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 동향 및 전망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4-09-01
  • 출처 : KOTRA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 동향 및 전망

- 연평균 약 20% 성장, 외국어·유아교육시장 전망 밝아 -

 

 

 

□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 규모: 연평균 20% 증가

 

  칭커연구센터(究中心)에서 수집한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온라인교육시장 규모는 839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9% 성장

  -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20% 이상, 초·중·고등학교 온라인 교육, 온라인 직업교육, 대학교 온라인 교육 분야가 주로 확대

 

자료원: 칭커연구센터(www.pedata.cn)

 

  온라인 교육기업 및 이용자 수도 매년 두 자릿세 증가세 유지

  - 2013년 온라인교육 이용자 수는 672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3.8% 증가, 2017년까지 이용자 수는 1억2032만60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

  - 2013년에 신규 설립된 온라인 교육기업은 300개 이상으로, 성수기에는 하루 평균 2.6개의 온라인 교육기업이 신설

 

자료원: 칭커연구센터(www.pedata.cn)

 

□ 중국 온라인교육 발전 배경: 사교육시장 성장, 인터넷 보급 확대, 교육정보화 정책

 

  중국 사교육시장 확대에 따라,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 규모도 급속도로 성장

  - 2013년 중국 사교육시장 규모는 약 6000억 위안으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10.7%씩 성장, 이는 중국 GDP 성장 속도와 비슷한 속도

  - 중국인의 한 자녀에 대한 교육열과 교육비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아지면서 더불어 온라인 교육시장도 동시에 성장

 

  중국 인터넷정보센터의 ‘중국 인터넷 발전 통계 보고서(中國互聯網絡發展統計報告)’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인터넷 이용자는 6억1700만 명에 달함.

  - 중국인의 인터넷 사용률은 약 45.8%로 인터넷을 활용한 지식 검색이 이미 보편화돼 있고, 빅데이터 기술 발달로 인한 맞춤형 학습 교육이 가능해짐에 따라 시간과 공간을 제약받지 않는 쌍방형 온라인 교육이 유행

 

  중국 정부는 2012년 이후 교육의 정보화, 현대화를 주요 목표로 설정, 산업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

  - 2012년 3월 교육부는 ‘교육 정보화 10년 발전계획(育信息化十年發展規劃 2011~2020年)’을 발표, 교육 정보화 분야를 앞으로 10년간 주요 발전산업으로 지정, 교육 클라우드 웹 구축, 정보화 인재 배양, 정보화 관리 시스템 구축을 주요 목표로 선정

  - 2012년 7월에는 ‘국가교육사업발전 12·5 계획(國家育事業發展第十二個五年規劃)’을 발표, 2020년까지 교육의 현대화를 달성, ‘학습 사회’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인적 자원 강대국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

 

□ 분야별 전망: 대학 온라인교육 주류, 외국어·직업교육 성장 완만, 유아교육 잠재력 커

 

  온라인 교육은 수강 대상과 수강자 연령에 따라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대학교육, 외국어교육 및 기타 직업기술 교육 등으로 세분화되며, 분야별로 발전 동향이 상이

  - 2013년 온라인 교육시장에서 대학 교육은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매년 비중이 다소 감소하고 있음.

   * 중국 국무원은 대학 온라인 교육 심사비준권을 하급 기관에 이양하거나 심사비준 절차를 없애서 온라인 교육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킬 계획

  - 온라인 직업 교육 및 외국어 교육 성장률은 각각 21.1%와 18.7%로 원만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고, 유아 교육과 초·중등 온라인 교육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지만, 약 1억 명의 취학 전 아동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시장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

  - 2013년~2014년 1분기까지 중국에 주로 투자한 온라인 교육 프로젝트는 주로 외국어 교육, 직업기술교육, 유아교육 등 분야이고, 특히 외국어 교육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대출금은 약 1억4700만 달러, 17건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고, 그다음이 직업기술 프로젝트로 약 15건을 대출을 받음.

  -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케임브리지 워워(WoWo) 유아영어, 바오바오버스(寶寶巴士), 아이러치(愛樂奇) 등이 최근 투자를 받음.

 

 

자료원: 칭커연구센터(www.pedata.cn)

 

□ 온라인 교육 수익모델

 

  콘텐츠 제공기업, 플랫폼 제공기업, 기술 제공기업으로 나뉘며, 세부 분야별 수익모델이 상이

 

  콘텐츠 제공기업

  - 콘텐츠 제공기업은 주로 교육 동영상, 학습자료 등 관련 학습 지식 및 교육 자재 등을 제공, 교과과정 및 관련 자료(전자교재 등)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

  - 신둥팡(新東方), 대학교, 출판사 등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기업 또한 오프라인 교육 자본을 총동원해 온라인 유통채널을 확보, 온라인 교육 수강자를 유치해 수익모델 창출

 

 ② 플랫폼 기업

  - 플랫폼 기업은 온라인 교육에 적합한 플랫폼을 개발해 교육 콘텐츠 제공기업, 교육기관으로부터 중개수수료 수취, 수익금 배당, 플랫폼을 활용한 광고 수입 등이 수익모델

  - 그러나 업계 전문가는 바이두 교육(百度敎育)과 같은 초대형 플랫폼을 제외한 나머지 플랫폼은 광고를 통한 수입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밝힘.

 

온라인 교육 플랫폼

자료원: 바이두(百度)

 

 ③ 기술 제공기업

  - 기술 제공기업의 주요 수익원은 기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받는 비용으로, 벤처캐피털 회사의 주요 투자 대상임.

  - 기업 대상으로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인 후이커교육(慧科敎育, Unique Edu)과 온라인동영상 교육 웹사이트 및 플랫폼에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따미과학기술회사(大米科技),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을 개발한 중쟈오주식회사(中敎股)가 최근 투자 대상이었음.

 

□ 시사점

 

  오프라인 교육시장뿐 아니라 급속도로 성장하는 온라인교육시장 진입 시도 필요

  - 전자상거래 등장으로 기존 백화점의 영업방식이 달라졌듯이 ‘신둥팡(新東方)’과 같이 기존 영어교육 방식을 온라인으로 접목,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

 

  한국의 우수한 온라인 교육 기술력과 교육 콘텐츠로 중국의 유력 파트너와 협력을 통해 확대되는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을 발 빠르게 선점하는 것이 중요

  -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외국어 교육, 아동교육 등 교육 콘텐츠와 온라인 교육기술분야 등을 현지 주요 기업과 협력하는 것이 가장 유효한 방법일 것임.

  

 

자료원: 究中心, 中國高新技術業導報, 中國企業家, 百度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