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안전주행의 대명사 中, 에어백시장 초기에 공략하자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9-12-11
  • 출처 : KOTRA

 

안전주행의 대명사 中, 에어백시장 초기에 공략하자

- 자동차 수요 지속 증가, 에어백시장 수요 확대로 이어질 전망 -

 

 

 

1. 시장동향

 

 ㅇ 중국 에어백업계 현황

 

 

  - 에어백은 자동차 안전시스템 중 높은 기술수준이 요구되는 분야로 주로 자동차 내부의 전, 후, 측면에 장착돼 교통사고 발생 시 완충역할을 하며, 충격 흡수를 통해 상해를 최소화하는 장치(영문표기 SRS : Suppℓementaℓ Infℓatabℓe Restraint Syste)

  - 에어백시스템은 충돌감응신호장치, 컴퓨터처리기, 기체발생기, 완충에어백 등으로 구성되며 연구결과에 의하면 에어백을 장착하는 경우 교통사고 사망률을 대형 자동차 30%, 중형 자동차11%, 소형 자동차는 14% 경감 가능

  - 에어백은 미국시장에서 최초로 등장해 유럽, 일본, 한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80년대 말 중국시장으로 유입돼 중국의 에어백에 대한 연구와 보급은 이 시기에 맞춰 진행됨.

  - 중국 에어백시장은 발전속도는 빠르나 기술력과 생산력이 많이 부족한 편이며, 핵심기술 역시 해외기술 도입에 의존함.

  - 에어백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국가의 안전규정, 자동차 생산량, 에어백 적용 자동차 수, 자동차 1대당 장착 에어백 수량의 4가지 요소로 나뉘며 국가 안전규정과 자동차 생산량이 중국 에어백시장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요소임.

  - 최근 중국은 경제발전에 따라 자동차 생산량과 구매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자동차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에어백 수요 역시 증가 중

  - 현재 자동차 안전시스템은 연평균 25%의 급성장세를 보이며, 중국 자동차 관련 전자기기 영역에서 가장 많은 수요를 창출

 

 ㅇ 에어백시장 정책환경 분석

  - 중국정부는 자동차소비 촉진을 위해 주로 배기량 1.6ℓ 이하 자동차 구입세 50% 면세, 자동차 구입 농민에게 일정 비용 보조, 구·신제품 교환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뚜렷한 성장률을 보임.

  - 2009년 1~10월 배기량이 1.6ℓ 이하인 자동차 판매량은 570만 대로 동기 대비 63.2% 증가했으며, 2009년 현재까지 농촌의 자동차 구매량은 200만 대를 돌파해 동기 대비 80% 성장률을 보임.

   

2004~08년 중국 자동차 생산량 추세

 

  - 특히 2000년 중국정부는 ‘정면충돌 탑승인원 보호디자인법칙’이라는 법규를 발표하면서 자동차의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 강화함.

  - 2006년 7월에는 자동차 안전에 관한 국가강제표준인 ‘자동차 측면 충돌 시 탑승인원 보호’와 ’자동차 후면충돌 액체연료시스템 안전요구’가 정식 시행됐으며, 상기와 같은 기본 안전강화에 대한 정책적 요구의 강화와 시행이 향후 중국 에어백시장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ㅇ 에어백 시장수요 및 사용현황 분석

  - 중국 에어백시장은 아직 성장기이며, 관련 정책 및 법규의 시행과 더불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생산량이 에어백시장의 원동력으로 작용

  - 2006년 자동차 안전제품의 총 수요량은 2004년 대비 2배 규모로 증가했으며, 2004~07년 중국의 에어백 시장수요는 평균 35%의 성장률을 보임.

   · 2004년 중국의 에어백 생산량은 209만 세트,2005년은 생산량 255만 세트로 동기 대비 22% 성장했으며, 에어백에 대한 누계 수입량 규모도 꾸준한 증가추세로 2006년 말까지 131만 세트, 총 금액은 1만2457만 달러에 달함.

   

2004~08년 중국 자동차에어백 수요추세

 

  - 이렇듯 에어백시장은 이미 크게 발전했으나, 보급에 있어서는 아직 성장단계임.

  - 중국에 에어백이 장착되지 않았거나 하나만 장착되는 배기량 1.6ℓ 이하 소형자동차의 비중이 매우 높고(2006년 62.7%), 여태까지 국가의 강제적인 장착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에어백 보급이 늘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

  - 향후 강제적인 안전정책 실시와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고급 및 중대형 자동차를 중심으로 에어백 보급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

 

2. 경쟁 및 수입동향

 

□ 에어백시장, 수입제품 점유율 높아

 

 ㅇ 중국은 에어백 생산 기술력이 아직 부족하고 핵심기술은 해외에 의존하는 상황으로 기술 요구가 높은 에어백ECU,방향 및 속도 감응신호장치, 기체발생기 등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하거나 기술을 도입해 생산하며, 2007년까지 상기 국산제품들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10%에 못미침.

  -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시장점유율도 상승하고 있으나 외국브랜드가 중국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

  - 중국합자업체에서 생산한 자동차는 대부분 해외브랜드 에어백을 구매,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 국산 에어백은 주로 국산 자동차에 부대장착으로 사용됨.

 

 ㅇ 경쟁력있는 해외 에어백 생산업체들이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에 독자 혹은 합자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음.

  - 일본 盧森공업주식회사가 총 17억 위앤을 투자해 芦森科技(無錫)유한공사를 설립, 중국 현지에서 에어백을 생산하고 미국 INVISTA사는 중국에서 가장 큰 에어백 섬유생산업체를 설립함.

 

□ 시장점유현황 및 주요 제조업체

 

 ㅇ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에어백의 경우 기술력 부족으로 국내업체와 해외업체 간의 차이가 있으며, 2007년까지 외국 브랜드제품이 중국 에어백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했으나 최근에는 중국 국산 생산업체들의 기술력과 생산력이 대폭 성장해 시장점유율도 크게 향상, 무서운 속도로 성장 중

  - 중국시장에서 지명도가 높은 외국업체는 주로 일본 TAKATA그룹,  스위스 Autoℓiv,  미국 TRW그룹, 미국 Key Safety Systems Ins 등

  - 대표적인 국내 생산업체는 錦州錦恒, 東方久樂, 沈陽和昌華寶 등

 

□ 수입통계

 

HS Code 8708.9500 : Safety air-bags with infℓater system; parts thereof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07

2008

2009(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34

-

351

5.0

274

-10.7

1

독일

76

-

71

9.6

68

9.4

2

일본

64

-

81

5.4

64

-7.5

3

미국

56

-

58

3.8

33

-34.6

4

멕시코

27

-

39

42.6

30

-10.6

5

한국

37

-

27

-28.6

23

-0.1

6

프랑스

15

-

23

53.3

14

-31.9

7

태국

9

-

9

4.5

8

-4.6

8

루마니아

11

-

2

32.7

6

363.1

9

스웨덴

8

-

9

8.8

6

-27.4

10

폴란드

5

-

9

-15.2

5

-45.4

자료원 : www.kita.net

 

 ㅇ 총 수입액은 평균 2.8%의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2009년 1~10월 총 수입액은 2억7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함.

 

 ㅇ 수입량 감소원인은 두 가지로 먼저 중국업체의 관련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국산제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해외업체들이 중국에서 독자 혹은 합자 형식으로 생산업체를 설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 한국산 제품 사용현황

 

 ㅇ 중국 에어백 주요 수입국가는 독일, 일본, 미국, 멕시코 등이며, 한국은 5위를 차지함.

  - 수입액은 2008년에 2700만 달러, 2009년 10월까지는 2300만 달러에 달함.

 

 ㅇ 다른 외국업체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에어백 혹은 부품 생산공장을 설립해 제품을 중국시장에 공급하는 한국업체도 있음.

  - 한국 현대 Mobis 주식회사의 경우, 심천 航盛전자유한공사와 협력해 공장을 설립한 후 자동차 에어백을 생산

 

3. 진출방안 및 관세·비관세 장벽

 

□ 진출방안

   

 ㅇ 중국시장에 맞는 제품 생산

  - 유럽과 미국에서 수입된 에어백은 도로현황, 체형, 운전습관 등의 차이로 인해 중국시장과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음. 중국시장에 진출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조사를 통한 중국시장에 맞는 제품 생산이 요구됨.

 

 ㅇ 중국에서 독자 혹은 합자공장 설립

  - 중국의 에어백 수입량은 점차 감소추세를 보임.

  - 수입 에어백의 가격이 너무 높아 자동차 생산업체들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중국산 제품이 수입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 경쟁력이 강함.

  - 따라서 중국에서 공장을 설립해 생산하면 원가를 낮추고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보임.

 

 ㅇ 에어백뿐만 아니라 연관부품인 에어백 ECU, 방향 및 속도 감응신호장치, 기체발생기 등 제품에 대한 중국업체의 기술력이 아직 많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부품업계시장에서 조기 시장진입을 고려하는 것도 시장점유율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됨.

        

 □ 관세 및 비관세 장벽

 

 ㅇ 특별한 수입규제정책은 없으나 중고 에어백은 수입금지품목임.

 

제품명

자동차 에어백

HS Code

8708.9500

단위

관세

10%

증치세

17%

 

 

자료원 : KOTRA 칭다오KBC 자체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안전주행의 대명사 中, 에어백시장 초기에 공략하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