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품목 심층 분석] 중국 희토류 공급망: 채굴에서 정제, 생산까지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6-19
- 출처 : KOTRA
-
희토류는 주기율표상 란타넘족 15개 원소와 스칸듐, 이트륨을 포함한 화학원소를 통칭하며, 이들은 자기적·광학적 특성이 뛰어나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임. 희토류 자석은 이러한 희토류 원소(특히 네오디뮴, 사마륨 등)를 철, 코발트 등과 합금하여 만든 매우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일반 자석보다 강한 자기장을 생성하며 전기차, 스마트폰, 풍력발전기 등 다양한 첨단기기에 널리 사용됨
↘ 중국 희토류 공급망: 완전한 밸류체인의 내재화
중국 희토류 산업의 가장 큰 특징은 “밸류체인의 완전한 내재화”이다.
중국은 희토류의 탐사·채굴·정제·생산·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자국 내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
중국 희토류 광산은 북부와 남부로 분포가 뚜렷하며, 광산 인근에 정제·제련 및 가공시설이 집적된 산업 클러스터가 존재한다
* 단위: 톤
순위
국가
매장량(톤)
생산량(톤)
1
중국
44,000,000
270,000
2
브라질
21,000,000
20
3
인도
6,900,000
2,900
4
호주
5,700,000
13,000
5
러시아
3,800,000
2,500
-
기타
9,484,500
101,580
합계
90,884,500
390,000
자료: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2025)
▶ 2024년 중국의 희토류 매장량은 약 4,400만 톤으로, 이는 전 세계 매장량의 약 절반에 해당하며, 생산량은 27만 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함
▶ 2024년에는 중국 쓰촨성 량산 지역에서 약 500만 톤 규모의 신규 매장지가 추가로 발견되어, 기존의 우위를 강화함
▶ 중국에는 내몽골, 장시성, 쓰촨성, 푸젠성 등 아래와 같은 주요 광산지대가 있음
- 중국에 희토류가 많은 이유
▶ 이온 흡착형 희토류 광상
중국 남부 지역, 특히 윈난성과 장시성 등은 풍화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 점토광물에 희토류가 이온 형태로 흡착되는 ‘이온 흡착형 희토류 광상’이 형성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음. 이러한 광상은 일반적인 광석 형태보다 채굴과 추출이 용이하며, 중국 남부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음
▶ 다양한 지질 구조
중국은 대륙이 넓고 지질 구조가 다양해 많은 종류의 희토류 광상이 존재하며, 장시성 등 일부 지역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중희토류 매장지임
1. 북부의 경희토류 광산: 내몽골 바오터우의 바이윈어보
- 북방희토그룹이 주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경희토류 광 산으로, 중국 전체 희토류 매장량의 83.7% 이상,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37.8%를 차지
-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란타넘, 세륨 등 경희토류가 집 중적으로 매장
2. 남부의 중희토류 광산: 장시성 간저우, 푸젠성 등
- 주로 이온 흡착형 중희토류 광상으로, 국방·항공·첨 단산업에 필수적인 디스프로슘, 터븀 등 중희토류가 집 중적으로 매장됨
- 장시 간저우 일대는 ‘희토류 왕국’으로 불리며, 세계 중희토류 공급의 90% 이상을 담당
↘ 중국의 희토류 산업고도화 정책(2009~)과 희토류 생산
- 중국은 2009년부터 희토류 전문 발전계획을 제정, 시행하여 희토류 산업체계 정비 및 고도화 발전을 촉진
연도
법규/정책
내용
2009년
2009~2015년 희토류 산업 발전계획
- 희토류 수출 총량 통제강화
- 미가공 희토류 광물의 수출금지
- 산업구조조정, 기업 통폐합 촉진
2010년
희토류 산업의 지속·건간한 발전을
촉진하는 데 관한 의견
- 희토류 산업 구조조정 촉진
- 신흥 전략산업 육성
- 무분별 개발에 대한 단속 강화
- 희토류 자원 비축제도 구축
2013년
희토류 비축제도 도입
- 2013.9월 주요 희토류 기업 입찰을 통해 총 6,401톤 희토류 비축
- 2014년부터 정부 비축 제도화
2016년
2016~2020년 희토류 산업 발전계획
- 첨단제품 확대 등 산업고도화에 속력
- 2020년까지 희토류 소재 생산량 연평균 15% 이상씩 성장
- 희토류 기술 및 산업 강국 건설을 목표로 제시
2021년
'14.5(2021~2025년) 원자재 공업 발전계획
- 희토류 기업 집중도 향상 및 산업망 구축 지원
- 희토류 산업 클러스터 조성
- 희토류 소재, 제품, 기술 강화, 재활용 수준 향상
중국 희토류 기업의 양강 구조 재편
▶ 중국의 희토류 산업은 정부 주도로 지난 10년간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거쳐, 현재는 사실상 북방희토와 중국희토의 양강 체제로 개편됨. 이는 중국 정부가 2016년에 희토류를 국가 전략자원으로 지정하면서 ▲자원에 대한 통제를 용이하게 하고, ▲글로벌 가격 결정력을 강화하며, ▲국내 희토류 산업이 난립하여 환경오염과 불법채굴이 성행하는 것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임
▶ 이에 중국産 희토류의 생산 집중도와 효율성이 증가했고, 희토류 관련 기술이 발전했으며,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통제력이 극대화되었음
↘ 중국의 희토류 정·제련 기술
- 고도화된 용매 추출(Solvent Extraction) 공정
▶ 유기용매와 물 층 사이에 희토류 금속 이온을 분배시켜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방식임. 희토류 원소는 화학적 성질이 유사해 분리·정제가 매우 어려우나, 중국은 수십 단계의 추출 칼럼* 배열, 온도·pH 미세 조정, 유기용매 조성의 정밀 제어 등으로 고순도 희토류 금속을 대량 생산하고 있음
*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상이 접촉하여 희토류 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 (정량적 제어 능력) 중국은 희토류 간 미세한 원자반경 차이나 배위화학 특성을 활용해, 희토류를 원소별로 정밀하게 분리하는 정량적 제어 능력을 보유함. 이 과정에서 불순 금속(철, 칼륨, 알루미늄 등)을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우수함
▶ (자동화된 공정) 최근에는 머신러닝을 통한 최적 추출조건 도출, 정광 처리 자동화 라인 구축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희토류 효율과 품질을 높이고 있음
- 이온교환 및 선택적 침전 기술
▶ (이온교환 레진) 특정 희토류 이온만 선택적으로 흡착·분리할 수 있어, 용매 추출 공정과 병행할 경우, 순도와 수율을 극대화함
▶ (선택적 침전 기술) 희토류 원소별로 침전 조건을 달리해 원하는 원소만 분리해내는 기술 또한 용매 추출 공정과 함께 사용됨
- 네오디뮴 자석 제조 공정의 미세결정립 제어
▶ 중국은 네오디뮴-철-붕소(NdFeB) 자석 제조에서 합금 분말의 미세구조 제어, 소결 및 고온 열처리, 중희토류 (디스프로슘, 터븀) 도핑* 등 첨단 공정 기술을 보유하여 고온 안정성과 뛰어난 자기적 특성을 가진 자석을 대량 생산 가능
* 중희토류 원소를 소령 첨가하여 다른 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과정을 의미함. 도핑된 중희토류 이온은 주로 에너지 준위 구조의 특이성으로 인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소량의 도핑만으로도 소재의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음
- 대규모·고효율 설비 집적화
▶ 중국은 수십 년간의 경험과 표준화된 공정법, 대규모 설비 집적화를 통해 희토류 정제의 경제성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하여 미국 등 국가가 원료를 확보하여도, 정제·분리 기술 부족으로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지속됨
↘ 출처
· John zadeh. (2025, May 2). Discovery Alert. Discovery Alert.
https://discoveryalert.com.au/news/chinas-rare-earth-export-strategy-global-supply-2025/
· Philip Andrews-speed. (2023). China’s Rare Earths Dominance and Policy Responses. The Oxford Institute for Energy Studies, 1-16.
· KOTRA 베이징무역관. (2024). 中 희토류 관리제도와 공급망 관리 동향. 경제통상리포트,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