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희토류 생산 프로젝트 동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5-02
  • 출처 : KOTRA

     o 미국의 희토류 생산 및 수출입 현황: 높은 중국 의존도


 ↘ 희토류는 ①광물 정광(Mineral concentrates)과 ②화합물 및 금속(Compounds and metals)으로 나뉨 

 ① 광물 정광은 광산 단계 생산물로 불순물을 제거한 수준에서 다소 거칠게 정제된 광물 

 ② 화합물 및 금속은 광물 정광에 추가적인 화학 처리와 제련을 통해 화합물 및 순수 금속을 정제한 형태


   - 미국은 캘리포니아 마운틴 패스(Mountain Pass) 광산을 중심으로 희토류 광물 정광을 생산하고 있지만 화합물 및 금속의 생산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

                                

    ↘ 미국의 희토류 생산량 통계(2020-2024)                                                                                                                                                            * 2024년 수치는 추정치e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e

광물 정광

3,9000

42,400

42,500

41,600

45,00

화합물 및 금속

-

120

95

250

1,300

자료: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2025)

   - 미 지질조사국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4년 기준 소비량 대비 해외 수입량으로 계산한 미국의 희토류 화합물 및 금속 대외의존도는 약 80%로 매우 높은 편 

    ▶ 주요 수입국은 중국(70%), 말레이시아(13%), 일본(6%), 에스토니아(5%) 순 

   -  중국은 ’24년 기준 세계 희토류 화합물 및 금속 생산량의 약 69%를 담당하는 1위 생산국으로, 미 지질조사국 발표 기준 ’24년 약 270,000 메트릭 톤의 희토류 화합물 및 금속을 채굴 및 생산 \

    ▶ ’24년 미국의 화합물 및 금속 생산량은 1,300 메트릭 


 ↘ 미국의 희토류 생산량 통계(2020-2024)                                                                                                                                                               * 2024년 수치는 추정치e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e

화합물

6,510

7,690

10,700

8,920

8,000

금속: 페로세륨 및 합금

270

330

395

259

220

금속: 희토류 금속,

스탄듐 및 이트늄

363

580

487

476

90

자료: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2025)



     o 중국의 희토류 7종 수출통제 조치와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


   - 미국의 희토류에 대한 높은 중국 의존도가 국가 안보 및 경제에 위협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부터 정권에 무관하게 꾸준히 지적되어 온 사안 

    ▶ 이는 최근 두 국가 간의 갈등이 첨예해지면서 더욱 부각되고 있음 

   - 지난 4.4일 중국 상무부가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부과 조치에 맞대응하기 위해 희토류 7종에 대한 이중용도 (군사 및 민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소프트웨어·기술) 수출통제를 발표 

    ▶ 수출통제 절차가 추가됨에 따라 해당 희토류를 수입하기 위해서는 중국 상무부의 수출 허가가 반드시 있어야 함 

   -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차등 상호 관세율은 4.2일 발표 당시에 34%였으나, 4.9일 125%로 인상되었으며, 이에 지난 3월부터 부과되고 있는 20%의 추가 관세가 합산되면 총 145%의 추가 관세가 중국에 부과 

   - 트럼프 대통령은 곧이어 4.15일 핵심광물 및 관련 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을 미국 상무부에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4.18일, 주요 광물 생산 가속화를 위한 인허가 간소화 프로그램(FAST-41)의 적용을 받을 10개의 광산 프로젝트가 추가 발표 

    ▶ 이 10개의 프로젝트 중 하나는 몬태나주 Libby Exploration 광산에서의 희토류 매장 탐사



     o 미국의 자국 내 희토류 생산 프로젝트 동향


미국이 자국 내 희토류 생산 증대를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현재 기준 자국 내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그 직전 단계까지 이른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① Mountain Pass 


   - MP Materials社는 미국에서 현재 기준 유일한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희토류 광산으로 인정받고 있는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패스 광산을 운영하고 있음 

   - 이 마운틴 패스 광산에서 혼합 희토류 정광,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및 NdPr 금속, 세륨, 란탄을 생산 중이며 모든 희토류 관련 생산 공정이 미국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특징 

    ▶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일본 스미토모 상사가 주요 고객 

   - MP Materials는 ’22년부터 미 연방 정부의 세금 공제 혜택을 받으며 텍사스 포트워스(Fort Worth)에 마운틴 패스 광산에서 공급받은 NdPr 산화물로 희토류 영구자석을 제조할 수 있는 희토류 자석 제조 시설을 추진해 왔음 

   - 이 포트워스 제조시설은 ’25년부터 가동이 개시되어 현재 상용화 전 단계이나, ’25년 말부터 제너럴 모터스를 비롯하여 자동차 제조업체에 제품을 공급할 예정 



 ② White Mesa Mill 


   - 화이트 메사 제련소(White Mesa Mill)은 본래 유타주에 소재하고 있는 우라늄 정제 시설이지만, ’24년부터 모자나이트 정제를 통한 NdPr 등 희토류 산화물의 상업 생산 역량을 달성 

   - 이 화이트 메사 제련소를 운영하는 Energy Fuels社는 미국의 최대 우라늄 생산업체로서 우라늄 정제 및 용매추출 기술에 필요한 라이선스들을 이미 보유하고 있어, 희토류 분리 및 정제 설비로 쉽게 사업 확장을 할 수 있었음

   - 희토류 분리 시설 단계는 ①NdPr 같은 경희토류 분리 설비 구축 단계, ②디스프로슘(Dy), 터븀(Tb) 등 분리 원소 범위를 중희토류로 확장한 단계, ③고순도 희토류 완전 분리 능력을 갖춰 완전한 공급망을 완성한 단계로 나뉨 

   - 화이트 메사 제련소는 2024년 1단계 희토류 분리 회로에서 모자나이트를 통한 NdPr 38톤 생산에 성공 

    ▶ 이를 통해 연간 최대 1,000톤의 NdPr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 

    ▶ 현재 2단계 및 3단계 분리 시설을 설계 중으로 관련 라이선스 취득 과정에 있음 

   - 또한, 2025년 3월엔 한국 포스코 인터내셔널과 MOU을 체결하여 EV 및 하이브리드 EV 구동장치에 대한 비중국 희토류 자석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함 

    ▶ 포스코는 EV 모터에서 자기장을 유도하는 철심인 트랙션 모터 코어의 생산업체로, NdPr 영구자석이 이 트랙션 모 터 코어의 성능을 끌어 올려주는 역할을 함



 ③ Innovations Lap


   - 오클라호마주 스틸워터(Stillwater)에 위치한 USA Rare Earth LLC社의 희토류 생산시설 이노베이션 랩 (InnovationsLab) 역시 ’25년엔 희토류 영구자석의 상업 생산이 가능할 전망 

   - USA Rare Earth LLC는 텍사스 라운드 탑(Round Top) 광산에서 채굴한 중희토류 광석을 공급받아 영구자석을 생산하려 함 

    ▶ 특히, 소결(Sintering) 방식으로 네오디뮴 자석을 생산하고자 하며, ’25.1월 영구자석 첫 소량 생산에 성공함 

    ▶ 소결 네오디뮴 자석의 경우 중국이 주요 생산국으로, 현재 글로벌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음 

   - 이노베이션 랩은 현재 시범 운영 단계이지만 향후 연간 약 5,000톤의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25년 2분기부터 고객사에 샘플 제품을 제공할 예정 


     o 시사점


   - 4.15일 발표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는 희토류 원소를 포함한 핵심 광물과 그 파생 제품의 대외 의존이 미국의 방위 역량, 인프라 개발, 기술 혁신을 위험에 빠트릴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음 

   - 미국은 향후 지속적으로 희토류 공급망의 자국 내 생산 강화를 위해 연방 정부 주도 하에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 첨단 및 방위 산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희토류 공급망을 장기간 중국에 의존해온 결과,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은 희토류 공급선 다변화란 과제에 부딪히게 됨 

   - 특히 미국이 지금과 같은 비중국 희토류 공급망 체계를 추진해 나간다면 한국, 일본, EU 등 동맹국들 역시 기존의 높은 희토류 중국 의존도를 중국 외부로 전환해야 하는 직접적인 요구에 대면할 가능성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임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