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산업·품목 심층 분석] 희토류 공급망의 새로운 축, 호주: 공급망 재편의 중심에 서다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호주
  • 강예지
  • 기업명 :
  • 2025-07-04
  • 출처 : KOTRA

 

  산업·품목 심층 분석

호주, 희토류 희토류 공급망의 새로운 축, 호주: 공급망 재편의 중심에 서다

2025년,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은 지정학적 긴장의 소용돌이 속에 있다. 미-중 무역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 세계 국가들은 희토류 공급망의 다변화를 통해 산업 안정성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지난 호에서는 채굴부터 생산까지 희토류 공급망의 모든 단계를 수직적으로 통합해낸 중국의 희토류 공급망을 살펴보았음. 이번 호에서는 희토류 공급망에서 제한적인 역할에 머물러 있던 호주의 현주소와 호주 정부의 전략적인 비전을 살펴보고자 함

 호주 희토류 공급망 발전: 현재와 미래

호주 희토류 산업은 업스트림에 집중되어 있어 채굴 단계에서는 경쟁력이 있으나, 정제·가공 및 생산 단계에는 참여율이 낮음. 호주 정부는 호주 희토류 시장 규모를 키워 현재 중국 중심의 공급망에서 호주산 희토류가 선택가능한 대안으로서 활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희토류 공급망에서 중국과 호주의 점유율

 

 

▶ 현재 호주는 채굴 단계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11%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제·가공 단계에서의 점유율은 8%로 참여가 제한적임. 분리, 희토류 자석 제조 및 제품 생산 단계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의 참여를 하지 못하고 있음 * 2024년 기준 호주의 희토류 생산량은 1만 3천 톤으로 세계 2위이며, 중국(1위)의 생산량은 27만 톤임(USGS) ▶ 호주 정부는 2030년까지 희토류 공급망에서 역할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 채굴 단계에서의 점유율을 15%로 확대하고, 정제·가공 단계에서는 20%, 분리 부문에서는 15%, 자석 제조 단계는 5%대 점유율로 진입하여 상업 생산에 도전할 예정임

 

 호주 핵심광물 전략과 국내 첨단 제조업 육성 정책 2023~2030 호주 핵심광물 전략(Critical Minerals Strategy 2023-2030) ▶ 호주는 2023.6월, 핵심광물 부문 성장을 위한 정부 전략 보고서 「2023-2030 핵심광물전략」을 발표하여 2030년까지 핵심광물 부문의 목표를 선정함 국내 첨단 제조업 육성 정책(A Future Made in Australia) ▶ 2024년 5월, 호주 정부는 향후 10년간 핵심광물 가공 분야를 포함한 국내 첨단 제조업 육성 정책에 227억 호주 달러(약 20.4조 원) 투입 계획을 발표함 ▶ 이를 통해 국제 사회의 자국 첨단 제조산업 보호 기조에 맞춰 핵심광물 및 제조 공급망 분야에 정부가 적극적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 표명 


희토류는 전기차·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반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임. 호주 정부는 위의 국가 전략 및 정책을 통해 현재 업스트림에 집중된 자국의 희토류 공급망을 발전시킬 수 있음. 또한 호주 내의 희토류 프로젝트(칼굴리, 더보, 브라운스 레인지 등)에 대규모 공적 자금과 세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공공 투자와 민간 자본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적 토대가 됨

 

호주 유일의 희토류 광산: 마운트 웰드 


호주 유일의 희토류 광산: 마운트 웰드 호주 서부에 위치한 마운트 웰드 광산은 현재 호주에서 유일하게 희토류를 생산하는 광산이며, 호주 희토류 기업 라이너스가 운영하고 있음. 이 광산은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매장지 중 하나로, 2011년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하여 지표면에서 60미터 이내의 얕은 깊이에 고품위의 희토류 광석이 매장되어있어 채굴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음


▶ 마운트 웰드 광산에서 채굴된 희토류는 말레이시아 쿠안탄의 정제시설로 운송되어 처리되며, 일부는 2024년 개장한 서부 호주 칼굴리 처리 시설에서 1차 가공을 거침. 그러나 최종 분리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은 해외에 의존하고 있음. ▶ 현재 칼굴리 시설에서는 완전히 분리된 희토류 산화물은 생산하지 않고 있음. 마운트 웰드에서 채굴된 희토류 농축물은 혼합 탄산염 형태로 생산되어 말레이시아 정제소에 보내짐. 말레이시아 쿠안탄 정제소에서는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등 고부가가치 희토류 산화물을 분리하고 있음 

î 라이나스社 정제소 비교 자료: Lynas 라이나스는 마운트 웰드에서 채굴한 희토류를 세 개의 정제소에서 가공하는 글로벌 공급망 모델을 구축함. 각 정제소는 서로 다른 역할과 목적을 가지고 있어 상호 보완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 쿠안탄 정제소: 대량 생산의 중심 말레이시아 쿠안탄에 위치한 정제소는 라이나스의 핵심 생산기지로서, 연간 10,500톤의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중국 외 희토류 정제소임. 쿠안탄 정제소는 2025년부터 중희토류 상업 생산을 시작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며, 특히 디스프로슘과 테르븀의 분리 생산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중국 외 지역에서 최초임 구분 말레이시아 쿠안탄 정제소 호주 칼굴리 정제소 미국 텍사스 정제소 위치 말레이시아 쿠안탄 호주 서부 칼굴리 미국 텍사스 시드리프트 운영 시기 2012년~ 2024년 6월~ 2026년 운영 예정 총 투자 비용 8억 호주달러 (약 7,100억 원) 8억 호주달러 (약 7,100억 원) 4.42억 호주달러(미국 정부 지원) (약 4,000억 원) 연간 생산 용량 (생산물) 10,500톤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9,000톤 (혼합 희토류 탄산염) 1,250톤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중희토류 생산 연간 1,500톤 없음 중희토류 분리 능력 포함 주요 처리 공정 크래킹-리칭-용매추출-분리 크래킹-리칭 분리-정제 최종 생산품 희토류 산화물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터븀 등) 혼합 희토류 탄산염 희토류 산화물 전략적 목적 대량 상업 생산 호주 내 중간 가공 공급망 다변화 및 경제 안보


칼굴리 정제소: 호주 내 가공 능력 강화 칼굴리 정제소는 호주 내 희토류 가공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시설로서, 연간 9,000톤의 혼합 희토류 탄산염을 생산할 수 있음. 올해부터 연간 12,000톤의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산화물 생산을 목표로 하며, 이를 약 20년간 유지할 계획임. 향후 호주 내에서 더 많은 하류 공정을 담당할 전망이므로, 칼굴리 정제소는 중국 외 지역의 희토류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제3자 공급업체의 농축물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호주 희토류 산업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예정임 텍사스 정제소: 전략적 안보와 공급망 다변화의 핵심 텍사스주 시드리프트(Seadrift)에 건설 중인 라이나스 정제소는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구조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전략적 의미가 있음. 첫째, 현재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희토류 공급망에 대한 대안임. 디스프로슘과 테르븀 같은 중희토류는 전기차 모터와 풍력발전기뿐만 아니라 미사일, 전투기 등 첨단 무기에 사용되므로, 중희토류 공급망의 다변화는 산업 안정성 제고와 국가안보 강화에 필수적임. 특히, 호주와 긴밀하게 핵심광물 협정을 맺고 있는 미국의 희토류 공급망 강화 및 국가안보 강화를 위한 전략이기도 함. 둘째, 현재 말레이시아에 집중된 라이나스의 정제 능력을 지리적으로 분산시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함임. 기타 주요 희토류 프로젝트 호주 전역에는 다양한 희토류 프로젝트들이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있음 프로젝트명 위치 총 희토류 산화물 매장량(TREO) 가동 시기 비고 Nolans 노던 테리토리, Alice Spring에서 북쪽으로 135km 5,600만 톤 (약 2.6% TREO) 2025년 전후잠정 -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비중 높음, - 인근 인프라 우수, - 인광석·우라늄·토륨 부존 Yangibana 서호주 가스코인, 카나본 북동쪽 250~270km 2,093만 톤 (약 0.9% TREO) 2025년 중 잠정 -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비중 세계 최고 수준 (최대 52%) - 혼합 희토류 탄산염(Mixed Rare Earth Carbonate, MREC) 생산 Browns Range 서호주 북부 380만 톤 (약 2.6% TREO) 파일럿 생산 중 - 중희토류, 특히 디스프로슘 비중 높음 - 고순도 중희토류 생산 - 개방형 및 지하 광산 Dubbo 뉴사우스웨일스 주, 더보 인근 1,890만 톤 (약 0.735% TREO) 건설 준비 (승인 완료) - 희토류·지르코늄·니오븀·하프늄 등 복합 광물 매장 - 고순도 금속·합금 생산 

 

 호주 희토류 공급망의 과제 호주 희토류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imarc 그룹에 의하면 호주 희토류 시장 규모는 2024년 348.32백만 달러에서 2033년까지 1,101.3백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연평균 12.2% 성장률을 의미함. 호주 정부는 희토류 등 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정성을 위해 대규모 투자, 세제 지원,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임. Benchmark Mineral Intelligence는 호주 정부의 전략적 지원을 통해 호주가 단순한 원료 공급국을 넘어 정제·분리 등 중간 단계까지 공급망을 내재화하고, 글로벌 신뢰를 얻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함. 특히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 지원은 호주 내 가공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능력 확대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중심의 희토류 공급망 구조를 다변화하고, 서방 동맹국들에게 신뢰받는 대안 공급원으로 호주를 격상시킬 전망임 하지만 호주 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와 한계도 분명함. 전문가들에 따르면, 서방 국가의 희토류 가공 비용은 중국 대비 3배 이상 높고, 기술력과 인프라,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완전한 수직통합 공급망 구축에는 여전히 장애물이 많음. 또한, 정부 지원이 주로 가공 중간 단계에 집중되어 있어, 자석 제조 등 고부가가치 하류 단계로 진입이 제한적임. 시장 변동성과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의 지속가능성 확보 역시 중요한 과제임 î 출처 · Hilliard, M. (2023, July 23). UWA. https://defenceuwa.com.au/publications/policy-briefs/between-a-rock-and-a-hard-place-a-risk-analysis-of-australiasrare-earth-supply-chain-strategy/ · Cachia, clive . (2023, July 12). The National Law Review. https://natlawreview.com/article/australia-s-pitch-net-zero-future-critical-minerals-strategy · Mining Technology. (2024, November 11). https://www.mining-technology.com/news/lynas-opens-australias-first-rare/ · Lynas. (n.d.). Lynas. https://lynasrareearths.com/mt-weld-western-australia-2/ · Chater, J. (2025, April 25). BBC. https://www.bbc.com/news/articles/c86je4vyg36o · (2025, May 16). Mining.Com. https://www.mining.com/lynas-becomes-first-producer-of-heavy-rare-earths-outside-china/ · Zadeh, J. (2025, June 15). Discovery Alert. https://discoveryalert.com.au/news/rare-earth-market-geopolitical-tensions-2025/ · KOTRA. (n.d.). 2024 호주 핵심광물 프로젝트 동향. Global Market Report, 24(019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