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6년 중국 영유아 용품 소비 트렌드
  • 트렌드
  • 중국
  • 시안무역관
  • 2016-09-28
  • 출처 : KOTRA

- 80后, 90后 젊은 엄마들은 제품 안정성 중시 -

- 우리 기업이 진출 시 눈여겨 보아야 할 점은? -

 

 

 

□ 영유아 용품 떠오르는 이유는?

 

  ㅇ 2015년 10월, 두 자녀 정책 계획안을 발표하면서 2016년 1월 1일 정식 시행함. 2014년 단독 두 자녀 정책(부모 중 한 명이 독자일 경우 두 명의 자녀 허용)의 실시로 2014년 중국의 신생아 수는 약 1600만 명을 기록했고, 매년 1배 이상 증가함. 약 200만 명 증가하며 매년 영유아 시장의 소비액은 1만5000위안에 달함. 매년 증가되는 영유아 용품의 소비액은 3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두 자녀 정책의 실시로 2017년 신생아 수는 300만~80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측됨.

 

□ 현재 중국 영유아 용품 시장규모

 

  ㅇ 국가통계국의 발표에 따르면, 건국 이래 중국은 출생률 수치는 3번의 정점을 돌파함. 1985~1997년까지 중국은 3번 최고수치를 달성함. 이 기간에 매년 출생률은 2000만 명을 넘었음. 당시 출생한 신생아들은 현재 20~29세임, 결혼 적령기에 들어섰고, 이러한 배경 아래 4번째 최고수치가 나올 것으로 전망됨. 중국인구통계연감 데이터를 보면, 최근 몇 년 중국의 신생아 수는 약 1600만 명으로 2020년까지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때문에 인구의 증가에 따른 영유아 용품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中产业信息

 

  ㅇ Roland Berger의 중국 영유아 용품 연구보고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의 영유아 용품(임산부용품, 영유아 용품, 임산부와 아동을 위한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15년 1억8000만 위안에서 2020년 3억6000만 위안을 넘을 것으로 예상됨. 영유아 용품 시장 경쟁이 심화될 것이며, 소비자들의 요구 또한 다양해질 것임. 중국 영유아 시장의 증가속도가 빨라지면서 상품의 고품질화가 진행될 것임.

 

  ㅇ 소비수준은 아동연령, 가정 수입 및 시장층별로 다름.

    - 중국 영유아 시장의 연평균 소비액은 현재 7748위안, 그 중 영유아용품 소비는 4299위안, 서비스분야 소비 3449위안임. 2015년 영유아 시장 소비액은 1만1197위안에 달하며, 그중 서비스 분야의 소비는 39%를 차지함.

    - 판매경로를 살펴보면, 영유아 용품의 온라인 판매는 2015년 32%를 차지했고, 2020년에는 4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됨.

 

  ㅇ 영유아 소비품이 가장 높은 지역은?

    - 광둥성(广), 장쑤성(江)이 가장 높으며, 대부분 연해지역의 소비가 많은 편임. 내륙지역 중에서는 후베이성(湖北), 쓰촨성(四川)이 높은 편임. 2015년 각 성의 영유아 용품 소비액을 비교한 결과, 광둥성(广), 장쑤성(江), 랴오닝성(宁), 푸젠성(福建), 후베이성(湖北), 저장성(浙江), 산둥성(山) 쓰촨성(四川) 등 도시가 높은 쪽에 속하며, 소비능력 또한 높음. 상품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물건 선택의 폭이 넓어져 점점 소비가 대중화돼 가는 추세임. 앞으로는 각 성의 소비율 또한 비슷해질 것으로 예측됨.

 

  ㅇ 연령별 2013~2016년 1분기 영유아 용품 판매량 Top5 변화

 

자료원: 京

 

□ '16년 영유아 용품 소비 트렌드

 

  ㅇ 주력 소비자 80后, 90后 여성의 시선을 끌어야

    - 영유아 상품의 특수성은 여성이 영유아 용품의 절대적인 주력 소비자라는 것임. 징둥(京) 사이트의 분석에 따르면, 2015년 영유아 용품의 사용자 중 남성 비율은 전체 중 48%p보다 낮음. 여성 구매자는 전체의 43%p 보다 높음.

    - 26~35세의 연령대의 영유아 용품 구매자가 거의 반을 차지하며, 19~25세의 구매자도 상승하고 있음.

    - 도시 등급이 아래로 내려갈수록 여성의 영향력이 더욱 강함.

 

자료원: 京

 

  ㅇ 영유아 용품의 선택기준은 안전인증과 고객 서비스

    - 중국의 젊은 엄마일수록 안전·친환경·유기농 매우 민감하므로 객관적으로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인증’을 통해 고객 안심을 확보해야 함. 우리 기업은 유아용품 수출을 위한 필수인증(CCC) 외에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해외안전인증, 유기농·친환경 인증 등의 취득이 필요. 중국 웨이보에 따르면, 중국 엄마들의 85% 이상은 친환경·안전 제품에 대해 추가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함.

    - 고객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국시장에서 상담·사후 대응 등 전략을 사용해야 함. 타오바오, 징둥 등 대형 온라인 쇼핑몰의 유아용품 구매후기의 80% 이상은 고객응대에 대한 관한 내용임. 온라인 주 고객인 젊은 엄마들이 후기를 중시하는 만큼, C/S가 제품 이미지뿐만 아니라 중장기 충성고객 확보에도 미치는 영향이 큼.

 

  ㅇ 영유아 용품 소매업종 현황 및 발전 추세

    - 백화점, 대형마트, 전문매장, 온라인 판매점이 주요 판매경로임. 백화점에 입접한 영유아 상품은 직영매장 혹은 가맹점 형태로 영업이익이 비교적 높은 영유아 용품. 면직 생산품, 완구,선반 등 내구재 소비품 및 임산부 기능성 의류 등으로 상품의 종류는 비교적 적은 편임. 대형마트에 입접한 매장은 영유아 분유, 이유식, 기저귀 등 소비재 상품으로 상품 종류에 따라 배치돼 있어 브랜드의 특성을 드러내지는 않음. 전문매장은 영유아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와 영유아 수영장, 돌보미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형태 2가지로 나뉨.

    - 백화점 대형마트와 비교해 전문매장은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브랜드의 네임밸류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음. 소비자와 직접 만나면서 소비 구매율을 높이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중국 영유아 상품 체인점의 규모는 2006년 182억 위안에서 2015년 1056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매년 약 19% 이상 성장 중임.

 

2006~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 영유아 상품 시장 규모

자료원: 中产业信息

 

  ㅇ 2002년에 시작해 각 지역의 영유아상품 시장구조는 점차 새로운 발전 추세를 보이고 있음. 초기에 상품자원은 소매상에 집중돼 있었음. 소매상은 고객들과 인접해 있어 영향력 행사가 쉽고, 고객들에게 안정감을 주었음. 그와 동시에 영유아 상품은 산업자원의 중요 부분으로 자리잡음.

 

□ 시사점

 

  ㅇ 올해부터 정책 변화로 인한 영유아 용품 시장의 수요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우리 기업은 중국 진출 시, 해외인증(CCC) 및 해외안전인증을 받아 안전한 영유아 먹거리를 중요시하는 80后, 90后의 세대들에 맞춘 전략이 필요함. 인터넷 구매가 늘고 있는 만큼 판매경로 확보가 중요함. 또한 고객응대 서비스 측면에서 중국 기업과의 차별화를 두는 것도 필요함.   

 

  ㅇ 두 자녀 정책으로 9000만 쌍의 중국인들이 두 자녀를 낳을 수 있게 됐고, 연평균 500만 명의 신생아가 태어날 것으로 전망됨. 우리 기업 제품의 고급이미지를 전략화해 프리미엄 제품 구매에 주저하지 않는 20~30대 신세대 엄마들을 겨냥해야 함. 이들은 1980년대 1가구 1자녀제가 시행된 이후 풍요로운 환경 속에서 성장해 프리미엄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자료원: 중국산업정보(中产业信息), 징둥(京), 국가통계국(际统计局), 중국산업조사연구망(中产业调研网) 및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6년 중국 영유아 용품 소비 트렌드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