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발전 프로젝트 최근 동향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고성민
  • 2013-11-29
  • 출처 : KOTRA

 

미얀마 발전 프로젝트 최근 동향

- 석탄, 바이오매스, 풍력 등 신규 프로젝트 증가 -

- 가스 발전은 공급량 부족으로 감소세 -

 

 

 

□ 미얀마 에너지원별 발전 설치 용량

 

 ○ FY 2010/11년도 기준, 전체 발전 설치용량은 3413㎿로, 발전 형태별로는 수력발전이 2533㎿, 가스 화력발전이 550㎿, 석탄 화력발전 285㎿, 디젤화력발전이 56㎿임.

 

미얀마 발전 설치용량 변화 추이

            (단위: ㎿)

FY

Thermal

Diesel

Hydro

Gas

Total

1985/1986

80

79

226

300

685

1990/1991

92

97

258

357

804

1995/1996

61

81

317

523

982

1999/2000

216

65

360

530

1171

2000/2001

216

65

360

530

1171

2001/2002

216

61

360

523

1160

2002/2003

216

59

391

523

1189

2003/2004

336

61

391

523

1311

2004/2005

195

60

746

561

1562

2005/2006

315

68

746

561

1690

2006/2007

285

70

771

558

1684

2007/2008

285

70

803

559

1717

2008/2009

285

57

947

559

1848

2009/2010

285

55

1,654

550

2544

2010/2011

285(8.3%)

56(1.6%)

2522(73.9%)

550(16.1%)

3413(100%)

주: FY2010/2011 수치 옆 괄호는 전체에서 자치하는 비중임.

자료원: 미얀마 통계청, 2011년

 

 ○ 미얀마 전력부의 최근 발표자료(2013년 7월)에 따른 에너지원별 발전소 현황을 살펴보면 수력은 20개처 2780㎿, 가스발전 14개처 996.05㎿, 석탄발전 1개처 120㎿로 총 발전용량은 3375㎿이며 이 중 외국인 투자에 의한 것은 521㎿임.

 

미얀마 주요 에너지원별 발전소 현황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발표자료, 2013.7.

 

□ 미얀마 에너지원별 발전량 현황

 

 ○ 미얀마의 전력생산량은 FY2012/13 기준 97억3700만 Kwh로 이 중 수력 발전은 6539Kwh로 전체의 67%를 차지하며 수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화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미얀마 전력 생산 현황

(단위: 백만 Kwh)

FY

Thermal

Diesel

Hydel

Gas

Total

2009/2010

473.36

29.57

5256.36

1204.98

6964.27

2010/2011

640.04

32.66

6188.95

1763.46

8625.11

2011/2012

749.77

38.20

6805.57

2119.06

9712.60

2012/2013

770.64

50.63

6539.02

2377.39

9737.68

2013.4~2013.8.

285.43

24.29

2643.36

1093.46

4046.54

자료원: 미얀마 통계청

 

□ 미얀마 전력소비 전망

 

 ○ FY2011/12년 기준 6000만 명인 미얀마 인구는 FY2030/31년에 74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또한 생활수준 개선에 따라 전력소비도 크게 증가해 1인당 전력소비량도 172㎾h에서 1492㎾h로 증가할 것으로 미얀마 전력부는 예상함.

 

미얀마 20년간 인구증가에 따른 전력소비 전망

연도

Conditions After Projects

인구(백만 명)

Load(㎿)

전력소비(㎿h)

Per Capita Consumption(㎾h)

2011/2012

60.44

1,806

10,443.919

172.80

2012/2013~2015/2016

63.14

3,078

17,797.200

281.86

2016/2017~2020/2021

66.69

5,686

32,873.497

492.88

2021/2022~2025/2026

70.45

10,400

60,131.466

853.49

2026/2027~2030/2031

74.42

19,216

111,099.952

1,492.81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발표자료, 2012

 

 ○ 한편 미얀마 정부 당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얀마의 전력생산량은 FY2015/16년에 4004㎿에서 FY2030/31년 2만4980㎿로 약 6.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 기간 전력수요는 3078㎿에서 1만9215㎿로 약 6.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현재도 전력공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전력 손실률도 25%나 달하는 상태인데다, 외자유치로 개발되는 전력생산분의 대부분이 투자자 자국으로 전송되고 있어 미얀마 정부는 전력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 에너지원별 주요 발전 추진 현황(최근 발표된 프로젝트 중심으로)

 

 ① 화력 발전소

 

 ○ 인도네시아 Bukit Asam사 석탄화력 발전 프로젝트

  - 인도네시아 석탄 채굴 업체 Bukit Asam사는 9억 달러를 투자, 미얀마 현지 업체와 합작을 통해 200㎿급의 화력발전소 2곳을 신축할 계획으로 석탄은 Bukit Asam사가 공급할 예정이며 설치장소는 발표하지 않았음. 이 회사는 국에서 Huadian Corp사와 합작해 620㎿ 발전소를 운영 중임.

 

 ○ 일본 미쓰비시 드웨이 화력 발전 프로젝트

  - 일본 미쓰비시는 태국이 추진하는 드웨이(Dawei) 경제특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조 엔을 투자해 700㎿를 생산하는 대규모 화력 발전소를 건설해 2015년에 가동할 예정

  - 발전소의 20~30%는 천연가스로 작동되며 나머지는 석탄으로 가동할 계획임.

 

 ○ 인도-싱가포르-미얀마 석탄 화력 발전 프로젝트

  - 인도의 Orange Powergen와 싱가포르 회사인 Global Adviser, 미얀마의 Diamond Palace Services는 합작을 통해 Kyauktan 지역에서 500㎿급의 석탄 화력 발전소 건립 추진을 발표함.

 

 ○ 말레이시아 Mudajaya Group사 화력 발전 프로젝트

  - 말레이시아 Mudajaya Group사는 7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만달레이 인근에 500㎿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관련 부서는 언급함.

 

 ○ 인도 타타사 화력 발전 프로젝트

  - 미얀마 전력부는 인도 타타사와 MOU를 체결해 에야와디주 Ngayok Kaung에서 화력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생산 가능 전력량은 F/S후 발표될 예정임. 예상 완공시기는 2019/20년임.

 

 ○ 세계은행-미얀마 화력발전 리모델링 프로젝트

  - 미얀마 정부는 세계은행에서 1억4000만 달러를 차관을 도입해 몬주, 따톤(Tahton) 지역에 설치된 가스 화력발전소의 리모델링 및 노후화된 터빈을 교체할 예정

 

 ○ 미얀마 정부 추진 프로젝트

  - 일본 공업부 장관과 떼인 세인 대통령의 협의로 미얀마에 대표적인 산업공단인 흘라잉따야(Hlaing Thar Yar) 지역에 500㎿의 천연가스 발전소 설립에 동의했다고 알려짐.

  - 미얀마 전력부 관계자는 양곤시 밍글라돈 흘로가(Hlwaga) 지역에 50㎿급의 가스 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이며 건설권과 전력 공급권은 Myanmar Central Power사가 선정됐다고 발표

 

 ② 신재생 에너지

 

 ○ 한국 Chasson사 바이오매스 발전 프로젝트

  - 한국의 Chasson International은 양곤시가 발주한 흘라잉따야(Hlaing Thar Yar)에 위치한 테인 핀(Htein Pin)소각장 7000만에서 1억 달러를 투자해 3년 계획으로 흘라잉따야(Hlaing Thar Yar)에 위치한 테인 핀(Htein Pin)소각장의 쓰레기 800톤을 활용해 30㎿(1년차 12㎿, 2년차 10㎿, 3년차 8㎿)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

  - 이 회사는 양곤시가 발주한 흘라잉따야(Hlaing Thar Yar)의 테인 핀(Htein Pin) 쓰레기 소각장 활용 전력 프로젝트에서 낙찰된 바 있음.

 

 ○ 한국 현대로템 바이오매스 발전 프로젝트

  - 현대 로템사는 현지의 Zeya &Association과 합작해 1억에서 1억2000만 달러를 투자해 2년 계획으로 먀욱더공(North Dagon)에 있는 더웨 차웅(Dawei Chaung)소각장의 쓰레기 600톤으로 15.4㎿의 전력을 생산할 예정

  - 이 회사는 양곤시가 발주한 먀욱더공(North Dagon)에 있는 더웨 차웅 소각장 활용 전력 프로젝트에서 낙찰된 바 있음.

  - 생산된 전력은 양곤시 전력관리부가 단위당 150차트로 구매해 인근 공단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

 

 ○ 태국 Gunkul Engineering 풍력 발전 프로젝트

  - 태국 Gunkul Engineering는 몬주, 꺼인주, 뜨닌따리와 샨주등 7곳에서 전력 2930㎿ 생산 가능한 풍력에너지 발전소 신축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임.

 

 ○ 중국 Three Gorges 풍력 발전 프로젝트

  - 중국 Three Gorges는 친주, 라카인주, 에야와디와 양곤지역에서 전력 1102㎿ 생산 가능한 발전소 신축에 대한 조사 중임.

 

 ○ 태국 Green Earth Power사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 태국 Green Earth Power사는 미얀마 중부지역 마그웨(Magway)주, 민부(Minn Buu)시에 90만7500평의 부지에서 210㎿급의 태양광 발전소를 2억7500만 달러를 투자해 건설할 계획

 

 ○ 미국 AOC Investment사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 미국 AOC Investment사도 만달레이 지역에 태양광 발전소를 개설하기 위해 미얀마 정부와 협의 중으로 알려졌으나 구체적인 규모는 알려진 바 없음.

 

 ③ 수력발전소

 

 ○ KUN 수력 발전 프로젝트

  - 양곤에서 220㎞ 북쪽에 떨어진 Kunchaung강에 위치하며 20㎿의 수직 혼합 발전 3세트를 포함해 총생산 전력은 60㎿이며, 230㎸급의 8㎞ 길이의 송전망과 변압설비를 구축 중임.

 

 ○ Myit Sone 수력 발전 프로젝트

  - 중국 CPI(China Power Investment Corporation)사는 미얀마 카친주, 밋송(Myit Sone)에서 추진하는 6000㎿급의 프로젝트로 과거 군부정권 시기에 설치 협의가 이뤄졌지만, 이후 환경 보호 등의 반대에 부딪혀 Thein Sein 대통령 임기 동안에 중단하기로 결정해 현재는 공사가 중단됨.

  - 최근 전력난이 심화됨에 따라 대규모 발전소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미 상당액을 투자한 중국 측의 불만이 고조됨에 따라 프로젝트를 제기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음.

 

□ 시사점

 

 ○ 최근 신규 투자가 가장 활발한 분야는 화력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화력발전의 주요 연료원인 CNG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것의 대안으로 석탄, 바이오매스(생활 쓰레기), 태양광, 풍력 등를 활용한 발전 투자가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 그동안 환경파괴 등의 이유로 투자가 중단됐던 Myit Sone 수력 발전 프로젝트도 만성적인 전력공급 부족과 중국 측의 지속적인 공사재개 요청 등에 의해 재개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미얀마 전력 프로젝트 확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발전사업자와 정부 간 전력공급 가격 계약이 아직 순조롭지 않아 프로젝트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그러나 전력공급 가격 인상을 위해서는 전기료 인상이 불가피하나 이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여의치 않음.

 

 ○ 미얀마 전력 프로젝트의 순항 여부는 향후 전기료 인상 정도 및 발전사업자와의 계약 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돼 우리 기업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됨.

 

 

자료원: 미얀마 전력부, Eleven Weekly, Myanmar Times 등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발전 프로젝트 최근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