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음악 월정액 서비스, 이젠 일본인의 생활 속으로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이세경
  • 2015-12-24
  • 출처 : KOTRA

     

음악 월정액 서비스, 이젠 일본인의 생활 속으로

- 일본 기업뿐 아니라 Amazon 등 해외 대기업 연이어 시장 진입 -

- 세계 시장의 흐름에 따라 시장은 계속 확대될 전망 -

     

     

 

□ 아마존 재팬, 음악 무제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개시

     

 ○ 아마존 재팬, 정액 지불 시 음악을 무제한으로 들을 수 있는 서비스를 11월 일본에서 개시

  - 일본 국내 외 인기곡 1000만 여 곡이 준비돼 있음.

     

 ○ '프라임 뮤직'은 유료회원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에 가입하면 추가요금 없이 이용이 가능

  - 본 서비스에 등록하면 일본과 미국의 신작영화와 인기 TV방송 등 동영상 무제한 시청과 더불어 식품과 생활용품의 배송 등 회원전용 서비스도 이용이 가능

  -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및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전용TV 단말 '파이어TV'에서 다운로드 하면 오프라인에서도 재생할 수 있음.

  - 음악전문가가 선곡한 리스트 등도 개재돼 있어 개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 재생이 가능

     

아마존의 프라임 뮤직 서비스 광고 화면

자료원: DIME

     

 ○ 음악만의 정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사와는 달리 동영상의 무제한 시청과 날짜지정 배송 서비스도 이용 가능한 점을 강조해 유료회원 유치에 힘을 기울일 계획

     

□ 일본에서의 음악 정액 스트리밍 서비스시장 경쟁 치열

     

 ○ 유력 인터넷기업들, 올해 들어 정액제 서비스를 개시

  - 구글과 애플 외에도 5월에는 사이버에이전트 등이 출자한 AWA가, 6월에는 LINE 등이 출자한 LINE뮤직이 참가

     

 ○ 애플 등이 시작한 정액 서비스는 주로 2개의 이용방식이 존재

  - 첫 번째는 듣고 싶은 곡을 하나씩 찾아 듣는 방식으로, 곡의 제목과 아티스트 명, 장르 등을 가지고 검색 가능

  - 다른 하나는 특정테마에 맞는 여러 곡을 순서대로 나열한 '재생 목록'을 선택하는 방법

     

주요 정액 스트리밍 서비스 비교

서비스명

(운영회사)

Google Play Music(구글)

Apple Music

(애플)

LINE MUSIC

(LINE 뮤직)

AWA

(AWA)

레코쵸쿠Best

(레코쵸쿠)

서비스 개시일

2015년 9월

2015년 6월

2015년 6월

2015년 5월

2013년 3월

곡 수

3,500만 이상

3,000만 이상

150만 이상

수백만

250만 이상

특징

폭 넓은 장르.

곡 추천기능 강화

서양음악에 강점. 전문가의 플레이

리스트가 충실

일본 음악에 강점. 대화 앱과의 연계 기능에 특징

일본 음악에 강점. 플레이리스트 투고 기능도

일본 음악 중심. 신곡 스트리밍 강화

표준요금

월 980엔

월 980엔

월 1000엔

(프리미엄플랜)

월 960엔

(스탠다드플랜

월 980엔

할인 등

10월 18일까지

신청 시 월 780엔

월 1480엔으로 가족 6명 사용 가능

월 20시간 사용 가능 500엔 플랜, 학생 할인

기능을 압축한

월 360엔 플랜

없음.

무료시범기간

30일

3개월

없음

3개월

3일

자료원: 일본경제신문

 

 ○ 요금은 모든 기능을 사용할 경우 각사 모두 세금 포함 월 1000엔 전후

  - 1곡씩 구입하는 서비스에서는 1곡당 200~300엔 정도가 많아 오랜 시간 사용한다면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요금제 가입이 이득임.

     

 ○ 일본의 CD 시장이 축소되면서 관련업자들이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에 진입, 시장은 더욱 과열될 전망

     

□ 경쟁 속에서도 일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은 지속 성장이 예측

     

 ○ 정액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일본 국내 이용자는 2016년 말 1000만 명을 돌파할 전망

  - ICT 총연에 따르면, 유료/무료 서비스 합계 이용자수는 2014년 말 시점 560만 명이었으나, 2015년 말에 930만 명으로 확대돼 2016년 말에는 1290만 명이 될 전망

  - 2018년 말에는 1859만 명으로 2015년 대비 2배로 증가할 것임.

     

 ○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수는 2014년 말의 370만 명에서 대폭 확대돼 2018년 말에는 1190만 명에 달할 전망

  - 애플과 구글이 올해 일본에서 정액서비스를 개시함에 따라 이용자가 급증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됨.

 

정액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 수 추이

자료원: ICT 총연

     

 ○ 서비스별 이용자수는 ‘Apple Music’이 가장 많았음.

  - 뒤를 이어 ‘Google Play Music’, ‘LINE MUSIC’, ‘AWA’, ‘d힛츠’ 순으로, 해외 사업자의 서비스의 침투가 가속화되고 있음.

     

 ○ 만족도는 구글의 ‘Google Play Music’이 1위, 2위는 NTT도코모의 'd힛츠', 3위는 레코쵸쿠의 '레코쵸쿠Best'가 차지

     

□ 시사점

     

 ○ 세계적인 음악 콘텐츠의 청취방식은 콘텐츠 구입에서 정액제 무제한 청취로 이동하고 있어, 일본 내에서도 이 흐름은 계속될 전망

  - 현 시점에서 일본 국내에서 서비스를 개시하지 않은 Spotify 등의 대형 해외사업자들도 존재해 신규 서비스 진입 사업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스마트폰 지속 보급으로 앞으로는 젊은 세대뿐 아니라 40, 50대 이상 세대들의 정액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기회가 증가할 수 있기에 시장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

     

 ○ 성공의 열쇠는 ‘서비스의 다양성’

  - 가장 많은 이용자수를 보유한 ‘Apple Music’과 ‘Google Play Music’의 서비스 이용자에게 만족의 이유를 물은 결과, 서양음악과 일본음악 모두에 충실해 만족한다는 답이 약 50%에 달함.

  - 정액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월정액 수백 엔에서부터 천 엔 정도의 요금으로 다양한 곡을 마음껏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장르의 곡을 얼마나 망라하는지가 서비스 선택 시 주요 지표가 될 전망

     

 ○ LINE과 같이 한국에 뿌리를 둔 기업의 한국 역 진출과 애플,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기업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한국 개시 역시 충분히 가능한 상황으로, 관련 국내 기업은 일본 토종기업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에서의 대응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일본경제신문 및 각 일간지 및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음악 월정액 서비스, 이젠 일본인의 생활 속으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