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가 선정한 공급망 이슈] 중국, 제조업 중국 제조업 PMI 세달째 기준치 미만… 제조업 경기 위축 우려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중국
- 강예지
- 기업명 :
- 2025-07-04
- 출처 : KOTRA
-
중국 제조업 PMI 세달째 기준치 미만… 제조업 경기 위축 우려
AI가 선정한 이슈
2025.6.23일부터 30일까지의 공급망 관련 이슈를 종합 분석한 결과, 6.3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하락을 전략적 중요도가 높은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Q.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하락이 우리 기업에 시사하는 점은? A. ▶ 중간재 수출 타격 우려 한국은 대중국 수출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므로, 중국 제조업 부진은 반도체, 화학, 철강 등 주력 중간재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장비, 디스플레이 부품, 석유화학 제품 등의 수요 감소가 예상됩니다. ▶ 공급망 다변화 기회 확대 중국 제조업 부진은 한국 기업에게 공급망 다변화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의존 도를 줄이려는 움직임 속에서 한국이 대안적 공급기지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 원자재 조달 구조 재검토 필요 중국이 글로벌 원자재 가공의 허브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 중국 제조업 부진은 원자재 공급망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중국 PMI 지표 더 알아보기
중국 국가통계국은 6월 제조업 PMI가 5월보다 0.2p 상승한 49.7로 집계됐다고 발표함. 전달보다는 소폭 상승했으나, 석 달 연속 기준선(50)을 하회함. 블룸버그는 6월 중국 제조업 PMI에 대해 미-중 간 관세 90일 유예 조치가 실제로 중국 제조업 현장에 미친 영향을 처음으로 완전히 반영한 경기지표라고 해석함. PMI가 전달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이 경기 개선의 조짐일지, PMI가 3달째 기준치를 하회한 것이 구조적 불확실성의 지속일지 주목할 필요가 있음 중국 PMI 지수 하락 및 상승 사례 ▶ 2015년 8~9월, 중국 제조업 PMI는 49.7로 하락하며 경기 침체 신호를 보임. 이는 2014년부터 이어진 철강 산업의 과잉 설비와 부동산 경기둔화가 제조업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함. ▶ 2020년 11월, 중국 제조업 PMI는 52.1로,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음. 코로나19 상황에서 중국은 경제활동을 재개하여 내수와 생산이 빠르게 회복했으며, 제조업 전반에서 강한 확장세를 보임. ▶ 2021년 8~9월, 코로나19 델타 변이의 확산 및 에너지 공급 제한으로 중국 제조업 PMI는 49.2로 하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