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의 새롭게 부상하는 키즈산업 트렌드
  • 트렌드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16-07-21
  • 출처 : KOTRA

 

중국의 새롭게 부상하는 키즈산업 트렌드

- 유아용품 시장, 매년 평균 16%의 증가세 -

- ‘원스톱‘ 소비방식, 온라인 커뮤니티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부상 -

 

 

 

□ 중국 키즈산업 시장현황 및 전망

 

 ○ 2015년 중국 0~14세 아동인구 수는 약 2억2000만 명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16.5%를 차지

  - 올해 1월 1일부터 중국은 산아제한정책 완화로 두 자녀를 허용함. 중국산업정보망 보고에 따르면, 2024년까지 중국 아동인구 수는 2억65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

 

 ○ 중국의 유아용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제품 수입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할 전망

  - 중국 컨설팅 회사인 아이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키즈산업’ 시장규모가 향후 매년 16%씩 증가해 2018년에는 3조 위안(547조 원)까지 커질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어, 앞으로 중국 키즈산업 시장이 더욱 확대될 전망임.

  - 지난 5월 12일, 한국 관세청이 발표한 ‘최근 5년간 유아용품 수출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유아용품의 대중국 수출은 최근 5년간 5.8배 증가함. 특히 분유(최근 5년간 3.9배 증가)는 중국 내 유통경로 확대로 유아용품 수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조사됨.

  - 중국은 키즈식품, 의류, 그림책 등에서 2010년부터 꾸준히 수입 증가세를 보임. 두 번째 자녀의 경우, 유모차, 카시트 등 내구재보다는 식품, 위생용품 등 소비재 중심으로 소비가 확대될 전망임.

 

중국 유아용품 시장규모 추이

자료원: iresearch

중국 유아용품 수입규모 추이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최근 키즈산업 소비 트렌드

 

 ○ 키즈용품에 대한 안전의식 증가로, 자국 제품보다 수입 제품에 대한 수요 커

  - 영유아 건강·안전 제품은 ‘안전품질인증’ 필수

  - 중국 웨이보에 따르면, 중국 엄마들의 85% 이상이 친환경·안전제품에 대해 추가 지불할 의향이 있고, 중국 현지 인증보다 유럽 인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 국내산 키즈제품의 안전성 문제가 커지면서 많은 중국 소비자들이 수입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고, 그 중 중국산 유제품의 품질문제가 가장 커 수입 비중이 매우 높음. 영유아 화장품 시장 또한 수입산 의존도가 매우 높음.

  - 유아동복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독소가 발견되는 등 키즈제품의 품질 문제로 중국 부모들의 반감을 사고 있음.

  - ‘안전·친환경·유기농’에 매우 민감해,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인증을 통해 신뢰도 확보 필요

 

구매 상품별 주요 고려요인

중국 진출 국내 유아용품 업체 인증 취득 사례

자료원: 2015년新浪유아소비백서

 

 ○ 한 곳에서 원하는 모든 소비가 가능한 원스톱 쇼핑방식 유행

  - 최근 많은 쇼핑몰에는 키즈카페 및 놀이공간, 유아용품 판매점, 조기교육, 직업체험, 키즈 포토 등 시설들이 늘어나고 있어, 주말에 가족 단위로 쇼핑몰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늘고 있음.

  - 중국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몇 년 동안 키즈용품 및 서비스의 수요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시장 전망이 개활하며, 시장 경쟁도 매우 치열한 편

  - 현재 중국 내 키즈용품 판매 형식은 다원화되고 있음. 전통적인 백화점, 브랜드 전문점, 대형 체인점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소매방식이 중국 소비자의 인정을 받고 있음.

  - 다양한 제품과 쾌적한 쇼핑환경은 기본이고,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가 현 중국 소비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

  - 긴 줄을 서거나 동분서주할 필요 없이 한 번에 모든 키즈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원스톱 쇼핑방식이 미래 중국 시장의 주요 추세가 될 것임

 

중국 대형 쇼핑몰 내 영유아 관련 서비스 업종별 비중 변화

 자료원: 중국사업부동산연구센터(RET)

 

 ○ 온라인 커뮤니티의 리뷰에 좌우되는 소비자 추세

  - 중국 내 각종 영유아 관련 안전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고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육아용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이 생겨남.

  - 또한, 주변 또는 온라인 리뷰(후기)를 특히 중시하며, 구매하기 전 온라인에서 해당 제품의 리뷰들을 모두 검색해보는 경향이 커지고 있음.

  - 예를 들어, Babytree(宝宝樹), 마마닷컴((媽媽), 베이베이닷컴(貝貝), 미아닷컴(蜜芽貝) 등이 있음.

 

중국 육아 전문 온라인 플랫폼 유형

자료원: iresearch, Topdigital 2015

 

 ○ 21~35세 젊은 엄마들이 키즈산업의 소비 주체로 부상

  - 중국 엄마들 중 80년대생이 66.7%, 90년대생이 19.2%로 키즈산업의 주요 소비자

  - 중국 신세대 엄마들은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IT기기를 다루는데 능숙해, 인터넷에서 정보를 습득 공유하고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쇼핑을 하는 빈도가 높음.

 

중국 키즈용품 연령별 소비주체 비율

자료원: 2015년新浪유아소비백서

 

□ 관련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2016년 CBME 중국 키즈용품 전시회

전시품목

유아용품, 아동 가구, 아동식품, 완구, 아동복, 임신부 의복 등

개최지역

상하이(중국)

연혁

연 1회 개최(2016년 16회째)

개최기간

2016년 7월 20~22일

홈페이지

http://www.61ef.cn/expo/show-992.htm

 

전시회명

2017년 광저우 국제 키즈산업 박람회

전시품목

건강식품, 아동복, 조기교육, 완구, 아동가구 등

개최지역

광저우(중국)

연혁

연 1회 개최(2017년 2회째)

개최기간

2017년 3월 13~15일

홈페이지

http://www.qieta.com/exhibit/show-39086.html

 

□ 시사점

 

 ○ 중국 내 소비자의 소득수준 향상과 산아제한정책 완화로 유아용품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음.

  - 여성 경제 참여도가 약 80%인 중국에서 유아용품 구매고객은 부모 외에도 주 양육자인 조부모인 경우가 많아 연령대가 다양하고 세대 간 소비채널이 상이함. 따라서, 온라인-모바일-오프라인 채널의 동시 마케팅이 필요

 

 ○ 유아용품은 안전성과 품질이 우선이므로 품질관리분야 기관의 인증 획득이 판매 확보에 유리

  - 중국의 인증제도는 크게 강제인증제도 CCC(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와 자발적 인증제도인 CQC(China Quality Certification)로 분류

  - 유아용품 중 유아용 완구(자전거, 보행기, 장난감, 인형)는 반드시 CCC(중국 강제인증)를 취득하도록 하고 있으며, 유아용 화장품·식품·분유에 대해서는 중국 국가식품감독관리국(CFDA)에서 제조법 등록 검사 등을 통해 적합성 여부를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관리 시행

 

 ○ 한국 기업은 중국 시장 진출 시 중국 관련 전시회 참관 등 현지 시장조사를 철저히 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리뷰 등)하고, ‘원스톱’ 소비방식 등 키즈산업 시장 트렌드를 잘 파악해 혁신적인 디자인 및 아이디어 제품으로 중국 키즈산업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iresearch, 한국무역협회, 2015년新浪유아소비백서 및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새롭게 부상하는 키즈산업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