 자동차용 강판 수요도 출현할 것으로 보임.

 

사우디의 철강시장 주요 지표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시장규모(백만 리얄)

21,088

23,474

29,468

33,611

32,541

36,395

수입품 비중(%)

58.1

53.6

58.1

62.0

57.4

59.2

국내생산량(%)

41.9

46.4

41.9

38.0

42.6

40.8

유통마진(백만 리얄)

1,161

1,641

2,274

2,492

2,628

2,709

B2B거래량(백만 리얄)

6,322

7,750

11,225

12,394

13,088

14,862

자료원: Euro Monitor

 

  ㅇ 2014년도 말까지 지속된 건설경기의 확장으로 사우디의 조강 소비는 전년대비 4.3% 증가해 1460만 톤에 달했고, 강철 완제품의 소비는 1410만 톤으로 6%가 증가해 사우디아라비아의 1차 철강산업의 성장에 기여함.

    - 1차 철강 및 합금철 분야는 201413.2%의 큰 성장을 보이며 전체 시장의 51%를 차지했고, 철근(reinforcement bar)과 강박(steel foil) 또한 내수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보였음.

    - 2014년 말 사우디 산업기반공사는 철근 가격을 톤당 100리얄, 강박 가격은 톤당 300리얄을 낮춤.

 

  ㅇ 한편, 사우디로 유입되는 저렴한 수입품은 국내 철강제품의 가격 하락을 초래했음. 특히 중국의 철강산업 성장과 내수부진은 중국산 철강의 수출물량을 늘려 사우디를 포함한 세계시장에 철강 공급과잉과 가격하락을 가져옴.

    - 국제 철강가격의 하락에 따라 사우디 국내 생산업체의 철강 수출가격도 하락했으며, 석도강판은 2.5%, 열연압연코일(HRC)3.2%, 냉연압연코일(CRC)3.8%, 용융아연도금(HDG)5%, 철근 및 유기물 코팅박판(OCS)7.7% 하락함.


  ㅇ 건설분야의 부가가치는 2014년에 8.8% 성장해 총 3490억 달러 규모에 이르렀는데, 부동산은 6.9 % 성장한 1810억 달러에 이름. 이는 2.3%의 인구 증가율과 주거용 주택 부족으로 인한 정부의 부동산 수요 촉진과 투자장려의 영향이 컸음.

    - 20143월, 정부 주도의 저소득 가정을 위한 저비용주택 제공 목적의 ESKAN 프로그램은 3년에 걸쳐 2500억 달러를 투자해 50만 세대를 공급하는 것으로 부동산 개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

    - 2014년 초, 사우디 제2의 대도시인 제다에서는 SEDCO 개발과 NCB캐피털이 토지 구매와 중산층 대상의 주거용 주택건설에 대한 투자유치를 위해 Al-Ahli SECO 주택개발펀드를 설립함.

    - 또한, 은행의 주택 구입목적 대출을 늘리는 법안과 정부의 건설산업 장려정책은 주택경기를 호황 국면에 진입시켰으며, 강철 수요의 증가와 함께 철강시장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

 

  ㅇ 2014년 사우디아라비아는 총 26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발주함. 그 대표적인 것이 리야드 메트로 프로젝트, 제다와 킹압둘라시티를 연결하는 철도, 주베일항만 2차 확장공사 등의 대표적인 메가 프로젝트였음.

    - 그러나, 저유가가 본격화된 2015년도에는 이미 계획된 프로젝트마저도 취소 내지 잠정보류하는 사례가 빈발했으며, 대부분의 대형 프로젝트가 중단돼 철강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 상황을 겪음.

 

  ㅇ 사우디의 자동차 산업 시장가치는 2014년 말 기준 980억 리얄(2613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 감소했지만, 강철제품의 수요는 약간 늘어남.

    - 사우디 국민차 생산프로젝트 등 자동차 분야에서의 신규 공장 설립 계획은 현 상업용 차량 제조공장의 구조조정과 생산량 감축을 초래했으나, Volvo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제조된 첫 번째 트럭을 2015년 출시했고, 다른 승용차 제조업체들도 국내 생산설비를 구축하려는 계획을 밝혔음.

    - 2014년 자동차 산업은 사우디아라비아 국내 철강 수요를 크게 증가시키지는 않았지만, 향후 자동차용 강판의 신규 수요 창출 가능성을 보여줌.

 

  ㅇ 사우디에 유통되는 철강 수요 중 수입품의 비중은 59%이며, 이 중 약 40%는 강, 철 및 합금철로 2014년에 전년대비 19%의 큰 폭의 증가세를 보임.

    - 가장 많은 수요를 보이는 평강류(flat)2014년에 총 270만 톤이 수입됐으며 증가율은 33%였고, 주철과 강관도 12.3%의 증가세를 보임. 강관류(tubular) 수입은 115만 톤으로 15%의 증가율을 보였음. 전체적으로 2014년 중 총 650만 톤의 철강제품이 수입돼 국내 생산으로 채울 수 없는 물량 부족을 해소함.

 

□ 생산 동향

 

  ㅇ 사우디아라비아 1차 철강산업의 매출액은 건설 붐으로 인해 2014년 중 9.6% 성장해 총 178억 달러를 기록했음.

    - 수입제품의 비중이 높음에도 사우디 내 철강업체들은 13%의 생산량 증가를 보였는데, 특히 6.4%나 떨어진 유럽의 철강 스크랩 가격은 국내업체의 수익을 0.9% 정도 향상시켰음.

    - 사우디 국내 철강업체의 열연제품 생산량은 500만 톤으로 2%, 조강 생산량은 630만 톤으로 15% 성장해 사우디아라비아 철강산업의 매출이 늘어나는 추세임.

 

  ㅇ 사우디아라비아 철강업체는 전기아크로/전호로를 사용해 철광석이 아닌 철 스크랩 또는 직접환원철(DRI), 아이언 카바이드, 또는 선철로 강철을 생산하고 있음.

    - 이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의 강철 스크랩(강설/선철) 수입은 2014340만 톤으로 1차 강철제품 원자재의 54%를 차지함. 그 외 철원재료는 국내의 스크랩, 직접환원철, 아이언 카바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2014년도 유럽의 2등급 스크랩 가격이 톤당 271유로로 떨어지면서 국내 철강업체의 수익이 0.9% 향상됨.

    - 전력 소모가 큰 전기아크로를 사용하지만, 10MWh 이상 사용 시 0.26리얄이 부과되는 저렴한 전기요금과 연간 150억 달러에 이르는 정부보조금을 바탕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철강업체들은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경쟁 동향

 

  ㅇ 사우디의 철강구조는 크게 이원화돼 있는 구조임. 대형 발전소나 인프라에 소요되는 철강류는 주로 수입품으로 조달되고 있으며, 일반 아파트나 쇼핑센터 및 상가건물 등의 건축에 사용되는 철재는 사우디 국내산으로 충당되고 있음.

    - 현재 사우디에서 생산되는 철강재는 주로 외국으로부터 철 스크랩을 수입해 재생철근 등을 제조하는 1차 철강분야가 주류임.

 

  ㅇ 사우디의 주된 철강 수입국가는 2014년 말을 기준으로 중국(23.3%), 일본(13.3%), 인도(8.1%), 한국(7.9%), 우크라이나(5.3%) 등임. 이는 주로 고부가 철강제품이며 철강스크랩과 같은 원료는 유럽으로부터의 유입이 많은 편임.

 

사우디의 국별 철강 수입비중

                                                                                                                                                          (단위: %)

국명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중국

13.0

12.9

15.3

15.1

13.4

23.3

일본

13.0

12.2

12.5

15.0

12.1

13.2

인도

3.1

14.9

4.1

5.6

5.7

8.1

한국

8.7

8.1

10.8

12.3

9.5

7.9

우크라이나

1.7

1.4

3.3

4.1

4.5

5.3

기타

60.5

50.5

54.0

47.9

54.8

42.2

자료원: Euro Monitor

 

  ㅇ 주로 1차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사우디 회사로는 정부소유 사우디산업기반공사[Saudi Basic Industries Corp(SABIC)]의 자회사인 Saudi Iron and Steel Company(Hadeed)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철강 복합생산업체임.

    - Hadeed는 총 550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330만 톤은 철근, 철근코일, 선재코일, 강철빌릿과 같은 조강류이며, 220만 톤은 열연강박, 냉연강박, 주석도금강판, 표면처리강판 등과 같은 판재류임. 2014년 4월 Hadeed는 2개의 새로운 시설/공장을 지어 2025년까지 연간 철강 생산량을 400만 톤으로 늘리는 16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2015년 11월 국제 유가와 철강 가격이 회복될 때까지 지연됨.

    - Hadeed는 자체 강철빌릿 수요를 내부 생산하고 있으나, 철광석은 아직 스웨덴과 브라질에서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모리타니아와 원재료 수급을 위한 합작투자를 고려하고 있음.

 

사우디의 연도별 품목별 생산 추이

                                                                                                                                         (단위: 백만 리얄)

품목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선철, 기초제품

5,579

6,846

7,317

7,467

8,160

8.942

주철 및 튜브

2,232

3,068

3,795

4,051

3,742

4,115

정제철강

646

854

1,101

1,156

1,199

1,327

냉연강판 철강재

1,776

2,309

3,015

2,931

3,154

3,439

합계

10,233

13,077

15,229

15,605

16,255

17,823

자료원: Euro Monitor

 

  ㅇ Rajhi Steel은 강철빌릿 생산 설비와 절개 및 벤딩공장(cut and bent plant)의 라인을 제다에 보유하고 있으며, 200만 톤 이상의 생산이 가능한 추가 생산라인을 Kharj에 보유하고 있음.

    - 완제품으로는 철근, 선재, 철근 코일,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 튜브, 냉열간압열강판, 전기 아연도금시트, 아연철판 등을 포함하고 있음. 수출을 주로 하며 대상 국가는 주로 GCC임.

 

  ㅇ Zamil Steel Pre-Engineered Buildings Co LtdZamil Industrial Investment Co의 자회사로, 담맘에 위치한 공장에서 연간 12만 톤의 강철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그 외, 이집트, 베트남, 인도 및 라스 알 카이마(UAE)에 추가 시설이 있으나, 내수가 전체 매출액의 78%를 차지하고 있음.

    - 90개 국가에 6만5000개 이상의 건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많이 PEB(pre-engineered buildings)를 생산하는 회사임. 이 회사는 2015PEB공법에 대한 여러 계약을 국내에서 성사시키기도 함.

    - 3월에는 1300만 리얄의 쥬베일의 걸프가드(Gulf Guard) 계약, 4월에는 9100만 리얄의 담맘 쇼핑몰 계약, 9월과 10월에는 사우디 아람코와 4000만 리얄의 물탱크 공장과 Al-Janadriyah Exhibition Centre 등과의 계약이 대표적인 사례임.

    - 유나이티드 와이어 공장(ASLAK)은 리야드, 제다, Buraidah Khamis Mushayt8개의 공장에서 소둔처리 강선, 아연과 PVC를 도금한 옷걸이, 침대 메쉬, 스테이플 및 기타 강철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ㅇ Saudi Steel Pipes Co Ltd는 고주파유도용접 철을 생산하며, 우수한 기술력으로 석유 및 가스, 건설 등의 시장에 집중하고 있음.

    - 이 회사의 연간 생산능력은 4개의 강철 파이프 생산라인을 통해 연간 24만 톤의 강관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hot induction pipe bending 공장을 소유하고 있기도 함.

 

사우디 국내 철강업체 시장점유율

회사명

점유율(%)

사우디산업기반공사 (SABIC)

37.9

Rajhi Steel

10.3

Zamil Steel Co., Ltd

7.1

United Wire Factories Co.

2.7

Saudi Steel Pipes Co.

2.3

기타

39.8

자료원: Euro Monitor

 

□ 전망

 

  ㅇ 사우디 철강산업 매출은 저유가로 인해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건설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2014년부터 연평균 4.5% 성장해 2020년에는 230억 리얄(61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ㅇ 신규 투자가 일어나는 자동차산업 또한 자동차 강판 수요를 창출할 것이며, 정부의 철강 생산능력 확대 계획도 철강산업의 매출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특히 사우디 내 철강업체는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전기요금과 철강스크랩의 장기 고정가격이 국내외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밑바탕이 되고 있음.

 

  ㅇ 사우디의 건설산업 매출은 2014년부터 연평균 7.9% 성장해 2020년에는 593억 리얄(1581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대형 주택공급 프로젝트들이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이와 함께 성장할 것으로 보임.

    - 저비용 주택공급을 위한 ESKANSEDCO 등 주거개발펀드에 의해 추진되는 프로젝트들은 부동산 산업의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이에 따라 부동산 개발분야도 2020년까지 연평균 7.3%의 성장세를 보여, 2020년에는 1810억 리얄(4827000만 달러)의 매출규모로 성장해 사우디의 철강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보임.

 

향후 사우디 철강시장 규모

                                                                                                                                               (단위: 백만 리얄)

품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선철, 기초제품

8,891

10,033

10,481

10,938

11,435

11,989

주철 및 튜브

4,098

4,629

4.786

4,940

5,111

5,301

정제철강

1,297

1,443

1,499

1,554

1,616

1,684

냉연강판 철강재

3,368

3,617

3,750

3,881

4,026

4,188

합계

17,654

19,721

20,516

21,313

22,187

23,162

자료원: Euro Monitor

 

  ㅇ 또 한 가지 긍정적인 요소는, 승용차 생산업체들이 사우디아라비아 내에서 생산설비 확장을 계획하고 있어 철강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점임.

    - 인도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타타 모터스가 1억 파운드를 투자했고, Saudi National Automobile Manufacturing Co,(SNAM)과 사우디 국부펀드인 PIF(Saudi Arabian Public Investment Fund) 및 한국의 대우인터내셔널은 사우디 국민차 생산공장 건설에 1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2015년 합의함.

    - 당초 대우인터내셔널은 사우디에 2018년도까지 연간 15만 대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지분할당 문제가 새롭게 등장해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음.

    - 사우디의 자동차업계 선두주자인 도요타는 기존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는 사우디 내 생산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특히 도요타의 Camry와 같이 인기 있는 모델들이 호주에서 수입되는데, 2017년에는 호주에서의 생산이 중단될 계획이므로, 사우디로의 생산 이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이와 같은 사우디 내 국내 자동차 제조공장의 출현은 자동차용 강판 수요를 창출해 사우디 국내 철강산업 발전에도 획기적인 이정표가 될 전망임.

 

  ㅇ 최근 Saudi Iron and Steel Co(Hadeed)400만 톤의 생산설비를 확장해 20251000만 톤을 생산하는 계획을 발표했음. 160억 리얄(427000만 달러)을 투자해 라빅과 쥬베일에 두 개의 신규 공장을 건설하는 Hadeed의 프로젝트는 국내 철강 수요의 자급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입의존도를 낮추며, 규모 측면에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ㅇ 사우디의 철강스크랩 수입은 2014년부터 연평균 13.8%로 증가해, 2016440만 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2등급 철강스크랩의 2015년 유럽 가격은 톤당 224유로로 17.5%가 인하돼 사우디 철강업체의 생산원가를 크게 낮추는데 기여했으며, 이는 국제 철강가격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사우디 철강업체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됐음.

 

□ 효과적인 시장접근 방법

 

  ㅇ 사우디는 세계 최대의 프로젝트 발주국가로 이에 필요한 각종 철강재의 수요가 어느 국가보다 방대한 편이며, 국내 생산기반이 미약해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각국 철강 제조업체의 주된 시장 역할을 해옴.

 

  ㅇ 우리나라 역시 사우디에서 매년 방대한 프로젝트를 수주해오면서 이에 필요한 각종 철강재를 수출했으며, 최근에는 사우디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해온 산업다각화의 영향으로 수입대체산업 및 국내 소비제품 제조시설이 가동되면서 이에 필요한 철강재를 수출했음.

 

우리나라의 대사우디 철강제품 수출 현황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수출액(백만 달러)

896

1,293

1,045

716

809

429

증감률(%)

73.2

44.3

-19.4

-31.3

13.0

-47.0

자료원: KOTIS

 

    - 그러나 저유가가 본격화된 2014년 이후에는 우리 기업이 수주하는 프로젝트 물량이 급격하게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에어컨과 청량음료 각종 생활용품 제조에 사용되는 주석강판이나 스테인리스 강판 등 공업원료 성격의 철강제품이 수요 감소와 가격경쟁력 열세로 현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특히, 2016년에는 전년대비 47%의 급격한 수출 감소가 초래돼 대사우디 시장 진출에 적색등이 켜진 상태로, 현재와 같은 마케팅과 경쟁력으로는 더 이상 사우디 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드리워진 상태임.

 

  ㅇ 따라서 향후 시장 접근방식은 지금과 같은 단순 수출물량에서 벗어나, 합작투자나 수입대체품의 공동생산, 3국의 공동진출과 같은 우리 기업과 사우디 기업 간의 중장기적인 파트너십에 의한 시장 접근이 필요한 상황임.

 

  ㅇ 특히, 사우디는 포스트 오일시대를 대비해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산업다각화 정책을 실시하고 있어, 한국 기업과 철강제품 분야에 합작투자를 원하는 기업이 많은 만큼 양국기업 간 협력상담회나 투자협력 행사를 통해 적합한 파트너를 발굴한 후 중장기적인 협력관계에 의한 안정적인 원자재 납품, 기술전수, 생산노하우 이전 등 다양한 형태의 현지 진출을 꾀해야 할 상황으로 보임.

 

 

자료원: Euro Monitor, Meed,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 KOTIS 및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기로에 선 사우디 철강제품 수출, 다양한 산업협력 관계로 뚫어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