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파키스탄 화장품 시장, 최후의 승자는?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주영도
  • 2012-04-09
  • 출처 : KOTRA

 

파키스탄 화장품 시장, 최후의 승자는?

- 기능성 화장품시장 등 블루오션을 공략하라 -

- 화장품에 대한 인식 전환기 -

 

 

 

□ 화장품과 스킨케어 상품

 

 ㅇ파키스탄 화장품시장 상황

  - 파키스탄 화장품 생산은 나날이 명성을 얻음. 헤어케어 상품과 색조 화장품 두 품목은 현재 가장 높은 수요를 기록함.

  - 파키스탄의 불리한 경제적 환경 때문에 기능성 화장품과 개별 케어 상품의 수요는 2010년 한해 동안 계속 쇠퇴했음. 그 주된 요인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구매력 저하였음.

  - 이러한 고 인플레이션은 상당수 파키스탄 국민의 소비력을 제한했고, 그 결과 기초화장품과 저가 상품 정도만 주로 구입하게 됐음.

  - 다국적 기업이 전통적 미와 개별 케어상품들을 능가하는 대안품으로 부가가치적인 상품들을 제공할지라도 이러한 화장·미용품들은 경제가 안 좋아질 때 사치품으로 비춰지기 마련임.

  - 다국적기업이 내놓은 좀 더 비싼 화장품과 개별 케어 상품에 대한 수요는 높은 가격 때문에 파키스탄 소비자의 외면을 받음.

  - 만약, 현 경제상황이 지속된다면 기능성 화장품과 개별 케어상품의 성장은 심각하게 정체될 것임.

 

 

□ 미용, 개별 케어상품에 있어서 국제적인 지배력 지속

 

 ㅇ 다국적기업 VS 토종브랜드

  - 국제적인 브랜드는 파키스탄에서 화장품과 개별 케어시장을 지배함. 반면에 자국 브랜드는 하락세를 면치 못함.

  - 파키스탄 국내 브랜드는 대개 특정 범주에 제한된 특정제품을 제공하는 반면, 다국적기업 브랜드는 좀 더 넓은 범주의 제품을 가지고 더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제공함.

  - 자본과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적인 차이가 성과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됨.

  - 파키스탄 국내 제조업자들은 투자 자본이 제한적이며 계속해서 고급 화장품 시장을 지키기 어렵다는 사실과 국제적인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해 그들의 생산품을 위해 공공 캠페인에만 매달릴 수도 없음을 알고 있음.

  - 그러므로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없으며 상당수의 상품들이 고객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에 어려운 것이 현실임.

  - 그러는 동안 국제적 브랜드는 고도의 전문성으로 이윤 최대화를 실현했으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투자를 장려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연결망을 구축했음.

 

 

 

□ 파키스탄 전역으로 퍼진 화장품 생산품의 가시적 성과

 

 ㅇ 카라치, 이슬라마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훼이자라바드, 페샤와르, 하이더라바드와 같은 파키스탄의 도시인구 대다수는 개별집중 케어상품, 미용전반 상품의 주요 소비자임. 그러므로 대형 슈퍼마켓등의 형식을 이용한 더욱 효율적인 소매 유통채널이 인기를 얻음.

 

 ㅇ 그러나 유니레버, 프로텍터 앤 갬블, 존슨 앤 존슨, 골게이트 팔머리브 등과 같은 다국적 회사는 상품성과 브랜드 파워로 파키스탄 전역에서 수요가 증가함을 인식해 시장을 넓혀감.

 

□ 효과적인 광고와 마케팅 효과

 

 ㅇ 다국적 기업의 국제적 브랜드 화장품이 파키스탄에서의 특정층 공략 상품과 브랜드 파워를 내세워 수요를 지속시킨다는 것은 분명함.

 

 ㅇ 상품성 검토기간이 끝나면 광고에 더욱 투자를 하는 국제적 브랜드의 미용·개별집중 케어 화장품은 파키스탄에서 더 높은 수요를 창출할 것임.

 

 ㅇ 다국적 브랜드는 개별 집중 케어를 비롯한 미용 전반적인 상품판매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할 것이며, 이는 이전에 특정 미용품에서만 두각을 나타내던 파키스탄 국내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을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함.

 

□ 시사점

 

 ㅇ유통 망 확보와 브랜드 전략 필요

  - 최근 몇 년 전까지 대다수 파키스탄인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었으나 다국적 기업들의 진출로 서서히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넓혀감. 이는 곧, 또 다른 수요층이 서서히 형성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음.

  - 품질이 뛰어난 우리 기업이 현지 유통업체와 신뢰에 기반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면 충분히 파키스탄의 대도시 위주로 진출이 가능하다고 판단됨.

  - 중저가 이미지를 탈피하고 현지인들에게 고급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브랜드 전략으로 진출한다면 향후 수출 전선에 청신호가 될 것임.

 

 

자료원: Khaleej Times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화장품 시장, 최후의 승자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