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전력부가 말하는 미얀마 유망 프로젝트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기현하
  • 2015-11-06
  • 출처 : KOTRA

 

미얀마 전력부가 말하는 미얀마 유망 프로젝트

- 전력 부족이 심각한 미얀마 -

- 미얀마 정부의 적극적인 전력 문제 타개 노력 -

     

 

     

☐ 기대가 되는 전력부의 행보

     

 ○ 2015년 10월 15일, KOTRA 양곤 무역관에서 주최한 투자진출 프로젝트 포럼에서 미얀마 전력부가 직접 향후 미얀마 유망 프로젝트라는 주제로 발표함.

  - 전력 문제가 심각한 미얀마인 만큼 향후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이 기대돼 한국 기업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음. KOTRA 양곤 무역관 보유 자료와 전력부 인사의 발표를 종합한 내용은 아래와 같음.

     

 ○ 미얀마 전력공급 부족의 원인은 발전량 및 송배전망의 부족으로, 전력공급이 불안정하며 발전된 전력조차 모두 전송하지 못함. 원활한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발전소 및 송배전선 건설이 시급함.  

  - 미얀마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230㎸ 132㎸, 66㎸의 송전망을 통해 국가전력망에 공급되고 있으며, 전체 송전선의 길이는 약 1만1043.1㎞임. 현재 우리나라 송전선의 길이는 2014년 기준 약 3만2755㎞로 미얀마가 우리나라 면적의 6.5배가 넘는 것을 생각했을 때, 송전선 부족이 심각함.

     

 ○ 이에 미얀마 정부는 2030년까지 미얀마 전력 수요를 100% 충족할 목표로 2001년부터 2031년까지 30년간 전력 산업 발전 6단계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음. 발전분야에서 2만2700㎿의 생산설비 확충을 위해 281억 달러, 송전분야에 1만2710㎞의 송전선 건설을 위해 22억 달러, 배전분야에 71억 달러 등 총 374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임.

  - 현재 전력부는 3개의 가스 화력 발전소 건설 사업과 9개의 송전망 건설 사업을 진행 중에 있음.

 

미얀마 전력산업 개발 장기계획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Ministry of Electric Power

     

☐ 미얀마 전력 현황 및 향후 계획

     

 ○ 다년간의 전력사업 추진으로 미얀마의 전력 생산량은 서서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4/15년도 전력 생산량은 14만1180.89Kwh로 10년 전보다 약 3배 증가함.

     

미얀마 2002~2014년 전력 생산량

(단위: 백만 Kwh)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Ministry of Electric Power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얀마는 전기를 공급하는데 여전히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어 전력 부문의 개발이 시급함. 현재 미얀마의 전력공급은 수요의 약 30%밖에 충족하지 못하고 있음.

  - 공장 및 호텔 등의 시설은 정전을 대비해 발전기를 설치해놓는 경우가 대다수임. 정전이 일어났을 때 발전기 가동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정전이 길어질 때는 추가비용으로 인해 공장을 가동 하는 것이 오히려 손해인 경우도 있음.

  - 산업체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도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음. 비교적 발전 된 지역인 양곤의 경우에도 정전이 빈번하게 일어남.

     

 ○ 전력부는 전력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회계연도 2016/17부터 회계연도 2019/20까지 약 5407.4㎞의 송전선 건설을 위해 총 47개의 사업이 계획 중에 있으며, 가스 화력 발전소의 경우 2개의 건설 사업이 논의 중

  - 가스 화력 발전소의 경우 Word Bank와 중국 수출입 은행의 원조로 진행될 예정임.

     

회계연도별 송전선 건설 사업 계획표

            (단위: ㎸, Miles)

회계연도 2016/17 사업 계획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Banmaw-Naba

230

80

Dawei-Myake

230

60

Naba-Shwebo-Ohntaw

230

95

Upperyeywa-Shwesaryan

230

80

Winemaw-Naba

230

140

Bellin_Tagundying

230

25

Naba-Kyaukphahtoe

132

35

Tagundying-Aungpinlae

230

7

Mansan-Theini

230

60

Phayargyi-Hlaingtharyar

500

50

Taungoo-Kamarnut

500

117

Upperkyingtaung-Namsang

132

50

Namsang-Taunggyi

132

55

Thaketa-Thida

230

5.5

Taunggyi-Tharzi

132

80

Ahlone-Thida

230

4.5

Ahlone-Dala

230

8

Kamarnut-Dagon(East)

230

40

Gangaw-Kalay

230

80

Athoke-Hintharda

230

40

Kalay_Thamu

230

90

Namsang-Minepyin-Kyingtone

230

138

Nyaungbingyi-Gangaw

230

95

     

     

     

회계연도 2017/18 사업 계획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Shweli(3)-Maeikhtilar

500

260

Taungdwingyi-Aunglan

230

5

Kunlone-Theinni

230

75

Chaungku-Kyunchaung

230

64

Banmaw-Shweli

230

60

Myaungtagar-Hlaintharyar

230

27

Kalaywa-Kalay

230

25

Thilawa-Thilawa(SEZ)

230

5

Kunchankone-Dala

230

35

Phayargyi-Mawlamying-Ye

500

300

Hlawga-Thaketa

230

15

     

     

     

회계연도 2018/19 사업 계획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Dedoke-Yeywa

230

25

Mineyal-Minenaung-Namsang

230

168

Kyauktan-Thanlyin

230

7

Myake-Bokepyin-Kawtaung

230

250

Dawei-Longlone

230

15

 

 

 

회계연도 2019/20 사업 계획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Htantapin-Myaungtagar

230

12

Chibawe-Winemaw-Shweli(3)

500

261

Bilin-Thahtone

230

80

Bellin-Myingyan-Kyunchaung

230

120

Tarpain(2)-Tarpain(1)

132

5

Htantapin-Hlaingtharyar

230

11

회계연도 2020/21 사업 계획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Transmission Line

Voltage

Length

Middleyeywa-Bellin

230

80

Bawgada-Tharyargone

230

20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Ministry of Electric Power

     

☐ 시사점

     

 ○ 미얀마 전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송전선 및 발전소 건설이 필수적인 만큼, 복합 화력 발전소 및 가스 화력 발전소와 송전선 건설 사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현재 미얀마 전력생산의 68%가 수력발전을 통해 생산되지만, 수력발전소의 경우 공사기간이 길어 가스 화력 발전소 등 공사기간이 비교적 짧은 발전소 건설을 계획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건설된 송전망으로는 생산된 전력조차 모두 전송하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앞으로 많은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됨.

     

 ○ 전력공급이 원활해지면 전력공급 문제로 진출을 포기했던 첨단제품의 제조공장들이 진출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봉제 등과 같은 비교적 전력 부족의 피해를 비교적 적게 받는 제조공장들만 진출해있으며, 전력공급이 중단될 시 큰 피해를 보는 반도체, 자동차와 같은 하이테크 제조공장은 전무함.

     

 ○ 송배전선 확충으로 양곤과 네피도 외에 지역에도 전력공급이 원활해진다면, 미얀마의 풍부한 자원을 이용 할 수 있어 투자 지역으로써 가치가 올라갈 것으로 전망

  - 전력 부족 등의 문제로 양곤 및 네피도에 공장 및 기업의 진출이 집중돼 있음. 전력 확충이 된다면 미얀마의 넓은 토지와 높은 인구수를 활용할 수 있음.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Ministry of Electric Power 및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전력부가 말하는 미얀마 유망 프로젝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