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액세서리시장, 5억의 여심을 잡아라
  • 트렌드
  • 중국
  • 우한무역관
  • 2009-08-31
  • 출처 : KOTRA

 

中 액세서리 시장, 5억의 여심을 잡아라

- 경제성장과 함께 여성 액세서리 소비 증가 -

 

 

 

□ 중국 여성 액세서리 시장현황 및 전망

 

 ○ 중국의 여성 액세서리 시장은 8~55세에 걸쳐 약 5억 명의 소비자가 있음. 2008년 소비금액은 200억 위앤에 달하는 등 시장규모가 거대함. 2015년에는 시장규모가 1000억 위앤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함.

 

 ○ 중국 국내 액세서리 기업 현황

  - 중국의 액세서리산업은 초기단계이며, 광동성, 절강성, 산동성이 3대 생산지임.

  - 현재 중국 내 1만 여개의 생산기업이 있으나, 선도기업이 없으며 시장점유율이 3%를 넘는 기업이 없음. 브랜드 프로모션과 자가 시장개척 능력을 갖춘 기업은 더욱 희소함. 브랜드 창출 능력 및 시장 마케팅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황임.

 

지역별 특징

지역

기업 특징

광동성

홍콩 스타일 위주

절강성, 복건성

외국 대형기업의 OEM 위주

청도

대부분 한국 공장, 부품 수출 등

자료원 : 中

 

중국 국내 액세서리 매출 10대 기업

순위

기업

비고

1

新光

중국 유명 브랜드

2

呀呀

홍콩 틴에이지 걸 패션용품 체인점

3

头记

보석업계 중 중국 특색을 가장 많이 갖춤

4

千姿

한국 수입품의 국내 총 대리상

5

유행 트렌드 반영

6

周大福

홍콩 유명 브랜드, 1929년 설립

7

金得利

중국 유명 브랜드

8

She's

유럽 풍, 18~40세 타깃

9

晶晶

대만 최대 장신구 기업

10

伊泰

홍콩의 대형 수정 제조상

자료원 : 中

 

 ○ 수입 액세서리 브랜드 현황

  - 고급 액세서리 시장은 구미 브랜드가 석권하고 있음. 대표적으로 Cartier, GUCCI, TIFFANY, CHANEL, BVLGARI, SWAROVSKI 등이 있음.

  - 중저가 액세서리 시장은 한국과 일본 브랜드가 대세를 이루고 있음. 대표적으로 Windy girl, 4Style, Lucias, Pinky girls, Lad Musician 등이 있음.

  - 중국 소비자들이 구매시 가장 고려하는 점은 브랜드의 국가임. 한국과 일본의 제품은 중국의 직장여성부터 소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비자의 신뢰를 받고 있음.

 

자료원 : 中

 

국가별 대표 제품 및 가격

국가

제품

사 진

도매가격(위앤)

한국

귀걸이

55

머리핀

22

목걸이

80

일본

비녀

65

목걸이

68

귀찌

28

중국

목걸이

29

머리핀

56

구미

목걸이

130

귀걸이

23

자료원 : 阿里巴巴

 

□ 소비자 분석

 

 ○ 최근 10년 이래 10위앤 안팎의 팬시형 액세서리를 판매하는 상점은 계속 증가함.

 

 ○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기존에 거리에서 이뤄지던 일반적이고 값싼 액세서리 구매에서 고급 액세서리 구매로 전환됨.

  - 고가 액세서리에 접근하지 못하는 중간 구매층을 위한 준고급 액세서리 시장도 활기를 띰.

 

액세서리 선택 시 주안점

 

액세서리 구매 이유

 

액세서리 이해 경로

자료원 : 中兴产业资讯

 

□ 판매경로 및 중국 진출 관련

 

 ○ 중국 내 액세서리시장의 경우, 지역 간 시장발전이 고르지 않음. 판매경로 또한 지역 간 차이가 큼.

 

도시 유형

주요 판매경로

비고

전국형 도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액세서리 전문숍

액세서리 소비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전문 브랜드숍 증가

지방 대도시

대형상가 내 전문판매구

소형 액세서리 전문점

대형상가 내에 전문 판매구역이 있어
각종 액세서리가 한 데 모여 있음.

중소도시

선물용품점 등

영세 상점의 저렴하고 평범한 액세서리 위주,
최근 대도시형 판매양식을 닮아가고 있음.

자료원 : 中兴产业资讯

 

 ○ 최근 중국 액세서리 시장의 판매경로는 전통적인 생산자 주도형 도소매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전국에 포진된 전문 브랜드숍 및 수많은 체인점으로 대변되는 소비자 주도형 다경로 구매방식으로 변모함.

  - 기존의 도소매 상가 및 영세 상점을 통한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크게 전망되지는 않으나, 한동안 지속될 예정임.

 

 ○ 한국브랜드의 양호한 선호도에도 불구하고, 한국제품의 중국 진출에 있어 큰 장애는 관세 및 부가세, 물류비용, 매장입점비 등 현지 유통까지 소요되는 제반 비용에 있음.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지 생산거점 확보, 우수 유통상 발굴 등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자료원 : 中, 中兴产业资讯, 인터넷검색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액세서리시장, 5억의 여심을 잡아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