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온라인으로 불붙는 中 뜨거운 교육열기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16-09-30
  • 출처 : KOTRA

- 2018년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규모 2000억 위안 돌파 예상 -

 

□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규모

  ㅇ 중국 아이리서치(iresearch) 통계 수치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은 1191억 위안(약 19조8718억 원)으로 추정되며, 2013년 이후 매년 약 1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 향후 비슷한 속도로 성장을 지속, 2018년 시장규모 2000억 위안(약 33조74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됨.


  ㅇ 2015년 중국 온라인교육 이용자 수는 약 7200만 명이었으며, 온라인교육 방식을 선호하는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향후 몇 년간 온라인교육 이용자 수는 20%에 근접한 속도로 성장해, 2017년 약 1억767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2013~2018년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규모

자료원: 아이리서치

□ 중국 온라인교육 세부 분야별 동향

  ㅇ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점유율은 고등교육, 직업교육, 어학교육 세 분야가 주를 차지하고 있으며, 초중고교 교육시장은 시장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아직 개발단계로 볼 수 있음. 
    - 현재 고등교육(대학 이상)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지만, 다른 분야 이용자 유입률 역시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2014~2018년 중국 온라인교육 세부 분야별 시장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아이리서치

 

  ㅇ 미취학 아동교육
    - 학습, 특기, 적성 등이 초중고교 단계에서 충분히 두각을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는 유아, 아동기부터 우수한 교육을 받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이 변화함. 또한, 두 자녀 정책 시행으로 조기교육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조기교육 지출도 높음.
    - 챠오후(巧虎), 짐보리(金宝贝) 등 오프라인에서 브랜드 우세가 축적된 기업이 온라인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음. 오프라인 콘텐츠 업체가 유아교육 장난감, 도서와 음반 영상물을 제공했다면, 온라인에서는 유치원 교육 정보화 솔루션, 미취학 아동교육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고 있음.

  ㅇ 초중고교 교육
    - 2015년 중국 K12 온라인교육 시장규모는 138억 위안(약 2조2818억 원)으로 추정됨. 학생들이 학교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지역마다 교과과정이 달라 표준화된 교육 상품으로 학생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아직 시장점유율이 낮음.
    - 그러나 평균 35%의 증가율을 유지하며 고속 성장하고 있고, 2018년 345억 위안(약 5조704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전망이 밝음.
    - 현재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분야 중 하나로 호강(沪江), 신동방(新东方)과 같은 유명 교육기업들 역시 k12 분야 개발을 위해 노력 중임.

  ㅇ 직업교육
    - 2015년 온라인 직업교육 시장규모는 300억 위안(약 4조9605억 원)으로 추정되며, 20%의 성장속도로 2018년 약 515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 온라인 교육이 직무 관련 자격증, 시험 등을 위한 대도시의 바쁜 성인들의 학습 수요에 부합해 현재 중국 온라인교육의 주 고객은 대학생 및 직장인 등 성인 이용자로 볼 수 있음. 그에 따라 직업교육 분야의 유료 결제 비중도 가장 높음.

  ㅇ 어학교육
    - 2015년 온라인 어학교육 시장규모는 약 235억 위안(약 3조8857억 원)으로 추정되며, 20%의 성장속도로 2018년 약 435억 위안(약 7조1929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 온라인 어학교육은 표준화 정도가 높고 체계적인 학습이 용이하며, 신동방(新东方), 호강(沪江), 왕이(网易), 51talk 등 관련 기관에서 오프라인보다 저렴한 가격에 질 좋은 강의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음.

□ 산업 흐름도


external_image

자료원: 아이리서치

 

중국 온라인교육 발전 환경

  ㅇ 정책환경: '인터넷+'의 국가전략에 힘입어 교육산업 발전의 최적기
    - 2015년은 중국의 교육 개혁을 전면적으로 심화한 한 해로, 여러 교육 관련 정책들이 시행돼 교육산업 발전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있음. 

 

자료원: 아이리서치


  ㅇ 기술환경: 첨단기술 접목을 통한 교육 콘텐츠 질 향상



자료원: 아이리서치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의 성장잠재력 여전히 충분
    - 현재 중국 온라인교육 업계는 정책, 경제, 인문적 요소 등의 영향 하에 급변하고 있으며, 매년 평균 20% 정도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초중고교 온라인교육 분야가 아직 개발단계에 있어, 업계 전체의 잠재력은 아직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여전히 발전공간이 큰 시장임.
    - 현재 온라인 교육 주 시장은 1선 도시에 있지만, 교육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2, 3선 도시 이용자들의 학습 수요가 더 절실하기 때문에 향후 발전 잠재력이 큼.
    - 또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성능 향상으로 2018년 중국 모바일 인터넷(스마트폰, 태블릿PC) 경제규모와 네티즌은 PC 규모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됨. 따라서 현재 인터넷 분야 각 기업들은 모바일 경제 추세에 따른 구조 변화가 시급함.

  ㅇ 교육 콘텐츠의 경쟁력과 마케팅으로 신속한 시장점유율 확보가 필요함.
    - 온라인기업은 상대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시기가 늦고 선두만이 살아남는 구조이므로, 질 좋은 콘텐츠와 충분한 마케팅으로 신속한 시장점유율 확보 필요
    - 무료 사이트, 무료 동영상에 익숙한 중국 시장에서 유료화로 교육 사업을 전개하고자 한다면 그만큼 콘텐츠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임. 또한 ‘무료 마케팅(맛보기)’ 등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 광고 및 홍보로 고객 창출 필요

  ㅇ 교육분야는 진출장벽이 높아 현지 기업과의 합작이 유리할 것으로 보임.
    - 국내 우수 교육 콘텐츠, 온라인 강의 노하우 및 플랫폼 등을 가지고 중국 현지 기업과 합작해 진출한다면, 보다 쉽게 한국 교육산업의 새로운 기회를 찾고, 글로벌 교육시장에서도 한류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자료원: 아이리서치(iresearch), 베이징상보망(北京商报网), 바이두교육(百度教育) 및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온라인으로 불붙는 中 뜨거운 교육열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