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의 전력·에너지산업 정책 동향 및 진출방안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정상현
  • 2015-09-02
  • 출처 : KOTRA

     

베트남의 전력·에너지산업 정책 동향 및 진출방안

- 최근 3년간 경제성장률 5% 기록 -

- 주요 전력 공급원인 화력 발전·신재생에너지 분야 공략 필요 -

     

     

     

□ 베트남 정부 운영

 

 ○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전력분야 규제기관이 설립돼 있는 소수의 국가들 중 하나임.

  - 2011년 전력분야 재편성을 통해 베트남 통상산업부 산하기관인 에너지사무국(GDE: General Directorate of Energy)과 베트남 전력규제청(ERAV: Electricity Regulatory Authority of Vietnam) 등이 지명됐으며, 송전망, 발전산업관리 및 소유권은 베트남전력공사(EVN:Vietnam Electricity)으로 한정됐음.

     

□ 베트남 발전소 현황

     

 ○ 현재 베트남은 중전압 전선을 통해 캄보디아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110㎸, 220㎸ 전선을 통해 중국에서 전기를 수입하고 있음.

  - 2013년 중국에서 수입된 전기는 36억 kWh로 향후 베트남 내 전력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앞으로 수입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추정

     

 ○ 현재 북부(Quang Ninh, Pha Lai) 등에서 석탄 화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남부에서는 가스·오일 석탄발전소와 수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음.

     

 ○ 베트남 내 크고 작은 하천의 개수는 2200여 개에 달하며 그 길이 또한 10㎞ 가량으로 수력발전에 유리하며 전망 또한 유망함.

  - 이론적으로는 매년 3000억 kwh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기술적으로는 1억2300만 kwh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베트남 발전소 분포

자료원: 베트남 전력공사(2014년)

     

□ 전력 생산 동향

     

 ○ 베트남의 경제는 글로벌 경제 침제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5% 이상의 꾸준한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전반적인 에너지 부문 및 전력 분야에서의 수요 또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 2000~2013년 동안 전력 소비량은 매년 8.1~8.7%가량 증가해왔으며, 매년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2011~2015년 동안 매년 평균 4000㎿의 전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정전과 전력난 등의 문제는 베트남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고, 국가의 성장 또한 저해될 것으로 예상돼 국가에서는 전력난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베트남 내 산업용 전력 생산량은 2000년 267억 kWh로 나타났으나, 2013년에는 1150억6000만 kWh로 4배가량 증가했으며, 생산량은 2012년에 비해 2013년 9% 증가함.

     

2000~2013년 베트남의 전력 생산량      

                                                                                                            (단위: 십억 kWh)

 자료원: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통상산업부

  

□ 유형별 전력발전 현황

 

 ○ 베트남은 주로 화력발전과 수력발전으로 50%의 전력을 공급하는 편향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

          

2013년 베트남의 유형별 전력발전 현황

    

자료원: 베트남 전력공사

     

 ○ 화력과 수력은 앞으로도 계속 베트남 전력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전반적으로 천연가스 및 석탄 화력발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베트남에서는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국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새로운 석탄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EVN에서는 2020년까지 총 17개의 석탄 화력발전소를 추가적으로 건설할 것이라 발표

  - 반면 오일 화력발전은 여전히 베트남 전력수급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임.

     

□ 전력 수급 현황

     

 ○ 베트남의 전력 수급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실정

  - 외국기업의 베트남 투자 증가와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주거용 및 상업용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베트남의 전력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 베트남 정부에서도 과거부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대비책 마련에 고심

     

 ○ 실제로 베트남 통상산업부(MOIT: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전력 수요는 2005년 대비 약 10배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2005~2025년 베트남의 전력 수요 전망

자료원: 베트남 통상산업부

     

□ (시사점) 베트남 전력 인프라 투자 기회와 위험요인

     

 ○ (시장 세분화) 베트남의 전력 산업은 크게 ① 컨설팅, 엔지니어링 서비스(프로젝트 관리 포함), ② 건설 및 시공, ③ 국내 송전라인 설치를 위한 저중고압 전압기기 ④ 산업용, 가정용 중저압 전압기기 분야로 나누어짐.

  - 에너지 부문 장비는 ① 보일러 ② 터빈 ③ 증기 발생기 ④ 냉각장치 ➄ 세정장치(석탄 화력 발전소용)가 있음.

     

 ○ (투자 기회) 한국 기업들이 사업기회를 찾을 수 있는 분야에는 ➀ 발전사업에서 진행 혹은 진행 예정인 판매 기회 ➁ ODA 혹은 세계은행, ADB의 자금지원 프로젝트 ➂ 수출차관자금 보유사업 포함한 해외 자금 프로젝트(이러한 프로젝트는 베트남 기업 자체나 국가 예산보다는 국제 경매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계약수주 및 사업자금 조달과 용이한 의사결정이 목적)가 있음.

     

 ○ ODA 혹은 수출차관 양측의 자금 지원받는 사업은 자금지원 국영기업의 일정한 계약수주가 필요함.

  - 예를 들어, 일본은 베트남 인프라 구축에 ODA를 지원하며 동시에 사업 대부분 계약의 최소 60%가 일본 기업으로 수주됨.

     

 ○ 특히 에너지산업에서 한국 투자자들은 베트남 정부에서 앞으로 개발하고 있는 주요 전력 공급원인 화력 발전(Thermal power)과 신재생에너지 두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략해야 함.

  - 발전에 사용되는 석탄은 주로 수입되기 때문에 2015년에는 화력 발전이 가장 안정적이고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또한 베트남 자체의 자연적인 이점과 함께 정부에서는 청정에너지 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어 풍력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는 전망있는 분야임.

     

 ○ 반면, 정부에서는 자연환경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부작용으로 인해 거대 수력 발전소에는 지원하고 있지 않은 실정으로, 2017년까지 수력발전소의 개발을 중단할 계획임.

  - 원자력 발전 또한 정부 주도 및 정부 협력 차원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어 민간 투자자 및 해외투자자에게는 기회를 찾기 어려운 분야임.

     

 ○ (투자 위험요인) 낮은 전기세는 투자수익에 악영향을 미치며 투자자들을 위축시킴.

  - 타 국가에 비해 낮은 전기세는 발전사업에 대한 해외투자자들의 선택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 채산성에서는 kWh당 0.09~0.10달러까지 전기세를 올려야 하나, EVN에서 전기세를  엄격히 통제하기 때문에 0.070 이상으로는 올리기가 힘든 구조임.

     

 ○ 전력사업에 대한 투자비용 증대

  - 부지보상비용, 공업용수비, 송배전 라인 구축, 원부자재가 인상으로 인해 투자비용이 예상보다 증가할 수 있으며 물가와 금리 또한 오르고 있어 해외 투자자들에게는 걸림돌이 되고 있음. 특히 석탄 화력발전은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시장의 가격 오르면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음.

     

 ○ 관료주의적인 걸림돌로 인한 비용이 들며, BOT 프로젝트에 따른 투자 절차가 복잡함.

  - 베트남 당국과 국영기업에서의 업무처리가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지거나 부서의 업무가 겹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충돌이 발생하기도 함. 또한 EVN에서 모든 전력시장을 통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BOT 소유주들과 독립발전사업자(IPP)들은 소비자에게 직접 전기를 판매할 수 없으며 모두 EVN을 거쳐 판매해야 함.

     

 ○ 기상악화와 자연적인 요소는 발전소 운영에 피해를 줄 수 있음.

  - 베트남의 변덕스러운 날씨로 인해 석탄, 오일 및 가스 등의 연료 채굴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

     

 

자료원: 베트남전력공사(EVN), 베트남 전력규제청(ERAV: Electricity Regulatory Authority of Vietnam),

           페트로베트남, 아시아개발은행(ADB) 및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의 전력·에너지산업 정책 동향 및 진출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