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공업의 조미료' 안티모니, 수출규제로 살펴본 중국 공급망 동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4-03
  • 출처 : KOTRA


안티모니는 주로 자연계에 안티몬황화물(Sb2S3)의 형태로 존재하며, 중국이 시장 우위를 갖고있는 자원이다. 중국 정부는 안티모니의 희소성, 광범위한 응용 등을 고려하여 안티모니를 “전략적 자원”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24년 9월 15일부터 안티모니 제품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o 안티모니 공급 동향


1. 부존량


   - 미국 지질조사국(USGS) 데이터에 따르면, ’24년 전 세계 안티모니 부존량은 전년 대비 3.92% 증가한 225만 5,000톤 

    ▶ 그중 중국의 부존량은 67만 톤으로 전 세계 부존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러시아·볼리비아·키르기스스탄·미얀마·호주가 각각 전체의 15.5%, 13.7%, 11.5%, 6.2%, 6.2%를 차지 

    ▶ CBC 금속망에 따르면, ’24년 말 기준 중국의 안티모니 부존량은 전년 대비 4.69% 증가한 67만 톤에 달함


2. 생산


   - 최근 몇 년간 세계 및 중국 안티모니 생산량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의 안티모니 생산량은 세계 총생산량의 50~60%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USGS 데이터에 따르면, ’24년 세계 안티모니 생산량은 10만 톤으로 전년 대비 5.66% 하락, ’18년 대비 31.97% 하락함 

    ▶ 그중 중국 생산량은 6만 톤으로 전년 대비 3.69% 하락, 2018년 대비 33.04% 하락함 

   - 중상산업연구원과 CBC 금속망에 따르면, ’24년 중국의 주요 안티모니 제품별 생산량 중 산화 안티모니가 전년 대비 8.51% 증가한 8만 톤으로 가장 많음 

   - 다음으로는 안티모니 잉곳이 5만 6,000톤으로 전년 대비 11.03% 하락한 것으로 집계


     o 안티모니 수요 동향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안티모니 생산 국가일 뿐만 아니라 안티모니 수요가 가장 많은 국가 

   - 안티모니는 난연제, 납축전지, 베어링, 태양광 유리 등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 난연제용 안티모니 소비량이 전체 소비량의 60%를 차지 


1. 난연제


   - 매년 난연제에 사용되는 안티모니는 전체 안티모니 소비량의 60%를 차지 

    ▶ ’23년 중국의 난연제 생산량은 약 118.3만 톤에 달했고, ’25년에는 125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


2. 베어링


   - 신에너지 자동차, 철도 교통, 첨단장비 등 분야의 신속한 발전으로 베어링 제품의 응용 분야가 더욱 확장됨 

    ▶ ’23년 중국 베어링 시장 규모는 약 2,78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82% 증가했으며, ’25년에는 3,3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3. 납축전지


   - 납축전지는 저렴한 비용, 강한 안정성, 높은 재활용률 등 장점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 시동, 스쿠터 동력 배터리 등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음 

    ▶ ’23년 중국의 납축전지 생산량은 약 2억 8132만 kWh로 전년 대비 5.51% 증가했으며, ’25년에는 3억kWh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


4. 태양광 유리


   - 안티모니는 태양광 유리 생산에서 주로 메타 안티모니산 나트륨, 산화안티모니 형태로 사용됨 

   - 태양광 유리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태양광 유리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청징제용 안티모니 소비가 촉진됨 

    ▶ ’23년 중국의 태양광 유리 생산량은 약 7억 1,200만 m2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으며, ’24년에는 7억 5,000만 m 2에 이를 것으로 예상


     o 안티모니 수출 동향


   - 24년 중국의 수출 안티모니 제품 중 산화안티모니 수출량이 3,042만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안티모니 잉곳, 안티모니 정광, 안티모니 분말로 수출량은 각각 383만kg, 18만 5,000kg, 2만 5,700kg에 달함 

   - 산화안티모니의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 인도, 대만, 한국,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등이 있음


     o 안티모니 수입 동향

  

   - ’24년 중국의 안티모니 제품 수입 중 안티모니 정광 수입량은 전년 대비 57.2% 증가한 5,591만 톤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안티모니 잉곳, 산화안티모니, 황화안티모니 순 

   - 안티모니 정광 수입액은 2억 7,598만 달러로 전년 대비 83% 이상 증가했으며, 중국은 주로 태국, 키르기스스탄, 미얀마, 호주, 볼리비아 등 국가로부터 안티모니 정광 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o 경쟁동향


   - 중국 안티모니 산업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후난황금(HUNAN GOLD)은 안티모니 산업의 선도 기업으로, 완전한 산업 체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 화시유색(China TIN), 화위광업(HUAYU MINING), 헝방주식(HUMON SMELTING) 등 기업들도 있음 

   - 현재 중국의 안티모니 기업은 주로 후난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외 광시·광둥·장시 등 서남지역에 분포되어 있음



'22~'24년 중국 산화안티모니 주요 수출국

(단위: 만kg, 만 USD, %)  

中 ‘이중용도 품목’의 법률적 정의 - <이중용도 품목 수출통제 조례> 제2조 

(단위: 만kg, 만 USD, %

국가

연도

수출량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미국

2022

1,464

-22.0%

15,503.60

-2.3%

2023

1,175

-19.7%

11,815.40

-23.85%

2024

941

-20.0%

14,007.14

18.6%

인도

2022

460

34.4%

4,682.65

69.6%

2023

440

-4.4%

4,406.12

-5.9%

2024

 336

-23.7%

4,613.14

4.7%

대만

2022

 408

-24.5%

4,128.86

-5.1%

2023

 311

-23.7%

3,094.88

-25.0%

2024

256

-17.8%

3,543.90

14.5%

일본

2022

306

-15.9%

3,248.51

6.9%

2023

 284

-7.4%

2,851.12

-12.2%

2024

219

-22.8%

3,158.17

10.8%

태국

2022

81

-25.0%

919.54

-9.0%

2023

84

-7.9%

849.72

-7.6%

2024

102

21.0%

1,776.64

1093.1%


연도

수입량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태국

2022

 0

0.0%

0

0%

2023

17.8

0.0%

56.77

0%

2024

1,646.2

-37.0%

9,575.52

16766.9%

키르키

2022

788.3

-1.1%

2,207.28

26.6%

2023

846.2

7.3%

2,539.46

15.1%

2024

870.3

2.9%

2,674.81

5.3%

미얀마

2022

286.6

-50.1%

787.75

-37.8%

2023

269.7

-5.9%

697.53

-11.5%

2024

834.7

209.5%

3,070.42

340.2%

호주

2022

686.1

-23.4%

4,886.29

-1.5%

2023

577.0

-15.9%

3,836.04

-21.5%

2024

553.1

-4.2%

4,944.27

28.9%

볼리비아

2022

159.0

-14.1%

728.96

35.8%

2023

252.6

58.9%

1,004.08

37.7%

2024

541.9

114.5%

2751.93

174.1%




                                                                       ↘'24년 중국 안티모니 제품 수출량 및 수출액


                                                                                                                                         [자료원] 중국 해관총서, CBC 금속망



     o 수출규제

   - 중국은 ’24.8.15. <안티모니 및 기타 품목(초경질재료 제작 관련 품목, 기술 등)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여 ’24.9.15.부터 시행해 오고 있음 

   - 안티모니 및 기타 품목의 해외수출을 위해서는 반드시 상무분의 이중용도 심사, 허가를 취득해야 함


     o 시사점


   - 향후 안티모니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에너지, 신소재 등 분야의 응용이 계속 확장되고, 난연제, 태양광 유리 등 다운스트림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며, 반도체, 화학 파이프라인, 케이블 피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안티모니가 광범위하게 응용된다는 관점에서도 안티모니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음. 반면, 환경보호 정책이 점점 엄격해 짐에 따라 안티모니 채굴 및 가공비용은 상승하며 공급이 축소되고 안티모니 가격은 점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글로벌 안티모니 가격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 특별히 중국은 세계 총생산량의 50~6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중국의 안티모니 가격 및 수급 동향을 관찰할 필요가 있음. ’24년 9월 중국 수출통제 이후 해외 안티모니 가격은 상승하였으며, 중국 안티모니 가격과의 격차가 발생 

   - 그러나 중국 내 공급 부족 및 수요 증대에 따라 ’25년 2월 이후 중국 안티모니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에 국내기업 및 정부는 중국의 안티모니 동향을 파악하며,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