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산업뉴스콕콕 8호] 화장품 산업
  • 산업뉴스콕콕
  • KOTRA 본사
  • 본사 조혜인
  • 2025-05-22
  • 출처 : KOTRA

자외선 제품 수요 높아진 인도, K-뷰티 관심도 높아져

한국 화장품, 영국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성장

세계 최대 시장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 수출 1위 달성

화장품 산업2025년 5월 26일|8호
K뷰티 열풍이 뜨겁습니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수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곳곳에서 한국 화장품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102억 달러를 기록했는데요.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치입니다. K뷰티의 활약에 대해서 K팝과 K드라마 인기에 수혜를 입었으며, 제품 협찬을 통한 판매가 효과를 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 화장품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피부에 스며드는 한류, 인도 뷰티 시장이 움직인다
인도는 소비자 1인당 화장품 지출은 낮지만, 시장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최근 인도에서는 소비자들이 자외선 차단 제품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데요. 이에 따라 자외선차단지수(SPF)가 높은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증가했습니다. 인도의 소득 증가와 함께 소비 패턴이 달라지며, 트렌드도 바뀌었습니다. 저가 제품만 찾던 과거와 달리, 프리미엄 브랜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영국에서 통하는 K-뷰티 전략 파헤치기
지난해 영국의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56% 증가했습니다. 전체 화장품 수입액은 감소한 반면, 한국 화장품만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한국 화장품은 기초부터 메이크업 제품까지 전 품목이 인기인데요. 제품에 대한 정보는 K- SNS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인기 비결 중 하나는 제품 특성이 최근 영국의 뷰티 소비 트렌드와 정확히 맞아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미국에서 제2의 전성기 맞은 K-뷰티
세계 최대 미국 화장품 수입 시장에서 한국이 프랑스를 제치고 선두에 올랐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K-뷰티 붐을 일으킨 지 10여 년 만에 이룬 성과입니다. 마스크팩, BB크림, 달팽이크림 등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K-뷰티의 존재감을 확립했습니다. 온라인 유통 채널 확대와 아마존 플랫폼의 효과적인 활용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꼽힙니다.
2024년 UAE를 강타한 7가지 메이크업 트렌드
UAE 소비자들은 메이크업 제품의 성분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효과를 매우 중시합니다. 이에 UAE 시장 진출 시에는 메이크업 세트를 통해 원하는 분위기를 완성할 수 있는 제품군을 제안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신제품 구매 시 SNS나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참고하는 경향이 강해 아랍어권 문화에 맞춘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이 중요합니다.
중국 뷰티 시장 전환기, 게임 체인저를 찾아라!
몇 년간 중국 화장품 시장은 소비 구조 변화, 미적 가치관 상승, 위에지(나를 위한 소비) 의식 강화에 따라 성장해왔습니다. 그러나 시장 포화와 소비자 수요 다변화로 이제는 '조정과 전환'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는 '감성 경제'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화꾸'와 한국 화장품, 일본에서 기회를 잡다
일본에서 '화꾸(화장품 꾸미기)'라는 트렌드가 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화장품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패션 액세서리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 한국 아이돌 메이크업을 체험하기 위해 메이크업 샵을 방문하고, SNS에 공유되면서 자연스럽게 유행이 확산 중입니다. 한국 화장품은 기능성을 넘어 일본 소비자들에게 트렌디한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산업뉴스콕콕 8호] 화장품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