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식량안보에 주목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하얀
  • 2015-03-26
  • 출처 : KOTRA

 

UAE, 식량안보에 주목

- UAE, 중동∙아프리카지역 식량안보 수준 2위 -

-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농업부문 해외투자에 적극적 -

 

 

 

□ UAE, 세계식량안보지수 중동∙아프리카 지역 2위

 

 ○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실시한 2014년 세계식량안보지수(Global Food & Security Index) 조사에서 UAE는 70.9점을 받아 조사대상 109개국 중 30위, 중동∙아프리카 지역 2위를 차지함.

  - EIU의 식량안보지수는 식량구입비용(affordability), 유용성(availability), 품질 및 안전(quality and food safety) 등에 대한 평가로, 1위 미국(89.3점), 2위 오스트리아(85.5점), 3위 싱가포르(84.3점)이며 한국은 25위(73.2점)를 기록했음.

 

2014년 세계식량안보지수

자료원: Global Food Security Index 2014

 

 ○ UAE는 특히 유용성 부문에서 55.2점의 비교적 낮은 점수를 받아 농업 발전 및 안정적 식량공급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상황임.

  - UAE는 전통적으로 농업이 정착할 수 있는 기후조건이 아니며, 경제성장과정에서 석유∙가스 및 물류, 건설산업 등에 주력했기 때문에 농업 육성을 위한 R &D 투자에는 정책적 지원 비중이 낮았던 것으로 분석됨.

 

UAE와 한국의 평가항목별 식량안보지수

 

총점

식량구입비용

유용성

품질&안전

UAE

70.9

87.2

55.2

73.2

한국

73.2

78.0

67.4

77.1

자료원: Global Food Security Index 2014

 

□ 2015년 세계식량안보회담 개최, GCC 식량 공급원 다각화 촉구

 

 ○ 2015년 2월 두바이 식품전문전시회인 걸프푸드(Gulf Food)에서 세계식량안보회담(World Food Security Summit)이 개최됐음.

  - 식품전문가, 재배자, 소매업자, 투자자 400여 명이 참여해 식량안보 이슈 및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동 회담은 올해 지속가능한 농업, 식량안보정책 변화, 해외농업투자전략 등이 주요 안건으로 제기됐음.

 

 ○ GCC 국가는 인구증가, 수입식품 의존, 식수부족 등의 여건으로 식량안보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이를 위한 해외농업투자에 관심이 많았음.

  - UAE 수자원환경부(Ministry of Water and Environment) 장관은 2014년 회담 당시 연방정부 차원에서 식량안보를 국정 우선순위로 놓고 전략을 계획 중이라고 강조한 바 있음.

 

세계식량안보회담

걸프푸드 전시회 전경

자료원: Tradeandexportme.com

 

 ○ 회담에서 UAE측은 자국의 열악한 기후조건으로 인해 농업의 발달이 어려운 점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이전보다 자급자족이 힘들어진 점을 들어 식량 공급원의 다각화를 촉구했음.

  - 또한 UAE를 비롯한 GCC 국가는 도로, 항공, 항만 등의 인프라는 잘 구축돼 있으나, 상대적으로 식량 및 식수 저장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설명함.

 

□ UAE 식품수입 의존도 수요의 90% 이상

 

 ○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3년 UAE의 농업은 GDP의 0.7%에 불과하며, 열악한 기후 및 식품가공업 미약으로 식품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주요 수입품목은 육류(12.8%), 과일(12.3%), 유제품(9.3%), 쌀(9.2%), 채소(8.9%) 순임.

 

UAE 품목별 식품수입 비중

주: 비중은 2010~2012년 수입량의 평균치

자료원: 두바이상공회의소

 

 ○ 주요 식품수입국은 2012년 기준 인도(13%), 브라질(10%), 미국(9%), 캐나다(5%) 순임.

  - 한국은 수입 대상국 중 6번째 규모로 4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음.

 

2012년 UAE 식품 수입대상국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비중

 

전체

12,913

100

1

인도

1,621

13

2

브라질

1,242

10

3

미국

1,099

9

4

캐나다

622

5

5

호주

554

4

6

한국

475

4

7

뉴질랜드

430

3

8

중국

426

3

9

영국

371

3

10

파키스탄

359

3

자료원: 두바이 상공회의소

 

□ UAE, 아프리카·아시아 지역의 농업부문 해외투자 활발

 

 ○ UAE 정부는 국내 농업 발전 외에도 농업부문 해외투자에도 적극적임. 이미 수단,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등에 투자했으며, 농업부문 해외투자 비중을 확대할 계획임.

  - 토지거래 모니터링 기관인 랜드 매트릭스(Land Matrix)에 따르면 UAE는 2015년 2월까지 26건의 농업부문 해외투자를 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총 100만㏊ 면적에 달함.

 

UAE 농업부문 해외투자 현황

주: 지도안의 숫자는 투자가 이루어진 프로젝트 수를 의미함.

 

            (단위: 천㏊)

연번

투자자

투자국가

면적

1

Pharos Financial Group

수단

156

2

UAE Government

파키스탄

150

3

RAK Investment Authority(RAKIA)

인도네시아

100

4

Al Ghurair

수단

100

5

Pharos Financial Group

루마니아

50

6

Janan

이집트

42

7

Emirates Investments Group LLC

파키스탄

35

8

Al Dahra Agricultural Company

수단

34.8

9

Al Qudra Hoding

알제리

31

10

Abu Dhabi Fund for Development

수단

30

자료원: Land Matrix(www.landmatrix.org)

 

 ○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국가는 아프리카 지역 투자를 선호했으나, 아프리카 국가는 지주 분쟁이나 가뭄으로 인한 식량부족 발생 시 정부가 수출 제한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제기되면서 아시아 지역으로 눈을 돌리는 추세임.

  - 알제리와 이집트에 투자한 Al Ghurair Resources 회장 Eisa Al Ghurair는 2015년 세계식량안보회담에서 농업부문의 해외투자 시 정치적 위험에 대해 경고하며,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언급했음.

  -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국가의 주요 해외투자 대상국은 아프리카 지역이 75.8%으로 가장 비중이 컸으며, 다음으로 아시아 11.9%, 남아메리카 10.8%, 유럽 1.5% 순임.

 

□ 시사점

 

 ○ UAE는 GCC 국가 중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두 번째로 식품산업 규모가 큰 국가로 한국 기업의 진출기회가 많은 시장임. 2015년 걸프푸드 전시회에는 41개사 규모의 한국관이 참가해 한국 기업의 중동시장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참가업체에 따르면, 바이어의 주된 관심사는 제품의 할랄인증 여부로, 할랄은 UAE 및 중동시장진출 시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인증임.

  - 제품에 따라 청과류, 곡류, 수산물 등은 할랄인증이 없어도 수출이 가능하나, 육류나 가공식품의 경우 무슬림 소비자가 할랄인증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에 바이어의 중요한 구매결정요인으로 작용함.

 

 ○ UAE 식품시장은 전 세계로부터 수입되는 식품으로 경쟁이 치열할 뿐만 아니라, 할랄인증과 같은 까다로운 수입규제로 진입장벽 또한 높음. 하지만 UAE 시장진출에 성공할 경우 타 중동∙아프리카 시장진출의 기반이 되므로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진출시도가 필요함.

 

 ○ 역내에서 어느정도 경제성장을 이룬 UAE는 향후 식량안보 이슈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수경재배, 품종개량 등 국내 농업기술 개발과 공급선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에 적극적일 것이므로 공동참여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음.

 

 

자료원: Gulf News, Landmatrix, MEED, Emirates NBD, The National, World Bank,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조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식량안보에 주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